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한자한문교육자료

논어 자로편등

작성자연수원|작성시간24.10.09|조회수8 목록 댓글 0

제 13 편 자 로 ( 子 路 )
♣ 앞쪽은 정치에 대한 기록이 많으며 뒤쪽은 성인 군자에 대한 문답으로 이루어짐.

3. -子曰 必也正名乎인저. - 君子 於其所不知에 蓋闕如也니라. -
필야정명호 군자 어기소부지 개궐여야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겠다. --- 군자는 그 알지 못하는 일에는 입을 다물고 있다. ☞ 앞 절은 자로의 정치에 대한 물음에 답이고, 뒷 절은 자로가 아는 척을 하자 한 말씀.

6. 子曰 其身이 正이면 不令而行하고 其身이 不正이면 雖令不從이니라.
기신 정 불령이행 기신 부정 수령부종
그 자신이 바르면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실천이 되고 그 자신이 바르지 않으면 비록 명령을 내려도 따르지 않는다.

13. 子曰 苟正其身矣면 於從政乎에 何有며 不能正其身이면 如正人에 何오.
구정기신의 어종정호 하유 불능정기신 여정인 하
참으로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한다면 정치에 무슨 어려움이 있으며, 그 자신읏 바르게 잡지 못하면 어떻게 남을 바로 잡겠는가.

17. -子曰 無欲速하며 無見小利니 欲速則不達하고 見小利則大事不成이니라.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즉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자하가 거보의 읍장이 되어 정치에 대하여 묻자) 일을 빨리 하려고 하지 말며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아라 빨리 하려 하면 달성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21. 子曰 不得中行而與之인댄 必也狂견乎인저. 狂者는 進取오 견者는 有所不爲也니라. 부득중행이여지 필야광견호 광자 진취 견자 유소불위야
중용의 길을 행하는 사람을 얻어 (후계자로)가르치지 못할바에는 반드시 과격하거나 고집이 센 사람을 택하겠다. 광자는 진취적이며 견자는 함부로 나쁜일을 하지 않는다.☞ 狂者(광자) 는 뜻은 높지만 지혜가 모자란 사람으로 과격함 견者(견자) 는 배운 것은 적지만 절조를 굳게 지키는 사람으로 고집이 있다.

22. 子曰 君子 和而不同 小人은 同而不和니라. 군자 화이부동 소인 동이불화
군자는 남과 화합하되 뇌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뇌동하되 화합하지 않는다.

2. 子曰 君子 泰而不驕하고 小人은 驕而不泰 군자 태이불교 소인 교이불태
군자는 태연하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나 태연하지 못하느니라.

27. 子曰 剛毅木訥이면 近仁이니라. 강의목눌 근인
강직하고 의연하고 질박하고 어눌하면 인에 가깝다.
------------------------------------------

제 14 편 헌 문 ( 憲 問 )
♣ 이 편은 여러나라의 사대부의 말을 기록하였으며 원헌(原憲)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子曰 士而懷居면 不足以爲士矣니라. 사이회거 부족이위사의
선비가 편안하게 살기만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5.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어니와 有言者는 不必有德이니라.
유덕자 필유언 유언자 불필유덕 仁者는 必有勇이어니와 勇者는 不必有仁이니라. 인자 필유용 용자 불필유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들을만한 말을 하지만, 말이 들을만 하다고 다 덕이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인자한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기가 있다고 다 인자한 사람은 아니다.

11.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富而無驕는 易라. 빈이무원 난 부이무교 이
가난하면서 원망하지 않기는 어렵고 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쉬우니라.

13. -見利思義하며 見危授命하며 -견리사의 견위수명
(자로가 성인에 대하여 묻자) 이익이 있으면 의로움인가 생각을 하며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내놓는다.

24. 子曰 君子는 上達하고 小人은 下達이니라. 군자 상달 소인 하달
군자는 날마다 위로 향하여 나아가며 소인은 날마다 아래를 향하여 나아간다.

36. -子曰 何以報德꼬.以直報怨이오 以德報德이하이보덕 이직보원 이덕보덕
(어떤 사람이 은덕으로써 원한을 갚으면 어떠하냐고 묻자) 그러면 은덕에 대해서는 무엇으로 갚겠소 원한은 올바름으로 갚고 은덕은 은덕으로 갚아야 한다.

