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한자한문교육자료

[스크랩] 불교 용어 해설

작성자연수원|작성시간10.09.06|조회수103 목록 댓글 0

 

불교 용어 해설

가람(伽藍) 스님들이 한데 모여서 수행 생활을 하는 장소, 산스크리트 어 ‘상가 아라마’를 음역한 승가(僧伽)람마의 줄임말. 절. 사찰(寺刹), 사원(寺院) 등이 같은말이다. 중국의 선종(禪宗) 사찰이래로 정립된 기본구조는 7당 가람이다. 즉 불전 강당 승당 주고 욕실 동사 산문 등이 7당(堂)으로 꼽힌다.

 

각오(覺悟) 마치 잠에서 깨는 것처럼 지혜로써 무명(無明)을 깨치고 진리를 훤히 깨닫는 것을 말한다. 같은 말로 보리 증오(證俉) 깨달음 등이 있다.

 

각자(覺者) 스스로 깨닫고 남을 깨닫게 하는 이 또는 깨닫기 위한 수행을 완전히 마친사람. 부처를 뜻함

 

각해(覺海) 깨달음의 바다

 

각황(覺皇) 깨달음의 황제, 곧 부처님을 가리킴. 각왕(覺王)이라고도 한다.

 

감로(甘露) 천신(天神)의 음료, 하늘에서 내리는 단 이슬이라는 뜻. 불교 경전에서는 주로 부처님의 교법이 중생을 잘 제도하는 데에 비우하는 예로 쓰인다.

 

감로(甘露)도 조상숭배 신앙이나 영혼 숭배 신앙을 표현한 그림. 우란분경 변상도, 영가단 탱화, 감로탱황, 감로와도라고도 한다.

 

감응(感應) 중생의 감(感)과 부처님의 응(應)이 서로 통하여, 불심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 들어가고 중생이 이를 느껴 서로 사귀는 것

 

강림(降臨) 보살이 인간 세상으로 내려오는 것

 

거사(居士) 출가하지 않고 가정에 있으면서 불교에 귀의한 남자

 

건달(乾?)바 심향(尋香), 식향 등으로 변역, 술과 고기는 일체 먹지 않고 향기만 먹고 사는 천신의 일종. 제석천(帝釋天)을 섬기고 음악을 담당하는 신으로 언제나 부처님이 설법하는 것에 나타나 찬탄하며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걸망 출가자가 경전이나 발우 등의 소지품을 넣고 다니는 큰 주머니

 

겁(劫) ①인도에서는 범천(梵天)의 하루, 곧 인간세계의 4억 3천 2백만 년을 1겁이라 함. ②불교에서는 보통 시간 개념으로는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간, 대게 겁을 표현하는데 개자 또는 불석의 두가지 비유를 든다. 개자겁이란 둘레 40리 되는 성중에 개자를 가득 채워놓고 장수(長壽) 천인(天人)이 3년마다 한 알 씩 빼낸다면 모두 없어질 때까지의 기간을 1겁이라 함, 불석겁이란 둘레 40리가 되는 돌을 하늘사람이 무게가 3수되는 천의(天衣)로써 3년마다 1번씩 스쳐서 그 돌이 달아서 없어질 때까지의 기간을 1겁이라함.

 

겁화(劫火) 큰 3재(災)중의 하나로 세계가 괴멸할 때 일어나는 큰화재. 일곱 개의 해가 나타나 초선(初禪)천(天)가지 모두 다 이 화재로 불타 버린다는 무서운 불꽃

계송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거나 교리를 기록한 것. 대략 3-8자를 1구로 하고 4구를 1게송으로 한다.

 

견성(見性) 자기의 심성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와 일치하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

 

결가부좌(結跏趺坐) 석가모니의 좌법(坐法)에서 유래된 것으로 앉는 방법의 하나. 양다리를 교차시킨 뒤 왼쪽발을 오른쪽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오른발을 왼쪽 허벅다리에 올려놓는 좌법, 전가(全跏)부좌, 본가부좌, 여래(如來)좌 등으로 불림

 

경계(境界) 감각기관 및 의식(意識)을 주관하는 마음의 대상

계(戒) 죄악을 범하지 못하게 하는 규정, 방비(防備)지악(止惡)을 뜻함

 

계족(戒足)도(道) 계의 발로써 도의 길을 밟아서 모든 덕이 원만하고 일체의 악이 다 없어져 적멸한 원적산에 올라간다는 뜻.

 

계청(啓請) 다라니를 외우기 전에 관세음 보살과 다라니를 찬탄하며 관세음 보살을 따라 큰 원(願)을 일으키며 여러 불보살에게 청원하는 것

 

고해(苦海) 사바세계를 듯함, 이세상은 생로병사(生老病死)등의 4고(苦) 8고(苦)가 있는 괴로움의 바다라는 뜻. 8고는 생로병사외 사람하는 이와 헤어지는 고,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는 고, 구하여도 얻지 못하는 고, 오온(五蘊)에 집착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고 등의 4고를 더하여 말한다.

 

곤륜(崑崙) 곤륜산을 뜻함. 중국 절강성에 있는 산이름. 옥이 많이 나오며 불사(不死)의 선녀인 서왕모가 산다는 서방의 낙토(樂土)를 상징함.

 

공양(供養) 공시(供施), 공급(供給), 공(供)이라고도함, 공급하여 자양(慈養)한다는 뜻. 음식, 옷 등을 3보, 부모, 스승, 죽은이등에 공급하는 것

 

과(果) 열매라는 뜻.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법을 말한다. 선한 원인에따라 일어나는 법을 선과(善果)라고 하며, 부처의 과를 불과(佛果), 묘과(妙果), 무상(無上)과라고 한다.

 

관(觀) 지혜로서 개관의 대경을 조견하는 것. 마음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

 

관세음(觀世音) 보살 일체중생의 온갖 소리를 모두 자유 자재롭게 관찰하고, 천개의 눈과 천 개의 손으로써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해 주는 보살 이름, 관자재(觀自在) 보살 또는 줄여서 관음 보살이라고도 함.

 

구룡(龍) 아홉 마리의 용. 석가모니가 탄생할 때, 하늘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내려와 입으로 물을 뿜어 깨끗이 씻어 주었다는 설화에서 유래됨

 

구업(口業) 입으로 지은 죄업, 즉 거짓말, 발림말, 이간하는말, 악담하는 말등을 말함.

 

구족(具足) 빠짐업이 고루 갖추었다는 뜻

 

군다리 보살 보배병을 들고 있으며, 일체 고액을 제도해 주는 일을 맡아서 자비를 펴는 보살이다.

 

궤범(軌範) 본보기가 되는 규범이나 법도.

나무 산스크리트 어의 음역어, 원뜻은 귀의(歸依), 돌아가 의지함, 생명을 바쳐서 의지하는 것 등을 뜻함

 

나찰(羅刹) 악귀의 이름, 야차(野次)와 함께 비사문천의 권속이라 하며 또는 지옥에 있는 귀신이라고도 한다. 여성은 나찰녀라고 함.

