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한자한문교육자료

[스크랩] 성학십도聖學十圖

작성자신망예|작성시간08.02.09|조회수113 목록 댓글 0

성학십도聖學十圖

성학십도는 조선 중기의 유학자儒學者 퇴계 이황李滉이

선조 宣祖 1년(1568년) 12월 임금에게 올린 상소문上疏文 1책·목판본 으로,

선조宣祖가 성군聖君이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군왕群王의 도道에 관한 학문의 요체를

도식圖式으로 설명한 것이다. 
 

『성학십도』라는 명칭은 본래 〈진성학십도차병도進聖學十道 箚幷圖〉로서

퇴계문집〉 내집과 〈퇴계전서〉에 수록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진進·차箚·병幷圖의 글자를 생략하고 『성학십도聖學十道』로 명명되고 있다.

 

♣ 진進은 성학십도의 글을 왕에게 올린다는 뜻.
♣ 차箚는 내용이 비교적 짧은 글을 왕에게 올린다는 뜻으로

      일명 주차奏箚·차문箚文·차자箚子라고 함.
♣ 병도幷圖는 도표圖表를 글과 함께 그려 넣는다는 뜻.
♣ 성학聖學이란 곧 유학儒學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성인聖人이 되도록 하기 위한 학문이 내재되어 있다는 뜻.

이황李滉의『성학십도』는 17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른 선조宣祖 임금에게

68세의 노학자老學者가 즉위 원년에 올렸던 상소문이었음을 감안할 때,

선조로 하여금 성왕聖王이 되게 하여 온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풀도록

간절히 바라는 우국충정에서 저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성학십도는 서론의 내용이 담긴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道箚〉 에서 시작하여

10개의 도표圖表와 그 해설로 되어 있다.

 

♣제1도 : 태극도太極圖
♣제2도 : 서명도西銘圖
♣제3도 : 소학도小學圖
♣제4도 : 대학도大學圖
♣제5도 :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제6도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제7도 : 인설도仁說圖
♣제8도 : 심학도心學圖
♣제9도 : 경재잠도敬齋箴圖
♣제10도: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道箚에서“백성의 지도자인 왕에게는 모든 책임이 모이는 곳이며,

온갖 욕심이 잡다하게 나타나는 자리이고,

간사한 사람이 속출하는 곳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태만하고 소홀히 하여 방종이 따르게 된다면,

산이 무너지고 바다에 해일이 일어나는 것 같은 위기가 오고 말 것이니,

항상 조심하고 두려워하며 삼가 애틋한 마음가짐으로 날마다 생활 하여도 오히려 부족하다”

라고 하면서 왕 한 사람의 마음가짐이 매우 중요함을 밝히고 있다.

 

열 개의 도표 가운데 일곱 개는 옛 성현聖賢들이 작성한 것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을 골랐고,

나머지 소학도小學圖·백록동 규도白鹿洞規圖·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의 도표는

이황李滉 자신이 작성한 것이다.
 

열 개 도圖의 내용 서술은 도표와 함께 반드시 앞 부분에서 경서經書와 주희朱熹 및

그 밖의 성현聖賢의 글 가운데 적절한 내용을 인용한 뒤 자신의 학설을 주장하고 있다. 
 

제일도第一圖에서 제오도第五圖까지는“천도天道에 기본을 둔 것으로서,

그 공과功過는 인륜人倫을 밝히고 덕업德業을 이룩하도록 노력하는데 있는 것이다”

라고 하여 천도天道에 근원한 성학聖學을 설명하였다. 
 

제육도第六圖에서 제십도第十圖까지는“심성心性에 근원을 둔 것으로서,

그 요령은 일상생활에서 힘써 공경하고 두려워 하는 마음을 높이는데 있는 것이다”

하여 심성心性에 근원한 성학聖學을 설명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경북문화관광해설사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