CAFE

공룡 연대 측정법의 허구

작성자단테|작성시간24.02.07|조회수182 목록 댓글 2

죽은 오래된 생명체의 뼛조각이나 나무조각으로 생몰 연대를 측정하는데 쓰이는 것이 탄소 연대 측정법 이라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공룡 석탄 화석 등의 나이를 측정한다.

..

원리는 이렇다.
대기중에는 탄소가 섞여 있다. 안정된 탄소 Cㅡ12 와 불안정한 Cㅡ14 가 있는데 그 비율은 1조 대 1의 비율이다. 그. 탄소를 식물들은 흡수하고 햇빛을 받아 광합성이라는 것을 하는데 식물들의 조직에도 Cㅡ12와 Cㅡ14 의 존재 비율은 1조대 1 의 비율로 분포 하게 된다.
또 이 식물을 섭취한 동물들의 몸에도 똑같은 비율로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 생명체들이 죽게 되면, 광합성 작용이나 먹이로 섭취하는 것이 중지가 되므로, 더 이상의 탄소를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의 사체에는 사망 당시의 비율데로 탄소가 남아 있게 되는데, 안정된 C_12는 그대로 있지만 불안정한 탄소 Cㅡ14 는 Nㅡ14(질소)로 변신을 하게 되고 그 만큼 함량이 줄게 된다.

그래서 과학자들이 계산을 해 본즉, Cㅡ14의 함량이 반으로 줄어드는 시기(반감기) 가 5730 년 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즉 1조/1 의 비율이 2조/1 의 비율로 되는 기간이 5730 년 이라는 것이다. 그 다음 5730 년이 지나면 4조/1 로 된다. 이런식으로 계속 반감기를 계산해 서 5만년이 경과하게 되면 C_14 는 0의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5 만년 이상이 된 것은 측정 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1억 6천만년 전에 번성 했다고 알던 공룡의 뼈조각에서 Cㅡ14 가 다량 검출 됬다고 하면, 어찌 된 것일까? 5만년이 훨씬 않된다는 건가?
아니면 몇천년 전인가?

석탄 다이아몬드 등에서도 남아 있는 탄소 14 는 도데체. 어찌 된 것일까 5만년 이상이 되면 전혀 없어야 되는데도 말이다.

..

방사능 연대 측정 법도 있는데 탄소 연대 측정법과 원리는 같다. 주로 용암을 분석하여. 연대 측정을 하는데 우라늄이 납으로 변하는 비율로 하는 것은 이미 페기가 되었고. 칼륨이 아르곤으로 변하는 반감기로 측정을 한다는데. 이 것도 어처구니가 없다.

최근에 터진 하와이 등지 에서 용암을 칼륨 측정법으로 해 보았드니, 10만년 심한 것은 200 만년 전 이라고 나오드라는 것이다. 측정할 때 마다 다르고 말이다.

..

이래 가지고 지구가 45 억년이 됬느니 우주의 나이가 어쩌니 하는 학설을 신뢰 할 수가 있겠는가 말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비오 | 작성시간 24.02.07 아고~~~~~~
    뭐가 무슨 소린지 전혀 모르니
    머리 아플일도없이
    재밋게 잘 읽고갑니다요
    단테님
    구정쉬고도
    존글 많이 많이 올려주세요

  • 작성자명수니 | 작성시간 24.02.07 네 ..
    과학이 발달해서
    지구의 나이나 생명체의 뼈 조각을 측정하는데
    정확한건 없나봅니다
    오묘한 지구
    신비로워요
    올려주신 글 잘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설 명절 즐거운 휴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