 

남순 동자(童子) 관세음보살을 왼쪽에서 모시는 보처(補處)존의 이름.

 

다기(茶器) 불단 위에 맑고 깨끗한 물을 올리는데 쓰이는 그릇.

 

다라니 총지(摠持), 능차라고 번역함. 모든 악한 법을 끊어 없애고 한량없이 좋은 법을 지니어 가진다는 뜻

 

대각(覺) 스스로 깨닫고 남을 깨닫게 하는 것, 부처님의 다른 이름

 

대륜(大輪) 보살 태장계 금강수원(金剛手院)의 33존중 하나. 미혹을 끊는 지혜와 덕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륜(大輪)이라고 한다. 손에는 3고(錮)의 금강저를 들고 있기 때문에 대륜 금강(金剛)이라고도 한다.

 

대세(大勢)지 보살 뛰어난 지혜를 상징하며 3악도(惡道)를 떠나 위없는 힘을 얻게 해주고 모든 것을 베풀어 주는 보살이다. 아미타 3존불 중하나로서 아미타불의 우보(右輔)처 보살이다. 득대세(得大勢) 보살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세지 보살이라고도 한다.

 

대장경(大藏經) 부처님의 교설을 모아 놓은 경문에 대한 총칭. 일체경(一切經) 또는 삼장경이라고도 함. 줄여서 장경(藏經)이라고 한다.

 

도량 도를 닦는 장소, 불교의 수행처를 가리키는 말 석가모니 부처가 성도(成道)한 장소.

 

도산(刀山) 칼산 지옥. 10대지옥의 하나로서 칼이 박혀있는 산을 밟고 가는 고통을 겪는 지옥

 

돈오(頓悟) 일순간에 깨우침을 얻는 것. 깊고 묘한 교리를 듣고 단박에 깨닫는 것

 

동안거(冬安居) 겨울동안에 승려들이 한곳에 모여 있으면서 도업(道業)을 수행하는 것. 여름철의 안거는 하안거라고 함

득도(得度) 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향인 열반에 이르는 것. 또는 불도 수행을 완성하는 것.

 

마군(摩軍) 악마들의 군병. 불도 수행을 방해하는 온갖악한 일을 모두 마군이라고도 한다.

 

마니(摩尼) 여의주(如意珠)를 가르킴. 이구슬은 용왕의 뇌속에서 나온것이라 하며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이 해칠수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는 공덕이 있다고 함.

 

마하(摩何) 크다, 많다, 뛰어나다는 뜻

 

마하살(薩) 대사(大士)의 원어인 마하삿트와의 음역어로 보살에 대한 미칭(美稱). 보살은 자리(自利) 이타(利他)의 대원행(大願行)을 가졌으므로 마하살이라 함. 부처를 제외하고 중생가운데서 맨 윗자리에 있으므로 대(大)자를 더하여 대사라고 한다.

 

만다라 모든 법을 원만하게 갖추어 결함이 없는 것을 뜻함. 단(壇), 도량, 윤원구족(具足)등으로 번역된다.

 

만월(滿月)보살 둥근 달과 같이 공덕이 원만하고 상호가 원만한 보살로서 빛을 모든 중생에게 골고루 비춰준다. 관음 보살의 화신임.

 

명주(明珠) 명월(明月) 마니 라고도 함. 보주의 빛이 밝은 달과 같으므로 이롸 간이 말함.

 

명호(名號) 이름과 호칭. 특히 불보살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

 

목환자(木患子) 무환자과의 낙엽교목. 열매는 염주의 소재가 된다. 무환자(無患子) 또는 목란자(木欒子) 나무라고도 한다.

 

몽중(夢中)사 꿈속의 일. 허망한 인생이 바로 꿈을 꾸고있는 것 같다고 비유한말

 

묘각(妙覺) 불과(佛果)를 말함. 보살 수행의 계위(階位)중 마지막 단계. 등각(等覺)위에 있는 보살이 다시 무명을 끊고 이지위에 들어간다. 온갖 번뇌를 끊어 버린 부처의 자리이다.

 

묘경(妙境) 불가사의 한 경계. 관법의 지혜로 볼때에는 그 대상인 만법의 하나 하나가 모두 실상의 이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뜻함.

 

묘법(妙法) 미묘한 법문. 묘란 불가사의한 것, 법은 교법(敎法)을 뜻한다. 즉 부처님 일대의 설교 전체를 가리킨다. 제법(諸法) 실상(實相)에 대한 법문을 뜻한다.

 

묘용(妙用) 교묘한 할용. 신묘(神妙)한 것

 

무간(無間)지옥 8열(熱) 지옥중 하나. 괴로움이 쉼없고 끝없으므로 무간이라 한다.

 

무기(無記)왕생(往生) 4종 왕생의 하나. 평생동안 신심(信心)을 내어 아미타불의 구도(救度)를 받던이 이는 임중 때에 무심 상태에 빠져서 그대로 절명하더라도 반드시 극락 세계에 왕생하게 되는 것.

 

무념(無念) 대상의 상(相)을 초월한 진여(眞如)의 본성을 관(觀)하여 마음까지도 여의는 것

 

무량광(無量光) 아미타불이 발하는 밝은 빛

 

무량광천(無量光天) 색계18천 중 제 5천이며, 제2선천 중 제2천. 이하늘에 태어나면 몸에서 빛을 발하는 것이 한량없기 때문에 무량광천이라 이름함.

 

무량수(無量壽) 한량없이 긴 생명

 

무량정천 색계의 3선천 중 제 2천. 마음에 즐거운 감각이 있으며, 그 아래 선천보다 승묘함이 헤아릴 수 없기에 무량정천이라함

 

무번천(無煩天) 색계 18천 중 제 14선천 중에서 불환과를 증득한 성자가 거주하는 것인 정거천(淨居天) 중하나

 

무상(無常) 물(物), 심(心)을 비롯하여 모든 사물이 한 찰나에도 생멸 변화하여 상주(常住)하지않음을 뜻한다.

 

무상(無常)각 불과(佛果)를 가리킴. 위가없이 높은 깨달음. 부처님의 지혜로 깨닫는 열반의 묘한 이치

 

무아(無我) 마음이 온통 한곳에 쏠려 자기자신을 잊는 것. 도는 나라는 관념이 없는 것, 자신의 존재마저 잊는 것. 만물은 상주(常住) 불변한 어떤주체도 없다는 사상

 

미륵(彌勒)보살 석가모니가 입적한 뒤 56억 7천만년후에 다시 사바세계에 출현하여 화림원의 용화(龍華)수 아래서 깨달음을 성취한뒤, 용화세계를 건설하고 3회의 설법을 통해 수많은 중생을 구제해줄 보살

 

미진(微塵) 극미(極微)의 일곱 배를 가리키는 말, 극미란 마주 작은 물결을 가르킴.

 

미타(彌陀)굴 아미타불(阿彌陀佛)이 거처하는 곳

 

밀(密)행(行) 비밀한 행 또는 면밀한 행. 남이 살펴도 알수 없는 행동, 오로지 수행에만, 힘쓰는 행업(行業).

