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한자한문교육자료

논어명구

작성자연수원|작성시간24.10.09|조회수151 목록 댓글 0

논어 명언명구 100선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2人不知而不 이면 不亦君子乎아. 인불지이불 불역군자호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노여워 하지 않음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3. 子曰 巧言令色이 鮮矣仁이니라. 교언영색 선의인
교묘하게 꾸민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빛에는 어진 마음이 드물다

4. 曾子曰 吾 日三省吾身하나니 爲人謀而不忠乎아,與朋友交而不信乎아.傳不習乎라. 증자왈 오 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나는 매일 나 자신을 세번씩 반성한다. 남을 위해서 일을 하는데 정성을
다하였든가, 벗들과 함께 서로 사귀는데 신의를 다하였든가, 전수받은 가르침을 반복해 익혔는가,(제대로 익히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하지 않았던가.)

5. -無友不如己者오 過則勿憚改니라.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나보다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말며, 잘못을 깨달았을 때에는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6. -告諸往而知來者온여 고저왕이지래자 지난 과거를 말해주면 미래를 아는구나.

7.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오 患不知人也니라.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탓하라.

8. 子曰 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恥니라,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법률 제도로써 백성을 지도하고 형벌로써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법망을 빠져나가되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아니한다.

9 道之以德하고 齊之以禮이면 有恥且格이니라. 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덕으로써 이끌고 예로서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부정을 수치로 알고 착하게 된다.

10. 子曰 吾 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오 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고,
마흔에는 인생관이 확립되어 마음에 혼란(유혹)이 없고,

11 五十而知天命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所欲하야 不踰矩니라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쉰에는 천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고, 예순에는 어떠한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저절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일흔에는 내마음 대로 행동을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

12. 子曰 溫故而知新이면 可以爲師矣니라.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것을 알고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면 능히 스승이 될 수 있다.

13. 子曰 君子는 不器니라. 군자 불기.
군자는 한가지 구실밖에 못하는 기물이나 기계가 아니다.

14. 子貢이 問君子한대 子曰 先行其言이오 以後從之니라.
자공 문군자 자왈 선행기언 이후종지. 자공이 군자에 대하여 물으니 공자께서 먼저 하고자 하는 일을 행한 후에 말을 하는 사람이 군자다.

15. 子曰 君子는 周而不比 하고 小人은 比以不周니라.
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부주 군자는 두루 통하면서도 편파적이 아니며 소인은 편파적이면서도 통하지도 않는다.

16. 子曰 由아 誨女知之乎인저. 知之爲知之오 不知爲不知 是知也니라.
유 회여지지호 .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유야 너에게 안다는 것을 가르쳐 주마, 아는 것을 안다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참으로 아는 것이다. 由는 성은 이름이 유 자로 계로라함.

17. 哀公이 問曰 何爲則民服이니이꼬. 애공 문왈 하위즉민복
노나라 애공왕이 어떻게 하면 백성들이 복종을 하겠습니까? 하니

18 公子 對曰 擧直錯諸枉則民服하고 擧枉錯諸直則民不服이니이다.
공자 대왈 거직조저왕즉민복 거왕조저직즉민불복
공자 대답이 곧고 올바른 사람을 등용해서 곧지 않는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마음까지 복종 하지만 반대로 부정직한 사람을 등용 하여 정직한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복종하지 않습니다.

19. 子曰 --- 見義不爲 無勇也니라. 견의불위 무용야.
옳은 일을 보고도 나서서 행동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20. 子曰 人而不仁이면 如禮에 何며 人而不仁이면 如樂에 何오.
인이불인 여례 하 인이불인 여악 하.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예는 무엇하며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음악은 무엇하랴
​21- 禮 與其奢也론 寧儉이오 喪이 與其易也론 寧戚이니라.
예 여기사야 영검 상 여기이야 영척 예는 사치하기보다는 검소해야 되고 상사(초상)에서는 형식을 갖추기보다는 슬퍼해야 한다.

22. 祭如在하시며 祭神如神在러시다. -제여재 제신여신재
조상을 제사 모실때에는 앞에 계신 듯 하고 신을 제사 지낼 때에는 신이 있는듯이 하였다.

