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중국어공부/연재글

[스크랩] 간체자

작성자연수원|작성시간15.01.08|조회수159 목록 댓글 0
간체자(簡體字)란 복잡한 한자를 간단히 줄여서 쓰는 글자입니다. 반면 예전부터 사용해온 한자를 번잡하다고 하여 번체자(繁體字)라고 부릅니다. 아래에는 번체자와 간체자의 예입니다. 예문 중 기호 '/' 앞의 글자는 우리가 사용하는 번체자이고 뒤쪽이 중국에서 사용하는 간체자입니다.

- 거북 귀(龜)/꾸이(龟)
- 부르짖을 호(號)/하오(号)
- 볼 관(觀)/꾸안(观)
- 놀랄 경(驚)/징(惊)

한눈에 보더라도 간자체가 얼마나 간단고 쉬운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쉬운 간자체를 도입한 이후로 중국에서는 문맹률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간체자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한자를 사용해보면, 한자의 획수가 많고 복잡하여 쓰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것을 느낄 겁니다. 이러한 한자를 좀 더 간단하고 쓰기 쉽게 만들려는 노력은 옛날부터 있어 왔습니다.
중국 한나라 때에 만들어진 초서(草書)도 일종의 간체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긴 장(長)자의 간체자는 长으로 쓰는데, 이 长자는 초서에서 유래된 글자입니다.

이후 주로 민간인 사이에서 간체자를 만들어 사용해 왔습니다. 이러한 글자들을 약자(略字) 혹은 이체자(異體字) 라고 불렀습니다.

1951년에는 국가에서 정식으로 간체자를 만들기로 하고, 1956년에 국무원(國務院)에서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였고, 이를 다시 정리하여 1964년 3월에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습니다. 이후 1986년 최종 발표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 간단하게 변화시킨 글자의 전체 표)에는 2,235자가 실려 있습니다.

간체자를 사용하는 나라는?

간체자는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한자를 사용하는 나라는 많습니다. 대만과 홍콩을 비롯한 많은 동남아 국가들이 한자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이런 나라에서는 간체자를 사용하지 않고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와서 중국의 경제력이 커져 이런 나라와 교류가 활발해지고, 또 중국 관광객들이 많이 흘러들어 감으로써 점차 간체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동남아시아의 화교들도 상용한자를 간체자로 바꾸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아이러니하게도 중국에서는 간체자를 버리고 번체자를 사용하자는 움직임이 일어 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간체자를 배운 중국 사람들이 자신들의 조상들이 남긴 수많은 책들을 읽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옛 문화와의 단절이 일어납니다.
(2) 간체자는 한자가 가지는 풍부한 상형성을 파괴합니다.
(3) 주변의 나라들이 간체자를 사용하지 않아 불편합니다.

하지만 이미 수많은 중국 사람들이 간체자를 사용하고, 또 익숙해 있기 때문에 간체자가 없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간체자와 약자는 어떻게 다른가?

약자(略字)는 글자의 획을 줄여서 간편하게 나타낸 한자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약자는 간체자가 만들어지기 전부터 중국, 일본 등에서 옛날부터 만들어져 사용되었습니다.
간체자(簡體字)는 복잡한 한자를 간단하게 만들어 사용하게함을 목적으로 중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하지만 간체자를 만들 때 대부분의 약자들은 간체자에 편입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몸 체(体)자는 몸 체(體)자의 약자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간체자이기도 합니다.

참고적으로 아래의 글자는 현재 한중일에서 사용하는 한자들입니다. 한국은 대부분 번체로 사용하는 반면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간단한 형태로 생략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 가 변(邊) 홑 단(單) 돌아올 귀(歸) 용 룡(龍) 재주 예(藝) 깨달을 각(覺)
중국
일본

중국의 한자가 여섯가지(육서) 원리에 의해 만들어 졌듯이 간체자도 막무가내로 만든 것이 아니라 몇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 원리를 잘 이해하고 나면, 한자를 알고 있는 사람은 쉽게 간체자를 배울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어떤 원리로 간자체가 만들어졌는지 알아봅시다.

글자의 획순을 줄여서 사용하는 경우

간자체를 만들기 위해 글자에 반복해서 나오는 선(三)이나 점(灬)을 간단하게 한획(丨, / ,一)으로 표시함으로써 획수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주로 부수자가 많은데, 부수는 대부분의 한자에 다 들어가기 때문에 대부분 한자의 획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볼 견(見)/지앤(见)
- 조개 패(貝)/베이(贝)
- 머리 혈(頁)/예(页)
- 말씀 언(言)/이앤(讠)
- 먹을 식(食)/?(饣)
- 긴 장(長)/장,챵(长)
- 말 마(馬)/마(马)
- 고기 어(魚)/위(鱼)
- 새 조(鳥)/니아오(鸟)

글자의 획수를 줄이는 이런 방식은 대부분 한나라 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초서(草書)에서 유래합니다. 초서는 복잡한 획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자를 붓으로 빨리 쓰기 위하여 필요 없는 획수를 줄이고 단순화한 글자입니다.

[사진] 왕휘지가 쓴 초서. 각줄마다 오른쪽에 작은 글씨로 쓴 정자체의 한자가 있습니다. 맨 윗 줄에 긴 장(長)자의 초서를 볼 수 있습니다. 또 오른쪽 맨 아래에 말씀 언(言)자의 초서가 있습니다.