 

바라문 인도의 4성계급중 최고의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서 수행자 계급

 

바라밀다 도피안을 뜻하는 음역어, 이상적인 경지인 해탈 열반에 도달하는 것을 뜻함.

 

반야(般若) 법의 실다운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지혜(智慧)

 

반야(般若)선(船) 성불로 이끌어 주는 지혜의 배. 최상의 지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말

 

반연(攀緣) 마음의 대상에 의지해서 작용을 일으키는 것, 번뇌 망상의 시초이며 근본이 된다.

 

발우(鉢盂) 스님들이 공양할 때 사용하는 그릇 종류.

 

발원(發願) 원하고 구(求)하는 마음을 내는 것. 수행에 게으르지 않으며 반드시 증과(證果)에 이르고

자 서원을 세우는 것. 기원(祈願)이라고도 함.

 

방광(方廣) 대승 경저을 가리키는 말. 대승경에 말한 이치는 방정(方正)한 것이므로 방(方)이라 하며, 뜻이 원만히 구비되고 언사가 풍족하므로 광이라 함

 

방편(方便) 방(方)은 방정한 이치 또는 방법을 말하고, 편(便)은 교묘한 말 또는 편리를 뜻한다. 일체 중생의 근성(根性)에 계합하는 교화수단을 말한다.

방표 스님들이 입는 4각형 가사

 

백고좌(百高座) 법회의 이름. 사자좌 100개를 만들고 큰스님들을 모셔다가 설법하는 대법회를 말한다. 수나라의 사신 왕세의 가 왔을 때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차리고, 원광법사 등을 맞아 들여 경법을 설한 것이 우리나라의 최초었다.

 

백의(白衣) 관음 33관음 보살 중 하나. 항상 힌옷을 입고 힌 연꽃위에 않아 있는 관세음 보살.

 

백팔번뇌(百八煩惱) 108결(結)이라고도 한다.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종이라는 말이다. 6근(根)으로 6진(塵)을 대할 때 저마다 호(好), 오(惡), 평등(平等)등의 세 가지가 서로 같지않아서 18번뇌를 일으키고, 또 고(苦), 낙(樂), 사(捨)등 3수가 있어 18번뇌를 내므로 모두 합하면 36종, 다시 과거, 현제, 미래3세(世)로 곱하면 108번뇌가 된다.

 

백호상(白毫相) 32상의 하나. 부처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을 말한다. 깨끗하고 부드러워서 마치 세향과 같으며 오른쪽으로 말린데서 끊임없는 광명을 발한다고 함.

 

번뇌(煩惱) 자아를 중심으로 햐여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눈앞의 고락(苦樂)에 미혹되고, 탐욕, 진심(嗔心), 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작용이다.

 

번뇌(煩惱)장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방해해서 열반을 얻지 못하게 하는 번뇌의 장애.

 

범어(梵語) 고대 인도에서 쓰였던 아어(雅語). 곧 산스크리트 어를 지칭한다. 이는 완성이란 뜻을 가졌다. 교양 있는 사회의 용어로써 완성된 언어를 가리킴, 범토의 말이라 범어라고 한다. 교 경전 중 대부분의 원본은 범어로 쓰여졌다.

 

법(法)공양 보살행을 닦아서 대법을 수호하고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 교법으로써 여래에게 공양하는 것.

 

법계(法戒) ①법(法)은 성법(聖法), 계(界)는 인(因)을 뜻하므로 성법을 내는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함. ②법은 일체 모든 법, 계는 성(性)을 뜻하므로 만류제법의 체성을 말함. ③법은 모든 법, 계는 분제를 뜻하로 분제(粉劑)가 서로 같지 않은 모든 법의 모양으로서 곧 만유 제법을 포함하여 가리키는 말.

 

법난(法難) 역사상 불교 교단이 받은 박해.

 

법당(法堂) 법을 설하는 건물. 선가(禪家)에서 대법을 펴고 종지를 연설하는 등 온갖 법요식을 행하는 곳을 가리킴. 우리 나라에서는 불상을 봉안한 곳도 법당이라 부른다.

 

법랍(法臘) 출가하여 스님이 된 해부터 세는 나이. 납은 연말에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뜻하며, 세말을 일컫는 말이다. 비구는 세속과 달라서 안거의 제도에 의하여 음력 7월 15일을 연말로 하고 안거를 마친 횟수에 의하여 나이를 세게 된다. 법세(法歲), 계랍(戒臘), 하랍(夏臘), 좌랍등이라고도 함.

 

법륜(法輪) 불교의 교법을 가리킴. 부처의 교법이 중생의 번뇌 망상을 없애는 것이 마치 전륜성왕의 윤보(輪寶)가 산과 바다를 부수는 것과 같으므로 법륜이라 한다. 또 교법은 한 사람,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고 늘 굴러서 여러 사람에게 이르는 것이 마치 수레바퀴와 같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법명(法名) 불교에 입문한 이에게 주는 이름. 출가자에게는 집을 버리고 불문에 들어와서 득도식을 마칠 때에 주며, 속가에 있는 신남(信男), 신녀(信女)에게는 수계(受戒)나 귀경(歸敬)식을 할 때에 준다. 법호(法號), 계명(戒名)이라고도 한다.

 

법사(法師) 불법에 정통(精通)하고 청청한 행을 닦아서 세간의 모범이 되어 중생을 교화하는 스님을 말한다. 후세에는 불법을 강설하는 이를 일반적으로 법사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는 법맥을 전해 준 스승을 말한다. 전법(傳法)사의 준말이다.

 

법성(法性)신 법신(法身)의 다른말로 시방 허동에 두루하고 법계의 이치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 빛깔도 형상도 없는 본체(本體)인을 말한다.

 

법신(法身) 진리 그자체. 부처의 3신을 말한다.

 

법요(法要) 교법가운데 요의. 법의 주요한점. 법용(用)용이라고도 부른다.

 

법호(法號) 법휘 법명, 계명이라고도 한다. 불문에 들어온 사람에게 주는 이름이다. 후세에는 죽은뒤에 받는 시호를 법호라 한다.

 

법회(法會) 설법하는 집회 승려와 신도가 한곳에 모여 불사를 하는 모임이다

 

변상(變相)도 부처님의 일대기 또는 불교 설화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

 

보리 깨달음을 뜻하는 산스크리트 어의 음역어. 도(道), 지혜(智慧), 각(覺)등으로 번역함. 불교최고의 이상인 깨달음의 경지. 정각(正覺)의 지혜

 

보리살타 보살의 본딧말. 원어인 보디삿트와의 음역어

 

보살(菩薩) 불과(佛果)을 얻으려고 수행하는 이를 총칭하는말. 재가와 출가를 불문하고 대승 불도를 수행하는 이를 가리킴

 

보시(布施) 자비심으로써 다른 이에게 조건없이 주는 행위.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無畏)시 등이 있다. 흔히 신도들이 스님에게 독경을 청하거나 불사를 행한뒤 공양으로써 금전이나 물품을 주는 것을 가리켜 말함.