23. -成事라 不說하며 遂事라 不諫하며 旣往이라 不咎로다.
성사 불설 수사 불간 기왕 불구 이미 이루어진일은 말하지 않으며, 끝난 일은 간하지 않으며, 지난 일은 탓하지 않는다.

24. 儀封人 請見曰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니라.
의봉인 청현왈 천장이부자 위목탁
의봉인이 청하여 본후 하늘이 장차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고자 하심이다.
봉인 : 의는 위나라 지방 이름 봉인은 국경 수비대의 벼슬 이름.

25.子曰 里人이 爲美 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이인 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인후한 마을에 사는 것이 좋으며 그러한 곳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요.

26. 子曰 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는 安仁하고 知者는 利仁이니라.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 안인 지자 이인
어질지 못한 사람은 역경에 오래 있지 못하며 행복도 오래 누리지 못한다.
그리고 어진 사람은 仁을 편안하게 여기고 지혜로운 사람은 인을 이롭게 생각한다.

27. 子曰 唯仁者아 能好人하며 能惡人이니라.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람을 사랑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

28. 子曰 朝聞道면 夕死라도 可矣니라. 조문도 석사 가의
아침에 도를 들으면(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으니라.

29. 子曰 君子 懷德하고 小人은 懷土하며 君子 懷刑하고 小人은 懷禮니라.
군자 회덕 소인 회토 군자 회형 소인 회례
군자는 덕을 생각하며 소인은 땅(좋은 땅에 안주함)을 생각하며, 군자는 형벌(법을 지킴)을 생각하며 소인은 은혜 받기를 생각한다.

30. 子曰 放於利而行이면 多怨이니라. 방어리이행 다원
이익만을 위해서 행동을 하면 원망을 많이 받는다.

31. 子曰 不患無位오 患所以立하며 不患莫己知오 求爲可知也니라.
불환무위 환소이립 불환막기지 구위가지야
벼슬자리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기의 자격을 근심하며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알려질 만 한일을 하고자 노력하라.

32. 子曰 君子는 喩於義하고 小人은 喩於利니라. 군자 유어의 소인 유어리.
군자는 정의를 밝히어 이해하고 소인은 이익을 표준으로 하여 이해한다.

33. 子曰 見賢思齊焉하며 見不賢而內自省也니라.
견현사제언 견불현이내자성야 어진 사람을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며, 어질지 못한 사람을 보면 스스로 깊이 반성한다.

34. 子曰 父母 在어시든 不遠遊하며 遊必有方이니라. 부모 재 불원유 유필유방 부모님 살아 계시면 멀리 떠나지 아니하며, 떠나면 반드시 갈곳을 알려야 한다.

35. 子曰 以約失之者 鮮矣니라. 이약실지자 선의
모든 일을 단단히 죄고 단속하므로써 실수 하는 일이 드물다.

36. 子曰 君子는 欲訥於言而敏於行이니라. 군자 욕눌어언이민어행
군자는 말은 더디되 행동은 민첩하게 하고자 한다.

37. 子曰 德不孤라 必有隣이니라. 덕불고 필유린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으며 반드시 이웃이 있다.

38. 子游曰 事君數이면 斯辱矣오 朋友數이면 斯疏矣니라.
자유왈 사군삭 사욕의 붕우삭 사소의
자유가 말하길 임금을 섬기는데 자주 간하면 욕이 되고 벗을 사귀는데 자주 충고를 하면 사이가 벌어진다. 삭이라 읽으며 너무 번잡하고 지나치다, 세심하고 절박하다.

39. 子貢對曰 - 回也는 聞一以知十하고 賜也는 聞一以知二하노이다. -
자공대왈 회야 문일이지십 사야 문일이지이
자공 대답하길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자공은 하나를 들으면 둘밖에 모릅니다.

41. 子貢이 曰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
자공 왈아불욕인지가저아야 오역욕무가저인
자공이 말하길 나는 남이 나에게 하는것중 좋지 않으면 저도 남에게 시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