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테니스 클리닉

서브편

작성자지킴이|작성시간05.04.09|조회수25 목록 댓글 0

자신의 리듬을 만들자

먼저 첫 단계의 준비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 단계는 정신적인 면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집중력을 높이고 자기 기술을 항상 재현하는 것이 준비동작에서 중요하다. 서브를 하기 전에 매번 같은 행동을 하는 것으로 하나의 패턴을 만들어 두면 다음의 동작(서브)에 대해 의식을 집중하기 쉽다.
톱프로 선수들을 보면 볼을 치는 회수가 정해져 있거나 신체를 상하로 움직이거나 대부분의 선수가 토스하기 전부터 패턴이 결정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전의 실수나 부담감을 잊고 서브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자기의 패턴을 만들자

준비 동작에서 볼을 바운드 시키거나(치는 회수를 정해도 좋다), 신체를 움직이는 등 자기 나름대로의 패턴을 확립하면 서브에 집중하기 좋고 평소의 기술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해머 그립도 상관없다
준비 동작에서는 양팔을 아래로 떨어뜨리기 보다 약간 위로 올려 준비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다음 동작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 때 『손목의 힘을 빼고 왼손으로 라켓을 지탱하면 좋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은 그다지 관계없고 샘프라스와 같이 라켓을 세워도 상관없다. 또 그림과 같이 중심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으로 표시한 것처럼 앞발의 앞쪽을 들어올리면 쉽다.

 

 

 

 

 

 

 

사이드가 바뀌면 스탠스도 바뀐다
듀스사이드와 애드사이드에서 치는 방향은 20도 가깝게 바뀐다. 따라서 그것에 맞추어 스탠스의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때때로 베이스라인과 각도가 같도록 스탠스를 결정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러면 코스를 구분하여 치기가 어렵다.

 

 

체중이동은 앞→뒤→앞
서브는 치기 전에 뒤에서부터 앞으로 중심을 이동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때 최초로 앞발에 체중을 싣고 앞→뒤→앞으로 이동시키면 움직임이 유연해진다.

 

 

 

 

 

 

 

 

스탠스와 발의 동작 ①

오른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입

스탠스와 발의 동작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특징은 뒷발(오른손잡이는 오른발)의 동작이며 마지막까지 움직이지 않는 사람도 있고 스텝을 밟듯이 움직이는 사람도 있다. 여기에서는 오른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입의 특징과 주의점을 설명한다.

이 타입의 선수로 남자는 베커, 아가시, 코레차 등이 있으며 여자는 말리바, 피에르스 등이 있다. 특징으로는 양 발로 내딛기 때문에 발이 안정되어 있다는 점이며 그렇기 때문에 다리힘이 약한 사람에게도 적당하다. 또 그림과 같은 점에 주의하면 중심 이동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신체가 열리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회전을 건 서브를 치기 쉽다. 비교적 베이스라인 플레이어에게 이 타입이 많다. 너무 클로즈드 스탠스를 취하면 플랫 서브를 넣기 어려우므로 주의한다. 또 네트 대시가 쉽지 않으므로 서브 앤드 발리어에게는 의미가 없다. 다리힘이 약한 사람이나 신체가 열리는 습관이 있어서 스핀 서브를 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귄장할만 하다.

 

발을 움직이지 않아도 체중은 상당히 앞으로 이동한다
오른발(뒷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입이 빠지기 쉬운 결점은 X의 예와 같이 뒷발에 체중을 남겨두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하반신의 파워를 상체로 전달할 수 없게 되어 서브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발은 움직이지 않아도 앞으로 중심을 이동하고 ○의 예와 같이 뒷발의 뒷굼치가 들리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베커의 플랫서브
베커는 데뷔 때부터 강한 플랫 서브를 무기로 삼았다. 그렇기 때문에 스탠스는 남자에게는 드물 정도로 스퀘어에 가깝고(앞을 향하고 있다) 체중을 완전히 앞으로 실어 임팩트시 상체가 앞을 향하여 볼을 두텁게 잡고 있다. 단 이 타법에서는 오른발 착지가 되기 때문에 네트 대시는 그다지 빠르지 않다.

키퍼의 안정된 서브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뒤에서 앞으로의 중심 이동을 잘 알 수 있다. 사진6~7에 걸쳐 무릎을 뻗고 있는데 스탠스는 베커와 마찬가지로 그다지 닫지 않아 무리가 없다. 첫 서브를 확실히 넣고자 하는 사람은 참고가 될 타법이다.