 

보타(補?)산 보타(補?)락가산의 줄임말. 산스크리트 어인 포탈라카를 음역하여 보타락가라고 함. 인도의 남쪽해안에 있는 8각형의 산으로서 관세음 보살이 머무는 곳이라 함. 광명(光明)산, 해도(海島)백화(白樺)산등으로 번역함.

 

복전(福田) 불보살과 출가 수행자 등 공양을 받을 만 한 법력이 있는 이에게 공양하면 복이 되는 것이, 마치 농부가 밭에 씨를 뿌려 다음에 수확하는 것과 같다는 비유.

 

부도(?屠)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넣어 안치한 조형물

 

분신(分身) 불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그몸을 나투어 곳곳에 화현하는 것. 변화하여 나타낸 몸을 뜻한다.

 

분향(焚香) 향을 태우는 것. 불공의 일종으로서 의식 외에도 일반적으로 많이 행해지는 예법의 하나.

 

불공(佛供) 불보살에게 향, 등, 꽃, 차, 과일등으로 공양하는 것

 

불상(佛像) 불보살등의 형상을 동, 나무 등으로 조각한 형상, 금속으로 부어 만든 형상, 천이나 종이에

그린 형상, 흙으로 빚어 만든 형상등이 있고, 그 외에도 석상(石像), 목상(木像), 주상(鑄像), 화상(畵像), 토상등이 있다.

 

불심(佛心) 자비와 사랑이 가득찬 부터님 마음, 중생의 마음가운데 본래 구족한 불성(佛性)

 

불자(佛子) 부처의 교법을 신봉하는 이. 일체 중생모두 불성을 갖추어서 부처가 될 수 있으므로 불자라 한다.

 

불전(佛典) 불보살의 상을 봉안한 건물, 인도에서는 향전, 우리나라에서는 법당(法堂), 선종에서는

 

불전(佛典)이라 하며, 설법(說法)당위에 짖는 것이 보통이다. 당우를 많이 짖지 않은 잘에서는 설법당과 겸하여 쓰기도 한다.

비구(比丘) 출가하여 걸식으로 생활하는 남자승려로서 250계를 받아 지니는 이. 걸사(乞士)라고도 하는데, 그까닭은 비구란 항상 밥을 빌어 깨끗하게 생활하기 때문이다. 즉 위로는 법을 빌어 지혜의 목숨을 돕고, 아래로는 밥을 빌어 몸을 기르기 때문에 걸사라 한다.

 

비구니(比丘尼) 출가하여 348계를 받아 지니는 여자 수행자. 석가모니의 이모 마하파자파티가 최초의 비구니이다.

 

빈도(貧道) 도를 닦은 것이 아직 모자란다는 뜻이다. 스님들이 자신을 지칭할 때에 겸허하는 칭호로 쓰인다. 산스크리트어인 사문(沙門)을 번역한 말이다. 사문은 올바른 도를 닦아서 생사의 빈핍(貧乏)을 끊었으므로 이렇게 일컫는다. (1)

 

사경(寫經) 붓으로 쓴 경전. 인쇄술이 발달되지 못하었을때에는 붓으로 경문을 써서 오래 전하고 널리 퍼뜨렸으나 인쇄본이 나온뒤에도 국가를 진호(鎭護)하기 위하거나 부모와 조상의 추복(追覆)을 위하여 지성으로 경문을 베껴쓰기도 한다.

 

사리(舍利) 산스크리트 엉인 샤리라의 음역어, 본래 골조(骨組) 또는 신체를 가리키는 말. 이로부터 유골, 특히 부처의 유골을 가리키는 말로 쓰임. 계(戒), 정(定), 혜(慧)를 갈고 닦은 결정체로서 한량없는 6바라밀의 공덕체이므로 얻기가 매우 어렵다고 하며, 수행자나 불자를 화장할 때 나오는 작은 구슬모양의 결정체. 신골, 영골, 우신 등으로 번역함.

 

사리(舍利)자(子) 석가모니의 10대 제자 중의 한사람이며, 지혜 제일이다. 본래 6사외도의 한사람이며 회의론자였던 산자야의 제자였으나 목건련과 함께 산자야의 제자 250명과 함께 석가모니에게 귀의 했다

 

사문(沙門) 수행자를 가리킴. 슈라마나라는 산스크리트어의 음역어. 부지런히 좋은 일을 닦고 나쁜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외도, 불굗를 불문하고 처자 권속을 버리고 수도 생활을 하는 이를 총칭함. 근식(勤息), 빈도(貧道), 식심(息心), 정지(靜志)등 으로 번역함

 

사바세계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가리키는 말, 사바는 산스크리트 어 사하의 음역어 이며, 인토(忍土), 감(?)인토(忍土), 인계(忍界)등으로 번역한다. 이세상의 중생은 온갖 고통과 고뇌를 인내해야 한다는 뜻을 지님.

 

사부대중 불교 교단을 구성하고 있는 네부류의 사람들, 즉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등을 가리킴.

 

사생(四生)육도(六道) 중생은 모두 네가지로 태어나 크게 여섯가지세계에 살다가 죽는다는 뜻. 6도는 지옥, 아귀 , 축생, 인간, 천상, 아수리 등의 여섯세계를 가리키며, 태어나는 방법에 따라 알로 낳는 난생(卵生), 태로 낳는 태생(胎生), 습기로 인해 태어나는 습생(濕生), 지옥(地獄), 천당(天堂)처럼 화하여 나는 화생(化生)등의 네가지로 분류된다.

 

사시(巳時)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의 시간

 

사십구제 칠칠(七七)재(齎)라고도 한다. 사람이 죽은지 49일동안 7일마다 지내는 법사(法事). 그기간동안은 중유(中有)라고 함. 중유상태에 있는 동안, 살아서 지은 업에 따라 다음 생을 받을 연(緣)이 정해진다. 7일마다 경을 읽고 불보살에게 예배하는 것은 죽은 이가 다음 생에는 좋은 곳에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사의지(四依地) 출가자가 닦아야할 네가지 법. 즉 분소의를 빕는 것, 항상 밥을 빌어먹는 것, 나무아래서 정좌(靜坐)하는 것, 부란(腐爛)약을 쓰는 것 등.

 

사자(師資) 상승(相乘) 스승이 제자에게 학해(學海)법문을 전해주고 제자는 그가르침을 받아 지녀서

그맥이 끊이지 않는 것

 

사자후(獅子吼) 부처의 설법을 사자의 포효에 비유한말. 부처님의 한번 설법에 뭇악마가 굴복하고 귀

의한다는 것을 뜻함. 일반적으로는 크게 외치면서 열변을 토하는 연설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사지(四智) 부처님이 깨달은 네가지의 지혜. 대원경지, 평등성지, 묘관찰지, 성소작지 등

 

삼계(三界)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등 세 종류의 세계, 중생이 생사에 유전하는 어리석음과 괴로움의 세계, 곧 유정(有情)의 경계를 셋으로 나눈 것, 생종의 세계에 대한 분류이므로 3유라고도 한다.