글자의 윤곽만 취해 간단한 모습으로 바꾼 경우

복잡한 글자의 윤곽만 취해 간단한 모습으로 만든 간체자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전체적인 글자 모양이 비슷해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거북 귀(龜)/꾸이(龟) : 거북이의 모습을 90도 돌려 놓은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글자 맨 위가 머리이고, 글자의 왼쪽에 앞 발(彐)과 뒷 발(彐)이 있고, 오른 쪽에 갈라진 모습(X)의 등이 있고, 글자 아래에 꼬리가 있습니다. 이 복잡한 글자는 간자체가 되면서 다리와 몸통 부분이 밭 전(田)자로 간략화되고, 머리와 꼬리는 그대로 남았습니다.
- 가지런할 제(齊)/치(齐)
- 곳집 창(倉)/창(仓)

글자의 일부분을 생략한 경우

간체자를 만드는 방법 중 가장 쉬운 것이 글자의 일부를 생략하는 것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글자들 중 복잡한 글자는 복잡한 부분을 생략하여 간체자를 만들었습니다.

- 구름 운(雲)/윈(云) : 이를 운(云)자는 원래 구름이 떠 다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나중에 '이른다'는 의미로 가차되어 사용되자, 비 우(雨)자를 추가하여 구름 운(雲)자가 만들어졌습니다.
- 기운 기(氣)/치(气) : 기운 기(气)자도 원래 수증기나 아지랭이와 같은 기체가 떠 다니는 모습입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쌀 미(米)자를 추가하였습니다. 쌀로 밥을 지을 때 수증기가 올라 오기 때문입니다.
- 부르짖을 호(號)/하오(号)
- 기록할 록(錄)/루(录)
- 고을 려(麗)/리(丽)

글자의 일부분을 생략하는 경우 구름 운(雲)자나 기운 기(氣)자에서 보듯이 한자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글자의 일부분을 다른 기호로 바꾼 경우

간자체를 만들기 위해 복잡한 부분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복잡한 부분을 간단한 기호로 대체한 글자도 있습니다. 대체되는 기호로는 또 우(又)자, 아닐 부(不)자, 다스릴 예(乂)자가 많이 사용됩니다.

- 한수 한(漢)/한(汉)
- 닭 계(鷄)/지(鸡)
- 볼 관(觀)/꾸안(观)
- 돌아올 환(還)/후안(还)
- 품을 회(懷)/화이(怀)
- 바람 풍(風)/펑(风)
- 지경 구(區)/추(区)

회의문자를 새로 만든 경우

회의문자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들이 몇개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이러한 회의 문자 중 복잡한 회의문자의 일부나 전부를 간단한 다른 글자로 대체하여 새로운 회의 문자를 만들어 간체자를 만들기도 합니다.

- 붓 필(筆)/비(笔) : 붓은 대나무(竹)와 털(毛)로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 눈물 루(淚)/레이(泪) : 눈(目)에서 물(氵)이 나오는 것이 눈물이라는 의미입니다.
- 티끌 진(塵)/쳔(尘) : 흙(土)이 아주 작은(小) 것이 티끌이라는 의미입니다.
- 몸 체(體)/티(体) : 사람(亻)의 근본(本)이 몸이라는 의미입니다.

형성문자를 새로 만든 경우

형성문자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부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가 합쳐져 만든 글자입니다. 이런 형성문자의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를 비슷한 소리가 나는 다른 글자로 변경하여 간자체를 만들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도 바뀌어 완전히 새로운 형성문자를 만들기도 합니다.

- 등잔 등(燈)/떵(灯) : 오를 등(登)자와 발음이 비슷한 넷째 천간 정(丁)자로 바꾸어 간자체로 만들었습니다.
- 울릴 향(響)/샹(响) : 뜻을 나타내는 부수가 소리 음(音)자에서 입 구(口)자로 바뀌었고, 소리를 나타내는 고향 향(鄕)자는 발음이 같은 향할 향(向)자로 바뀌었습니다.
- 놀랄 경(驚)/징(惊) : 놀랄 경(驚)자는 말 마(馬)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공경할 경(敬)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말(馬)이 잘놀라기 때문에 말 마(馬)자가 들어갑니다. 간자체에서는 마음이 놀라므로 마음 심(心/忄)자가 들어 갔고, 공경할 경(敬)/징(敬)자와 소리가 같은 서울 경(京)/징(京)자가 들어 갔습니다.


簡化方法
現行的規範漢字,並不完全依照六書這傳統的漢字法則產生出來。而是採用了以下的方法:
省去字形的一部分。
例:廣(廣)、誇(誇)、滅(滅)、習(習)、寧(寧)、佇(佇)
省去字形的一部分後,再加以變形。
例:婦(婦)、麗(麗)、歸(歸)、顯(顯)、務(務)、寬(寬)
採用繁體字的輪廓特徵。
例:飛(飛)、龜(龜)、齒(齒)、奪(奪)
草書楷化。
例:書(書)、長(長)、樂(樂)、車(車)
以簡單符號替換原來的偏旁。
例:鄧(鄧)、觀(観)、對(對)、難(難)、雞(雞、鷄)、聶(聶)、鳳(鳳)、岡(岡、崗)、風(風)
同音或近音代替。以普通話為準。
例:穀(穀)、醜(醜)、後(後)、只(隻)、幹(乾、幹、榦)
新造會意字。
例:竈(竃)、體(體)
採用筆畫較少的古字。
例:淚(涙)、從(從)、雲(雲)、網(網)
採用筆畫較少的古字,再加以變形。
例:異(異)
改換形聲字的形旁。
例:貓(貓)、狸(貍)、侄(姪)
改換形聲字的聲旁。新的聲旁以普通話為準。
例:斃(斃)、蠟(蠟)、鍾(鐘))
新造形聲字。新的聲旁以普通話為準。
例:護(護)、驚(驚)、膚(膚)、艦(艦)、藝(藝)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