 

 

스탠스와 발의 동작②

오른발을 움직이는 타입

대부분의 선수들이 사용하는 오른발(뒷발)을 움직이는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특징은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기 쉽다는 점과 신체의 회전을 돕는 이점이 있다. 오른발을 이동함으로써 허리가 약간 앞으로 향하고, 하반신과 상반신 사이에 회전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클로즈드 스탠스로 준비해도 임팩트 때 회전의 파워를 살리기 쉽다.단 움직인 오른발에 체중이 실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X그림 참고).

그리고 착지가 왼발이 되어 신체도 앞으로 가기 쉽기 때문에 서브 앤드 발리를 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사람에 따라서는 오른발을 움직임으로써 타이밍을 잡기 쉽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으로 하반신이 불안정한 사람은 앞의 타입으로 바꿔보자(그 때에는 스탠스를 오픈으로 한다).

오른발의 앞꿈치를 끌듯이 움직인다
옆의 그림과 같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른발을 움직일 때 앞꿈치를 끌듯이 하면 좋다. 톱프로들은 서브 후에 발을 끈 자국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는데, 여러분도 그러한 선이 남을 수 있도록 연습해보자(물론 그 선이 왼발을 앞지르지 않아야 한다).

움직일 때에 범하기 쉬운 세 가지 실수
오른발을 움직일 때에 범하기 쉬운 세 가지를 정리한 것이다. ①이동한 오른발에 체중을 싣는 것 ②오른발이 왼발을 앞지르는 것(이러한 사람은 푸트폴트가 많다)은 밸런스를 무너뜨리고 안정성을 잃을 뿐만 아니라 힘의 전달도 효율적으로 할 수 없다. ③오른발을 들어올려 움직이는 것은 ① ②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고친다.

힝기스의 밸런스 있는 스텝동작
힝기스의 오른발 스텝은 뒤에서 앞으로의 이동이 크고 회전보다 중심이동의 효과가 크다. 또 사진6에서 체중은 거의 80% 이상 왼발에 실려있지만 오른발이 조금 받쳐줌으로써 안정성이 높은 자세를 만들고 있다. 타구 후의 밸런스도 좋다.

오른발을 움직이는 필리포우시스의 고속서브
빅서버로 잘 알려진 필리포우시스도 오른발을 움직이는 타입. 특히 주목해야 하는 것은 클로즈드로 준비한 스탠스에서 오른발을 움직임에 따라 허리가 서서히 앞을 향하고, 상체 회전을 살릴 수 있는 점이다. 임팩트 전후로 하여 스피드 업으로 연결된다.

 

 

스탠스와 발의 동작③

오른발을 끌어당기는 타입

세 번째는 오른발(뒷발)을 끄는 타입이다. 오른발을 움직이는 것은 앞의 타입과 마찬가지이지만 이 경우는 오른발을 멈추고 끌면서 친다는 점에서 다르다. 톱프로 선수는 샘프라스, 헨만, 루제드스키가 이 타입이다. 다리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그림 참고) 여자들에게는 거의 볼 수 없다.

오른발의 동작을 멈추지 않기 때문에 중심 이동이 수월하고 아래에서 위로 동작을 전달하는 것도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오른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입에서 발생하기 쉬운 하반신이 따라오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기 때문에 빠른 서브를 칠 수 있다. 이 타입을 익히기 위해서는 먼저 오른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법으로 하고 서서히 끌듯이 연습하자.

다리힘이 약한 사람에게는 밸런스가 어렵다.
오른발을 움직이는 타입이라면 오른발에 체중을 싣는 것이 거의 어렵기 때문에 다리힘이 없는 사람은 밸런스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여자들 중에 이 타입이 없는 것도 이것이 원인이다.

자연히 오른발이 끌리는 샘프라스의 서브
샘프라스는 루제드스키와 대조적으로 오른발을 끄는 양이 적고 오른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입에 가깝다. 사진5∼6번을 보면 상반신과 하반신의 회전은 적고 임팩트시 옆으로 향한 자세가 남아 있다. 그렇지만 이 동작이 그의 독특한 팔 사용법과 맞물려서 강한 서브를 낳고 있다.

왼발을 끌어당기는 루제드스키의 서브
고속 서버 루제드스키의 서브에는 왼발(오른손잡이라면 오른발)을 끌어오는 동작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동작이 상당히 자연스럽고, 불필요한 힘이 전혀 들어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위력은 강하다. 또 그는 한순간 발이 멈추는 둣한 면도 있어 뒷발을 움직이는 타입에 가까운 타법이다.