 

삼독(三毒) 탐욕(貪慾), 진에, 우치(愚癡)등의 3종의 번뇌. 3계의 온갖 번뇌를 포섭하고 온갖 번뇌가 중생을 해치는 것이 마치 독사나 독룡과 같아서 독이라 함.

 

삼륜(三輪) 받는 사람, 받는 물건, 주는 사람 등을 가리킴.

 

삼매(三昧) 산란한마음을 한 곳으로 몰아 움직이지 않게 아며 마음을 바르게 하여 망년에서 벗어 나는 것.

산스크리트어인 사마디의 음역어로 삼마지라고도 함. 정(定), 등지(等地), 정수(正受), 조직정, 점심행처등 으로 번역함.

 

삼세인과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생겨나는 인과, 업감(業感)의 이치. 즉 과거의인에 의하여 연재의 과를 받고, 현재의 인에 의하여 미래의 과보를 받는 것을 말한다.

 

삼세제불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

 

삼삽이상 부처님 몸에 갖춘32종의 표상. 이상을 고루갖춘 이라면, 세속에서 전륜성왕이 되며, 출가하

면 깨달음을 얻는다고 함.

 

삼악도(三惡道) 중생이 윤회 전생하는 6도 중에서 지옥, 아귀, 축생 등의 세가지. 죄악을 범한 결과로 태어나서 고통을 받는 악한 곳. 3악취(惡趣)라고도 한다.

 

삼업(三業) ① 신업(身業), 구업(口業), 의업(意業). 곧 신체의 동작, 언어, 의지의 작용등으로 짓는 업. ②복업(욕계의 선과를 받을 업), 비복업(외업이라 하여 욕계의 악과를 받을 업), 부동(不動)업(색계와 무색계에 태어날 선업) ③ 선업(善業)(안온하게 자기의 뜻에 알맞은 결과를 받을 업), 악업(惡業)(자기의 뜻에 맞지 않는 결과를 받을 업, 무기업(無記業)(선악에 치우치지 아니하며 또 선악의 어떤결과도 받지 않는업)

 

삼천(三千) 세계(世界) 소천(小天) 세계가 천 개 합해져서 중천 세계가 되고, 중천 세계가 천 개 합해지면 대천 세계된다. 이를 1대천 세계라 하는데, 이러한 대천(大天) 세계가 3개 모인 것을 일러 삼천 대천세계라 하며, 이를 줄여서 삼천 세계라 한다.

 

상호(相好) 용모와 형상. 상(相)은 몸에 뛰어나게 잘 생긴 부분을 말하고, 호(好)는 상 가운데서 다시 세밀하게 좋은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불보살의 상호에 대해서 32상 80종호를 구별하여 말한다.

 

색(色) 빛깔. 모든 물질의 모양. 외계(外界)의 사물 일체를 총칭한 말. 객관의 세계를 가리킴.

 

생멸(生滅) 생기와 멸진. 인연이 화합하여 성립된 만유가 나고 죽음을 거듭 변천하는 것.

 

생불(生佛) 살아 있는 부처. 즉 부처와도 같이 존경스러운 인물에 대한 찬미어.

 

서방 정토 아미타불의 정토, 극락 세계. 서방에는 수 많은 나라들이 있지만, 서쪽으로 10만억 국토를 지나면 극락 세계가 있다고 함.

선(禪) ① 생각을 고요히 하여 산란치 않게 하는 것. 마음을 한 곳에 모아 고요한 경지에 드는 일. 조용히 앉아 선악을 생각하지 않고 시비에 관계치 않고 유무에 간섭하지 않아서, 안락 자재한 경계에 마음을 소요(逍遙)케 하는 것. 좌선(坐禪)의 줄임말. ②선을 주된 수행방법으로 삼는 종파인 선종(禪宗)의 줄임말.

 

선교(禪敎) 양종(兩宗) 선종과 교종. 조선 시대 때 7종으로 갈라졌던 불교 종파를 선종과 교종, 두 파로 통폐합 한 것 . 세종6년(1424)에 조계종, 총남종, 천태종을 합하여 선종으로, 화엄종, 자은종, 증신종, 시흥종을 합하여 교종이라 하고, 홍천사를 선종 도회소, 흥덕사를 교종 도회소로 삼았다.

선근(善根) 좋은 과보를 받을 좋은 인(因). 착한 행업의 공덕 선근을 심으면 반드시 이 선과(善果)를 맺는다고 한다. 온갖 선을 내는 근본이란 뜻.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女人) ①지난 세상에서 지은 선한 공덕이 현세에 나타나 부처님의 교법을 듣고 믿는 사람. ② 현생에서 불법을 믿고 선을 닦는 남녀. ③ 부처님 명호를 듣고 염불하는 남자와 여자. 예를 들면 죄악이 많은 이라도 마음을 돌이켜 참회하고 염불하면 곧 선남자 선여인이라 함.

 

선방(禪房) 참선(參禪) 수행을 하는 방. 시끄러운 세속을 떠나 조용히 불도를 닦는 선실(禪室).

 

선사(禪師) 선정 수행에 뛰어난 스님에 대한 호칭.

 

선재 동자 화엄경의 입법계픔에 나오는 구도자의 이름. 53선지식을 차례로 만난 뒤, 맨 마지막으로 보현 보살을 만나서 10대원을 듣게 되는 동자의 구법 행로는 대승 보살의 구도행을 대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선지식(善知識) 부처의 교법을 다른 이들에게 설하여 고통을 벗어나게 돕는 이. 남녀 노소,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 불연을 맺게 해 주는 이를 지칭하는 말.

 

설교(說敎) 교법을 말하여 사람들을 인도하는 것. 설법이라고도 함.

세간 중생이 서로 의지하며 사는 세상.

 

소의(所衣) 경전 각 종파에서 근본 경전으로 의지하는 경전.

수계 계를 받음. 소승 계율에는 5계, 8계, 10계, 250계, 대승 계율에는 10중금계,48경계,3취정계 등이 있다.

 

수기(授記) 부처님이 보살 성문들에게 다음 세상에 성불할 것을 약속하는 것.

 

수라(修羅) 싸움을 좋아하는 천신. 남이 잘되는 것이나 선한 행을 싫어하고 방해하여 다른 천신과 항상 싸움만 하는 신. 아수라의 줄임말.

 

수미(須彌)산 세계의 중심에 있는 산, 높이는 8만 유순이며 꼭대기에는 제석천이, 중턱에는 4천왕이 산다고 함.

 

수월(水月) 보살 32관음의 하나. 밝은 달이 바다 위를 환하게 비쳤을 때, 연꽃 위에 서 있는 상태로 몸을 나타내는 관음 보살.

 

순생(生) 순생업을 뜻하며, 금생에 지은 과보를 다음 생에서 받는 것을 말함.

 

 

순현(現) 순현업을 뜻하며, 금생에 지은 업의 과보를 금생에 받는 것.

 

순후업 현세에서 지은 행업으로 제3생이후에 받는 과보.