37. -子曰 不怨天하며 不尤人이오 -불원천 불우인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 공자 스스로 한탄하여 한말로 자기를 알아주는 군주가 없어 자기의 뜻을 펴지 못하지만 자기의 뜻은 하늘만이 알고 있어 남을 탓하지 않는다는 말임.
--------------------------------------
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 문구가 짧은 것이 특색이며 수신과 처세에 관한 구절이 많다.

1. -子曰 君子는 固窮이니 小人은 窮斯濫矣니라. 군자 고궁 소인 궁사람의
군자는 곤궁을 잘 견딜 수 있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마구 행동을 한다.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이면 失人이오 不可與言而與之言이면 失言이니
가여언이불여지언 실인 불가여언이여지언 실언 知者는 不失人이며 亦不失言이니라. 지자 불실인 역불실언
더불어 말할 만한 사람인데 그와 말을 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고, 더불어 말 할만 사람이 안되는 데도 말을 하면 말을 잃고 지혜로운 사람은 사람도 잃지 않고 또한 말도 잃지 않는다.

8. 子曰 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이오 有殺身以成仁이니라.
지사인인 무구생이해인 유살신이성인
뜻이 있는 선비와 어진사람은 삶을 위하여 인을 해치지 않으며 자신을 죽여 인을 이룩하는 일은 있다. (이 구절에서 살신성인이 나옴)
​11. 子曰 人無遠慮면 必有近憂니라. 인무원려 필유근우
사람이 먼 앞날을 걱정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시일에 근심이 생긴다.

14.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이면 則遠怨矣니라. 궁자후이박책어인 즉원원의
자신을 꾸짖기는 엄하게 하고 남을 책망하길 가볍게 하면 남의 원망하는 소리를 멀리할 수 있다.

20. 子曰 君子는 求諸己오 小人은 求諸人이니라. 군자 구저기 소인 구저인
군자는 모든 책임의 소재를 자신에서 구하나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

23. 子貢이 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이까 子曰 其恕乎인저 己所不欲을 勿施於人이 자공 문왈 유일언이가이종신행지자호 기서호 기소불욕 물시어인
자공이 한마디의 말로 평생토록 행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 묻자 그것은 오직 서(용서) 이니라.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 것이니라.

27. 子曰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이니라.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여러 사람이 좋아해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28. 子曰 人能弘道오 非道弘人이니라.
인능홍도 비도홍인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29. 子曰 不而不改 是謂過矣니라. 불이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것을 일러 잘못이라 한다.

36.. 子曰 君子는 貞而不諒이니라. 군자 정이불량
군자는 굳고 바르나 소신을 맹목적으로 고집하지 않는다.
--------------------------------------
제 16 편 계 씨 ( 季 氏 )
♣ 이 편은 긴문장이 많으며, 말한사 람의 이름이 없으며 특히 자왈을 공자왈로
적어 놓았다. 논어의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의 삼론중 제론으로 본다.

1. 不患寡而患不均하며 不患貧而患不安이라 불환과이환불균 불환빈이환불안
(공자가 염유에게 이른 말로) (제후나 사대부가 토지가) 적은 것을 걱정하지 않고 고르지 못함을 근심하며, 가난함을 근심하지 말고 불편한 것을 걱정한다.

蓋均이면 無貧이오. 和면 無寡오 安이면 無傾. 개균 무빈 . 화 무과 안 무경
대체로 (토지를) 균등하게 하면 가난하지 않고 화합하면 (백성이) 적을 수 없고 (인심이) 안정되면(나라나 집안이) 기울어지지(망하지) 않는다.

4. 孔子曰 益者 三友오 損者 三友니 友直하며 友諒하며 友多聞이면 益矣오
공자왈 익자 삼우 손자 삼우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
유익한 벗이 셋이 있고 해로운 벗이 셋이다. 정직 한사람을 벗하고,성실한 사람을 벗하고, 견문이 많은 박학다식한 사람을 벗하면 유익하고
友便僻하며 友善柔하며 友便녕 이면 損矣니라.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
편벽(겉치레만 하는 사람)한 사람과 벗하며, 아첨 잘하는 사람과 벗하며, 거짓말 잘하는 사람과 벗하면 해로우니라.

5. 孔子曰 益者 三樂오 損者 三樂니 樂節禮樂하며 樂道人之善하며 樂多賢友면 益矣오 공자왈 익자 삼요 손자 삼요 요절예악 요도인지선 요다현우 익의
유익한 즐거움이 셋 있고 해로운 즐거움이 셋 있다. 예악으로 절제함을 즐기고 남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