 

 

 

 

상반신과 하반신의 회전을 만든다
오른발을 움직이는 타입에서도 다룬 것처럼 테이크백시 가슴과 허리 사이에 회전을 만드는 것이 위력있는 서브를 만드는데 중요하다. 이 경우 발을 끄는 것에 의해 회전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는 타입의 이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스탠스와 발의 동작④

양발 모두 움직이는 타입

마지막으로 왼발(앞발)과 오른발(뒷발)을 모두 움직이는 타입도 있다. 양발 모두 움직이면 중심 이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심 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또 사람에 따라서는 타이밍을 잡기 쉽다는 이점도 있으며 발을 움직임으로써 몸 전체를 릴랙스시키는 효과도 있다.

앞의 세 가지 타입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한 크게 필요한 동작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 세계에서는 보기 드물다. 하지만 동호인의 경우에는 스텝을 밟음으로써 리듬을 잡기 쉬워지며 중심 이동이나 전체적인 동작이 자연스러워진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힘이 넘쳐 오른발이 왼발을 앞지르지 않도록 주의하자(오른발을 왼발 뒤에 겹치듯이 한다). 또 푸트폴트에도 주의하자.

프로 선수 중에 이렇게 하는 선수가 일본의 스즈키. 스즈키는 확실하게 양발을 움직이면서 자기 나름대로의 리듬을 만들고 있다. 또 중심 이동을 크게 하고 타구 후 신체가 코트 안으로 들어가도록 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대시에도 용이하다. 또 오른발을 움직이는 타입과 같기 때문에 그 이점도 이용할 수 있다.

서브의 개조① 아가시

스탠스를 바꾸고 회전을 강화

여기서부터는 스탠스나 발 동작에 관한 서브의 개조 실례를 들어본다. 아가시는 데뷔 당시 오른발을 움직이지 않는 타입이면서 상당히 클로즈드 스탠스를 취했기 때문에, 신체의 회전을 사용하지 않아 빠른 플랫서브를 칠 수 없었다. 그러나 그후 스탠스를 조금 바꾸면서 신체가 앞으로 향하기 쉬워졌고, 동시에 신체의 회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플랫 서브를 칠 수 있게 되었다.

상체의 회전을 살렸다
89 US 오픈 때에는 테이크백 완료시에도 상반신과 하반신 사이의 회전은 거의 볼 수 없었는데 스탠스를 바꾼 후에는 허리와 가슴의 방향이 명백히 다르며 신체 회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을 살리는 타법을 할 수 있게 되어 서브 스피드는 크게 향상되었다.

 

 

서브의 개조② 창

발의 동작 개선

창은 팔의 사용법 등 종합적인 개선에 의해 서브의 스피드를 비약적으로 향상시켰지만 그중 오른발 착지에서 왼발 착지로 바꾼 것이 가장 큰 변화이다. 그는 원래 오른발을 움직이는 타입이었는데 이전에는 스텝의 동작이 작고 오른발을 고정하는 타법에 가까웠기 때문에 오른발로 착지했다. 그것을 스텝의 양을 크게 하여 왼발 착지로 바꿈으로써 신체의 회전도 이전보다 잘 할 수 있게 되어 스피드업이 되었다.

오른발 착지에서 왼발착지로
오른발 착지를 하면 오른손과 오른발이 함께 앞으로 나오기 때문에 타구 후 신체의 회전을 멈추기 어렵기 때문에 밸런스가 무너지기 쉽고 네트 대시도 늦다. 또 하반신과 상반신이 함께 돌아가버리면 신체의 회전을 사용하지 않아 파워도 약해진다. 창의 경우는 회전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 스피드업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서브의 개조③ 셀레스

체중 이동을 정확하게

셀레스는 데뷔 당시 서브에 결점이 있었는데 그것을 개선함으로써 스피드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결점은 무릎을 구부리는 방법에서 90년 프랑스오픈 때의 사진을 보면 11페이지의 나쁜 예의 그림처럼 양발에 체중이 걸리고 있다. 무릎을 구부리는 양도 너무 커 파워로 연결되기 보다 반대로 불필요한 움직임이 되어버리고 있다. 그것을 바르게 중심이동하고 동시에 상체의 회전도 더하여 개선했다.

앞발 쪽으로 완전히 체중 이동하도록 개선
개선 전과 개선 후는 무릎을 구부리는 방법이 완전히 다르다. 개선 후는 체중이 거의 앞발에 가 있고 동시에 상체의 회전도 만들고 있다. 또 구부리는 양은 반대로 작지만 축이 제대로 서있어 파워를 상반신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다리 힘도 이전보다 늘어나게 되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더욱 회전의 파워도 살릴 수 있게 된다.

 

 

 

다리와 신체

이상적인 형을 의식하자

앞에서는 발의 준비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여기에서는 무릎의 구부림이나 신체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리와 신체는 소위 「연쇄 운동」과 크게 관계되어 있어 서브의 스피드업에는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이다.