스님 스승님을 뜻함. ① 도제가 자신의 은사나 법사를 존경하여 부르는 호칭. ②자기와 사자의 관계가 없어도 상대하여 말할 때 존칭하여 부르는 호칭. ③옛날과 지금을 막론하고 보통 이름, 특히 법호밑에 붙여 부른 말. 예컨대 원효 스님, 청허 스님 등. ④직명 밑에 붙여서 부르는 호칭. 예컨대 종정 스님, 주지 스님 등. ⑤ 일반적으로 출가 수도하는 승려를 통칭하는 말.

 

승당(僧堂) 많은 승려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을 총칭하는 말.

시방 세계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남, 서북, 상, 하 등 10방위에 있는 무수한 세계.

 

식(識) 심왕(心王)식, 분별을 일으키는 의식의 근원.

 

신광(神光) ①마음을 가리킴, 인간의 본성인 심성이 오묘하다는 것을 비유한 말.② 불보살이 발하는 불사의한 빛. ③ 중국 선종의 제2조였던 혜가 스님(487~593년)의 이름.

 

신도(信徒) 일반적으로 불법을 믿는 세속 재가자를 일컫는 말.

 

신통(神通) 선정의 수행을 통해서 얻어지는 자유로운 초인간적인 능력.

심우도 수행자가 정진 수행을 통해서 자기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 전체 과정이 10단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십우도라고도 함.

십일면 보살 아수라에 빠진 중생을 구제하는 관음.

 

아귀(餓鬼) 굶주린 귀신. 살아서 남의 재산을 많이 강탈하고 인색하게 살면 죽은 뒤에 아귀보를 받는다고 한다. 목은 바늘 구멍만 하고 배는 큰 산과 같은데 음식이 입에 들어가면 불로 변하기 때문에 아무 것도 먹을 수 없는 고통을 받는 귀신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아누다라삼막삼보리의 속음.

 

아누다라삼막삼보리 무상(無上) 정등 정각(正覺), 무상(無上) 정등각(等覺)등각 등으로 번역함. 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으로서 불과의 지혜를 가리키는 말.

 

아라한(阿羅漢) 존경받을 만한 성자. 대승 불교에서 소승의 성자를 가리키는 말. 응공이라고도 하며 여래의 열 가지 칭호 가운데 하나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 줄여서 미타 또는 여러 이름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아미타불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 함.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백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로 기원하였다. 또 48원을 세워 자기와 남들이 함께 성불하기를 소원하면서 장구한 수행을 거듭한 끝에 마침내 성불하여 아미타불이 되었다. 오랜 예적에 성불한 아미타불에 대하여 이 부처님을 10겁 전에 성불한 아미타불이라 한다.

 

아비 지옥 무간 지옥이라고 하며 8열 지옥 중 가장 밑에 있는 지옥.

 

아수라(阿修羅) 싸우기를 좋아하는 천신. 줄여서 수라라고도 함.

아승기겁 산스크리트 어 아상키야 칼파의 음역어. 헤아릴 수 없이 긴 시간을 뜻함. 겁이란 인간이 상상하기 어려운 영원에 가까운 시간의 단위이며, 아승기는 인도에서 사용하는 수의 단위로서 헤아릴 수 없는 수를 뜻한다. 따라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무한한 시간을 가리켜 아승기겁 또는 줄여서 아승기라고 함.

 

아승지겁 아승기겁의 속음.

 

악업(惡業) 악한 결과를 받을 입,몸,뜻으로 짓는 동작이다. 5악, 10악 등이 있다.

 

안거(安居) 출가 수행자들이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한 곳에 모여서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제도. 고대 인도의 브라만 교에 안거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6군 비구들이 여름에 행각하다가 폭풍우를 만나고 초목과 벌레들을 죽이게 되어 많은 비난을 받았으므로, 비가 오는 때에는 외출을 금지하고 한 곳에 머물러 있던 것이 음력 10월 15일부터 정월 15일까지 겨울 안거를 지낸다.

 

업(業) 입,몸,뜻으로 짓는 말과 동작과 생각하는 것과 그 세력. 선업과 악업이 있으며 10선업, 10악업 등 여러 종류의 업으로 나뉜다. 때로는 악업의 경우만을 업이라고 지칭하여 말하기도 한다.

 

업보(業報) 선악의 업에 의해 받는 고락의 과보.

 

여래(如來) 부처의 다른 이름. 여실한 진리에 수순하며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보여 주는 이

 

여래(如來)십호(十號) 부처의 열 가지 다른 이름. 응공 ㆍ 정변지 ㆍ 명행족 ㆍ 선서 ㆍ 세간해 ㆍ무상사 ㆍ 조어장부 ㆍ천인사 ㆍ불 ㆍ 세존등.

 

여시(如是)아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라는 뜻. 부처님의 가르침을 제자가 들은 바 대로 믿고 의심하지 않음을 선언하는 문구로서 경문의 서두에 쓰이는 상용구.

 

여여(如如) 한결같고 변함이 없다는 뜻.

 

여의(如意)륜 보살 6관음 보살중의 하나. 손에는 여의주와 보륜을 들고 있는데, 여의주는 중생의 소원을 들어주고, 보륜은 불법을 굴리는 것을 상징한다.

 

여의주(如意珠) 뜻한 바대로 모든 것을 이루어 주는 구슬.

 

연등불(練燈佛) 석가모니불의 전생에 보살이었을 때 미래세에 반드시 성불할 것을 수기해 주었던 부처. 제화갈라불, 또는 정광불이라고도 함.

 

연등(燃燈)회 고려 때 왕궁,서울, 시골 할 것 없이 매년 정월 보름날에 이틀 밤 동안 등불을 켰던 풍습. 성종 때 폐지하였다가 현종 1년(1010) 윤 2월에 다시 행하였다. 그 후부터는 매년 2월 보름에 연등회를 베풀었다. 공민왕 1년 (1352) 4월 8일 궁중에 연등을 걸고 궐내에서 100분의 스님에게 공양한 후로 매년 연등회를 거행했다. 조선 시대에도 국초부터 반세기 전까지 왕궁에서 여러 가지 등을 만들어 불을 켰고, 서울 종로에서도 각 상점마다 등을 만들고 불을 켜서 4월 8일을 성대하게 보냈다.

 

연화장 세계 비로자나불이 잇는 공덕무량, 광대 장엄의 세계를 말한다. 십련 화장 자엄 세계해, 연화장 장엄 새계해, 화장계등이라고도 한다.

 

염부(閻浮)제 4주의 하나로서 수미산의 남쪽에 있으며, 7금산과 대철위산 중간, 바다에 있는 대주의 이름, 염부나무가 무성한 나라 또는 염부단금을 산출하는 나라라는 뜻, 섬부주라고도 함.

 

염불 왕생(往生) 아미타불을 믿고 일심으로 그 명호를 부르고, 염불만으로 극락 세계에 왕생하는 것. 염불은 인, 왕생은 과이다. 타력의 인과, 즉 아미타불의 대비 원력의 회향에서 비롯된 것.

