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한자한문교육자료

효-예기, 효경, 사자소학. 천자문 명심보감

작성자연수원|작성시간10.01.23|조회수189 목록 댓글 0

孝 


<四字小學, 禮記, 孝敬>


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孝之始也    立身行道後世揚名 以顯父母孝之終也

신체발부수지부모  불감훼상효지시야  입신행도후세양명 이현부모 효지종야


신체발부수지부모 불감훼상효지시야   身體髮膚受之父母 不敢毁傷孝之始也 


몸은 부모로부터 받은 것이니 훼손하거나 상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효의 시작이다. 


입신행도후세양명 이현부모 효지종야   立身行道後世揚名 以顯父母孝之終也


열심히 노력하여 후에 이름을 높여 부모를 드러내는 것이 효의 마침이다. 라고 하였다.


<千字文 중에서>


蓋此身髮四大五常<계차신발사대오상> 恭惟鞠養豈敢毁傷<공유국양기감훼상>


資父事君曰嚴與敬<자부사군왈엄여경> 孝當竭力忠則盡命<효당갈력충칙진명>


명심보감 효행편 <子曰(자왈>


孝子之事親也(효자지사친야)에 居則致其敬(거즉치기경)하고 養則致其樂(양즉치기락)하고   病則到其憂(병즉치기우)하고 喪則致其哀(상즉치기애)하고   祭則致其嚴(제즉치기엄)이니라.


공자가 말하기를, 효자가 부모를 섬김에 있어 기거할 때에는 그 공경을 다하고, 봉양할 때에는 즐거움을 다하고, 병에 걸리셨을 때에는 근심을 다하고, 돌아가셨을 때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를 지낼 때에는 엄숙함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한자교육연수원 한자교실 교육편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