효율적인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포워드 스윙시 무릎을 펴고 가슴을 젖힌 모양을 만든다. 무릎을 구부리는 방법, 펴는 방법 그리고 허리 사용법(그림 참조)이 필요하게 된다. 필요 이상으로 무릎을 깊게 굽히거나 점프하는 것은 서브의 스피드업에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허리를 앞으로 들어올린다
무릅의 구부림을 효율적으로 상반신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이 어깨를 사선 앞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비결이다. 이렇게 해서 허리를 늘이고 신체 전체를 활처럼 만든 상태에서 서브를 하면 이상적인 연쇄 운동이 가능하다.
 
처음부터 상체를 너무 젖히면 안된다
무스터와 같은 모양을 만들고 싶다고 처음부터 상체를 젖히면 오히려 안좋다. 파도가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듯이 무릎의 구부림→허리뻗기→가슴젖히기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는 것이 바로 연쇄 운동이다.
필요 이상으로 무릅을 구부려도 파워가 나지 않는다.
무릅을 깊게 구부릴수록 서브의 위력이 커진다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것보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파워를 전달할 것인가가 중요하며 무릅을 지나치게 구부리는 것은 위력 안정성에서 좋지 않다. 너무 튀어오르면 파워도 줄고 타구 후의 다음 동작도 늦어진다.


무스터의 하반신 파워를 충분히 살린 서브
무스터는 높게 점프하여 타점을 높게 잡기 보다 볼의 스피드나 회전을 늘리는 것에 중점을 둔 서브를 하고 있다. 특히 사진5~6번의 동작은 완전히 교과서적이며 아래에서 위로의 효율적인 파워 전달과 동시에 신체의 회전도 충분히 살리고 있다.

 

이상적인 연쇄 운동을 낳는 자세
포워드 스윙에서 무릎에서 허리까지가 뻗고 가슴이 크게 젖혀지며 라켓 헤드가 아래를 향한 자세가 위력있는 서브를 하는 플레이어의 공통 사항이다. 이 자세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하반신에서 상반신으로 효율적인 파워 전달을 할 수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토스업

독립된 동작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토스업에 대해서 알아보자. 토스는 안정되고 정확하게 올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것을 위해서는 독립된 동작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왼팔(오른손잡이의 경우)만으로 토스업을 하고 다른 부분에는 의지하지 않으며, 영향도 주지 않아야 한다.

초중급 레벨에서는 테이크백과 동시에 토스를 하여, 토스 자체에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 경우는 우선 토스하고 나서 다른 동작을 하자. 조금만 높게 토스하면 시간적으로 충분히 맞출 수 있다. 우선 안정된 토스를 익힌 후 다른 동작을 하면 좋다.

팔이나 손목은 사용하지 않고 어깨를 중심으로 한 팔전체의 동작을 이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큰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팔을 한 번 충분히 아래로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테이크백을 크게 한다
토스업 동작에도 테이크백이 있다. 이것을 잘못하면 정확한 토스를 올릴 수 없다. 바른 테이크백은 사진과 같이 팔을 뻗어 충분히 아래로 내린다. 그리고나서 천천히 팔을 들어올리면 불필요한 힘을 뺀 안정된 토스를 할 수 있다.

무릎이나 신체를 사용하면 안된다

토스업을 하기 위해서는 왼손 외의 힘에 의존해서는 안되며 의존할 필요도 없다. 그림과 같이 무릎의 힘을 사용하여 올리는 사람이 있는데 그것은 팔 사용법이 나쁜 것도 원인이 다. 무릎은 토스와 동시에 구부리는 것이 옳다.

 

 

 

손을 조금만 내리면 토스가 안정되지 않는다
팔을 내리지 않고 토스를 하면 강한 힘이 필요하다. 강한 힘을 주려면 정확한 동작이나 컨트롤이 어려워지며 토스가 안정되지 않게 된다(무릎을 사용하는 원인도 된다). 특히 팔힘이 강한 여성은 이 점에 주의하고 팔을 휘두르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볼 잡는법

토스를 할 때 볼을 잡는 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①과 같이 쥐는 방법이다. 손바닥은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 전체로 동그랗게 하여 엄지손가락을 가볍게 받치도록 한다. 「손가락 끝으로 쥔다」고 하는 말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②와 같이 손가락 끝만으로 볼을 잡는 사람이 있는데 이렇게 하면 손에 힘이 들어가 자연스런 토스를 할 수 없다. 또 컵을 쥐는 듯한 방법(③)도 손가락 사용이 용이하므로 ①에서 안정되지 않은 사람은 시도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