 

염불 왕생(往生)원 아미타불 48원 중 제18원. 아미타불의 제도를 믿고 염불하는 중생은 받드시 이 서

방극락 정토에 왕생하도록 서원한 아미타불의 원력.,

 

염불(念佛) ①부처님의 상호를 관찰하면서 그 공덕을 생각하는 것. ②입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외우는 것.

 

염불 삼매(三昧) ①일심으로 부처님의 상호장엄을 관하고 그 관이 성숙하여 법계에 두루한 이법신의 실상을 관하는데 이르는 삼매. ②정토문에서 아미타불만 염하고 생각이 다른 데로 흩어지지 않게 일심으로 이름을 부르는 것.

 

염불(念佛)위선(爲先) 정토에 왕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데는 염불이 첫째라는 말이다.

염주 불보살에게 기도하거나 절을 하면서, 또는 참회할 때 그 수를 헤아리기 위해서 사용하는 법구의 일종. 보통 108개로 되어 있으나 1,000개로 된 염주, 7개,16개,21개 등 손목에 거는 단주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영복(靈福) 영혼의 안락.

 

영산회(靈山會) 석가모니가 영취산에 머물면서 설법하던 때의 모임. 주로 법화경을 설하던 당시의 모임을 지칭한다.

 

영취산 기사굴산을 가리킴. 중인도 마가다국의 왕사성 부근에 있는 산 이름, 석가모니가 설법하던 장소로서, 정상에 독수리 모양의 바위가 있었다고 아여 이름 지어진 산이다. 취두, 취봉, 취대 등으로도 불린다.

 

예(穢)토(土) 정토의 반대어. 더럽고 고통스런 국토, 극락 정토와 대비하여 세속의 중생들이 살아가는 곳을 일컫는 말. 진도라고도 함.

 

오미(五味)죽 선가(禪家)에서 12월8일 석가모니가 성도한 날에 먹는 죽. 5곡을 섞어서 만든 죽이다. 석가모니가 성도하기 전에 수자타가 우유죽을 공양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오방(五方) 동서남북, 4방과 중앙.

 

오백나한(羅漢) 500명의 비구, 500상수라고도 한다 아라한(阿羅漢)과를 중득한 이로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500명의 성자들. 석가모니 당시의 제자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500명의 제자를 가리키며, 그들은 경전을 편찬했던 제1차 결집 때 참여했던 비구들이다. 동북 아시아 지역에서 500나한에 대한 신앙이 특히 성행했다.

 

오온(五蘊) 존재를 구성하는 색, 수 , 상 , 행 ,식 등 다섯 가지의 요소, 5음,5중, 5취온 이라고도 함.

 

오욕(五慾)락 재물욕,색욕,음식욕,명예욕,수면욕등 인간의 다섯 가지 기본 욕망.

 

오탁(五濁) 말세에 발생하는 사회적, 정신적, 생리적인 다섯 가지의 더러움. 겁탁, 견탁, 번뇌탁, 중생탁, 명탁 등.

 

옥호(玉毫) 32상의 하나. 부처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털.

 

옥황(玉皇) 상제(上帝)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하느님. 옥제라고도 한다.

 

온(蘊) 모임, 쌓임,집적.

 

옴 마니 반메 훔 진언의 일종. 라마교 신자가 염송하는 주문의 하나. 연화수 보살에게 귀의하여 극락에 왕생하기를 바라면서 염송하면, 죽은 뒤에 윤회 전생하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공덕을 얻는다고 한다. ‘관세음 보살 육자 대명왕 진언’ 이라고 함.

 

옹호(擁護) 중생과 불법을 보호하여 지키는 것.

 

왕사 임금의 스승. 나라에서 특별히 인정한 큰 스님에 대한 호칭.

 

왕사성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의 수도.

 

왕생(往生)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다시 태어나는 것.

 

우담발화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자생하는 뽕나무과의 식물에서 피는 꽃 이름. 나무 크기는 한길 남짓하며, 잎은 4~5촌 정도이며, 잎 모양은 뾰족하며 끝이 가늘다. 암수 다른 꽃이 피지만 쉽게 볼 수 없는 은화 식물이다. 불경에서는 우담발화가 3천년 만에 한 번 꽃이 핀다고 하여 상서로운 일 또는 매우 희유한 일에 비유하는 예로써 쓰인다. 담화라고 줄여서 말하거나, 영서화, 공기화, 기공화 등으로 번역한다.

 

운수(雲水) 생활 선승들이 물이나 구름처럼 한 곳에 집착하지 않고 정처 없이 행각하는 것, 아무뜻없이 이리저리 방랑하는 생활이 아니라 선지식을 찾거나, 만행을 통한 구도의 행각을 뜻한다.

 

원각(圓覺)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

 

원력(願力) 서원의 힘.

 

원적(圓寂) 열반과 같은 말로서 번뇌와 잡념의 세계를 여의고 생사를 뛰어넘는 절대의 청정한 경계를 뜻함. 원은 모든 공덕이 원만하다는 뜻이고, 적은 적정하여 고요하다는 뜻이다. 원적은 입적 증 승려의 죽음을 지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위의(威儀) 예법에 맞는 엄숙한 몸가짐.

 

유루(有漏) 번뇌를 뜻함. 즉 번뇌가 있는 것.

 

유정(有情) 중생, 즉 정식이 있는 생물.

 

육신(六神)통 불보살의 여섯 가지 초인적인 능력. 미래 일을 훤히 볼 수 있는 천안통, 무든 것을 다 들을 수 있는 타심통, 과거세의 일을 다 아는 숙명통, 어디든지 갈 수 잇는 신족통, 번뇌를 끊음이 자유 자재한 누진통 등이다.

 

응신(應身) 중생 교화를 위해서 사람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난 부처님의 몸.

 

인과 응보 착한 인에는 착한 과, 악한 인에는 악한 과가 상응하게 나타나 착오가 없음을 말한다.

 

인본주의(人本主義) 인간이 모든 것의 중심이 된다는 사상.

 

입법계품 화엄경의 마지막 품이다. 선재동자가 남방으로 53선지식을 찾아다니면서 도를 구하여 법계의 이치를 터득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60권 화엄겨에서는 제44권 이하이며, 80권 화엄경에서는 제 61권 이하이다.

 

자비(慈悲) 중생에게 낙을 주는 것을 자, 고를 없애주는 것을 비라고 한다. 또는 고를 없애 주는 것을 자, 낙을 주는 것을 비라 하기도 한다.

 

장로(長老) 지혜와 덕이 높고 법랍이 많은 비구를 통칭하는 말. 젊은 스님이 나이든 스님을 높여 부르는 이름이다. 존자, 구수라고도 함.

 

장삼(長衫) 법의의 한 종류, 웃옷인 편삼과 아랫매기인 군자를 위아래로 합쳐서 만든 법복.

 

재(齋) 신,구, 의 삼업을 정제하여 악업을 짓지 않는 것, 법회때 스님이나 세속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것을 말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불보살에게 공양하는 것을 재라 하고, 후세에는 성대하게 불공하는 것을 재라고 한다. 또한 죽은 이를 위하여 천도하는 법회를 재라고 한다.

 

적멸(寂滅) 미혹의 세계를 영원히 이탈한 경계이며 열반과 같은 뜻.

 

적멸궁(寂滅宮)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고 법을 설한 보리 도량을 가리킴.

 

적멸(寂滅)락 미혹의 세계를 영원히 벗어난 경계로서 열반에 드는 즐거움.

불상을 봉안하고,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불도를 닦고 교법을 설하는 공간을 가리킴. 가람, 정사, 사찰 등 다른 여러 이름이 있다.

 

정진(精進) 성불하려고 노력하는 보살이 수행하는 6바라밀의 하나,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으며, 항상 ㅇ요맹하게 나아가는 것이다.

 

정취 보살 관세음 보살의 화현으로서 정취 관음이라고도 부른다. 화엄경 입법계품에 나오며, 해탈문을 널리 설해 주는 보살이다.

 

정토(淨土) 부처님이 있는 청정한 국토. 성불을 말하는 대승 불교에서 인정하는 국토로서 예토의 반대어이다.

 

제바달다 석가모니의 사촌동생의 이름. 석가모니를 해치고자 했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번역하여 조달이라고도 함.

 

조사(祖師) 1종1파의 선덕으로서 후세 사람들이 귀의하고 존경을 받치는 스님. 일반적으로는 1종 1파를 세운 스님을 지칭하는 말.

종송 사찰에서 아침과 저녁, 염불하기 직전에 종이나 금고를 치면서 외우는 경문, 또는 그러한 의식을 가리킴

 

종지 한경전에서 말하여 나타내는 뜻,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교의를 가리킴, 또는 어떤 한 종파의 중심고의를 말함.

 

종풍(宗風) 어느 한종파의 풍의나 가풍

 

주련(柱聯) 사찰의 일주문, 전각, 요사채 등의 기둥에 걸려있는 판목을 가리킴. 해당 건물과 조화를 이루는 내용의 경문이나, 스님들의 계송 등을 담고 있다.

 

죽비(竹?) 법구의 하나. 한 자 반정도의 길이의 대나무, 또는 직경 1촌 5품정도의 나무를 소재로 하여 그길이의 3분의 2쯤은 가운데를 타서 두쪽으로 갈라 지게하고, 3분의 1은 그대로 두어 자루를 만든 것이다. 죽비의 자루는 오른손에 뒤고 가라진부분을 왼쪽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낸다. 죽비자라고도 한다.

 

지옥(地獄) 6도중의 하나. 중생들이 자가가 지은 죄업으로 말미암아 태어나게 되는 지하의 세계이다.

 

찰나(刹那) 한 생각을 일으키는 짧은 순간

 

참선(參禪) 선법을 참구하는 것. 스스로 좌선 수행을 하거나 자기가 모범을 양모하는 선지식을 찿아가서 선을 묻고 배우는 것.

 

참회(懺悔) 스스로 범한죄를 뉘우치고 용서를 비는 것. 불교 도덕을 실천하는데 중요한 의례의 하나. 참회는 그방법과 성질에 따라, 포살이나 자자등이 있다.

 

천개(天蓋) 장엄물의 하나. 닫집이라고도 함, 불보살상이 안치된 불단위에 일산 양식의 덮개를 조성하여 장엄을 도모한 조형물, 본래 비나 먼지 등을 방지 하기 위해서 조성하기 시작했으나, 후대에는 장엄의 기능이 더강조 되었다.

 

천도 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불보살에게 재를 올려서 영혼들로 하여금 정토나 천계에 태어나도록 기원하는 법식, 천혼, 천영이라고도 한다.

 

천수(千手) 보살 : 천개의 손과 천개의 눈으로 중생을 구제해 주는 관음 보살, 6관음중 하나.

 

천안(天眼) 5안의 하나. 천도에 나거나 선을 닦아서 놓은 경지에 이르면 얻게되는 눈,

 

총림(叢林) 여러 승려들이 화합하여 함께 배우며 안거하는 것을 가리킴. 수많은 승려들과 신자들이 모여 있는 것이 마치 나무가 우거진 수풀롸 같다는 비유에서 비롯된말.

 

축생(畜生) 짐승, 곤충 등의 동물을 총칭하는 말.

 

출가(出家) 번뇌에 얽매인 속세의 생활을 버리고 수행자의 생활로 입문하는 것.

 

취사(取捨) 취하는것과 버리는 것

 

칠변(?) 불보살이 갖춘 일곱가지의 능통한 변재

 

칠보(七寶) 일곱가지의 보배. 금, 은, 유리, 파려(수정), 자거(휜산호), 붉은 진주, 마노 등

 

칠성(七星) 북두칠성을 가리킴, 도교에서는 칠성이 인간의 길횽화복을 주재한다고함 이에따라 칠성여래 또는 칠원성군이라한다.

 

탁발(托鉢) 손에 발우를 들고 이집 저 집다니면서 먹을 것을 얻는 것. 출가 수행자의 생활방식을 대표하는 말이다. 단순한 생활양식뿐 아니라 아집과 아만을 없애 주고 보시하는 이의 복덕을 길러주는 공덕이 있으므로, 석가모니 이래로 불교교단의 기본 원칙이었다.

 

탱화 불보살, 성현들의 초상을 그린 그림을 지칭한다. 후불 탱화, 불탱화라고도 한다.

 

통찰(洞察) 환히 살펴서 온통 밝힘

 

파계(破戒) 계를 받은 사람이 신, 구, 의 3업을 조심하지 못하고 계법에 위반되는 일을 하는 것

 

패엽경(貝葉經) 패다리수라는 활엽수 잎에 바늘로 새긴 불경.

 

포교(布敎) 부처님의 법을 널리 세상에 펴는 것

 

피안(彼岸) 저 언덕, 즉 깨달음의 세계를 가리킴.

 

해동(海東) 발해의 동쪽, 즉 우리나라를 가리킴

 

해탈(解脫)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로운 경계에 이르는 것

 

호법(護法) 불법을 지키고 유지함

 

화두(話頭) 선종에서 고칙, 공안 등의 1절이나 1칙을 가리키는 말, 참선 수행자가 궁구하는 근본문제

 

화상(和尙) 아사리와 함께 수계사인 스님을 지친하는 말. 일반적으로 덕이 높은 스님을 가리켜 부르는 호칭

 

화탕지옥(地獄) 끓는 가마솥에 들어가 삶아져서 죽은 다음 다시 살아났다가 다시 또 반복하여 끓는 물에 들어가 삶아지는 고통을 받는 지옥

 

하현(下弦)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어려 모습으로 변하여 세상에 나타나는 것

 

회향(回向) 자기가 닦은 선근 공적을 다른 중생이나 또는 자기의 불과로 되돌리는 것.

 

후광(後光) 뒤에서 발산하는 빛. 불보살상의 머리 뒷부분에 있는 광명.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묵향과 자작나무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