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중국어공부/연재글

중국어듣기 고사성어 교재 <듣기자료 제공함>

작성자연수원|작성시간15.12.27|조회수110 목록 댓글 0

중국어듣기 고사성어

 

一般常識 주제별 漢字成語

<알기 쉬운 학습용 한자성어>교재334-49

60여개 주제별로 되어 있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자관련 일반상식한자로 6과의 출처가 있는 동양고전 명구와 함께 한자공부를 하는 분들을 위한 기본 교육 자료입니다.

 

1) 친구

 

知音(지음):백아(伯牙)와 종자기(鍾子期)사이의 고사로부터 (거문고)소리를 알아듣는다는 뜻에서 유래. 伯牙絶鉉(백아절현)친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水魚之交(수어지교) : 고기와 물과의 관계처럼 떨어질 수 없는 특별한 친분

莫逆之友(막역지우) : 서로 거역하지 아니하는 친구

金蘭之契(금란지계) : 금이나 난초와 같이 귀하고 향기로움을 풍기는 친구의 사이의 맺음(사귐)

管鮑之交(관포지교) : 관중과 포숙의 사귐과 같은 친구 사이의 허물없는 교재

竹馬故友(죽마고우) : 어릴 때, 대나무 말을 타고 놀며 같이 자란 친구

刎頸之交(문경지교) : 대신 목을 내주어도 좋을 정도로 친한 친구의 사귐

 

2) 세상이 변함

 

桑田碧海(상전벽해):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됨

天旋地轉(천선지전):세상일이 크게 변함

吳越同舟(오월동주):서로 원수 사이인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탐

(참고) 吳越同舟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세상 일이 크게 변한다.

 

3)제 삼자가 이득을 취함.

 

漁父之利(어부지리):조개와 도요새가 서로 버티다 어부가 둘을 다 잡아 이득을 봄

犬兎之爭(견토지쟁):개와 토끼가 싸우다 지쳐서 둘 다 쓰러져 숨져 있는 것을 지나가던 농부가 주워서 이득을 봄

 

4)여럿 가운데서 제일 뛰어난 것.

 

白眉(백미):마씨 오형제 중 재주가 뛰어난 맏이 마량이 눈썹이 희었다는 말

鐵中錚錚(철중쟁쟁) : 같은 동아리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을 비유

 

5) 어떤 일에 일관성이 없음.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려의 정책이나 법령은 기껏해야 사흘밖에 가지 못함

早變夕改(조변석개) : 아침저녁으로 뜯어 고침

朝令暮改(조령모개): 아침에 영(명령)을 내리고 저녁에 다시 고침

 

6)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함.

 

緣木求魚(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

陸地行船(육지행선) : 뭍으로 배를 저으려 함

以卵投石(이란투석) : “달걀로 바위 치기

 

7) 무척 위태로운 일의 형세

 

風前燈火(풍전등화):바람 앞에 놓인 등불

焦眉之急(초미지급):눈썹이 타면 끄지 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다급한 일을 일컬음.

危機一髮(위기일발):위급함이 매우 절박한 순간.(거의 여유가 없는 위급한 순간)

累卵之勢(누란지세):새알을 쌓아놓은 듯한 위태로운 형세.

百尺竿頭(백척간두):백척 높이의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 위태로운 지경에 빠짐.

如履薄氷(여리박빙):얇은 얼음을 밟는 것 같다는 뜻

四面楚歌(사면초가):사방에서 적군 초나라 노랫소리가 들려옴. 사면이 모두 적에게 포위되어 고립된 상태.

一觸卽發(일촉즉발) : 조금만 닿아도 곧 폭발할 것 같은 모양. 막 일이 일어날듯 하여 위험한 지경.

 

9)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進退兩難(진퇴양란) : 앞으로 나아가기도 어렵고 뒤로 물러나기도 어려움

進退維谷(진퇴유곡) : 앞으로 나아가도 뒤로 물러나도 골짜기만 있음. 어쩔 수 없는 궁지에 빠진 상태

鷄肋(계륵) : ‘닭갈비라는 뜻으로 먹자니 먹을 것이 없고, 버리자니 아까움

 

10) 아주 무식함.

 

目不識丁(목불식정) : ‘낫 놓고 기역자도 모름

魚魯不辨(어로불변) : ‘자와 자를 분별하지 못함

一字無識(일자무식) : 글자 한자도 알지 못함

 

11) 화합할 수 없는 원수지간.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 얼음과 숯불은 서로 용납되지 아니함

氷炭之間(빙탄지간) : 얼음과 숯불의 사이(관계)

不俱戴天之讐(불구대천지수) : 하늘을 함께 이고 살아갈 수 없는 원수

 

12) 평범한 사람들.

 

甲男乙女(갑남을녀) :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

張三李四(장삼이사) : 장 씨 세 사람과 이 씨네 사람(당시 흔했던 성씨임)

匹夫匹婦(필부필부) : 한 쌍의 지아비와 한 쌍의 지어미

樵童汲婦(초동급부) : 나무하는 아이와 물 긷는 아낙네

 

13) 대세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해 융통성이 없어 무척 고지식함.

 

刻舟求劍(각주구검) : 배에 금을 긋고 칼을 찾음

膠柱鼓瑟(교주고슬) : 이교로 붙이고 거문고를 탐

守株待兎(수주대토) : 구습을 고수하여 변통할 줄 모름. 진보가 없음을 비유

14) 불치의 병처럼 굳어진 자연에 대한 애착

 

泉石膏(천석고황):산수를 사랑하는 것이 정도에 지나쳐 마치 불치의 고질과 같음

煙霞痼疾(천석고황):산수의 경치를 사랑하고 집착 여행을 즐기는 고질 같은 성격

 

15) 아무리 실패하여도 그에 굴하지 아니함.

 

百折不屈(백절불굴) : 여러 번 꺾어져도 굽히지 않음

七顚八起(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째는 꼭 일어남

 

16) 부모님에게 효도를 함.

 

昏定晨省(혼정신성):매일 부모님의 잠자리를 정하고 안녕히 주무셨는지를 살핌

斑衣之戱(반의지희):부모를 위로하려고 색동저고리를 입고 기어가 보임

反哺報恩(반포보은):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

風樹之嘆(풍수지탄):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한 말.

樹欲靜而風不止하고 子欲養而親不待니라”(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은 멎지 아니하고,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그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17) 누군가를 그리워하여 잊지 못함.

 

寤寐不忘(오매불망) : 자나 깨나 잊지 못함

輾轉反側(전전반측) : 누워서 이리 뒤척 저리 뒤척 잠을 이루지 못함

輾轉不寐(전전불매) : 누워서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18) 말이나 글씨로는 전하지 못할 것을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以心傳心(이심전심) :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心心相印(심심상인) : 마음과 마음에 서로를 새김

不立文字(불립문자) : 문자나 말로써 도를 전하지 아니함

敎外別傳(교외별전) : 석가일대의 설교 외에 석가가 마음으로써 따로 심원한(깊은) 뜻을 전함

拈華微笑(염화미소) : 이심전심의 경지를 이름

 

19) 겉 다르고 속 다름.

 

面從腹背(면종복배) : 면전에서는 따르나 뱃속으로는 배반함

勸上搖木(권상요목) : 나무 위에 오르라고 권하고는 오르자마자 아래서 흔들어 댐

羊頭狗肉(양두구육) : 겉으로는 그럴 듯하게 내세우나 속은 음흉한 딴 생각이 있음

敬而遠之(경이원지) : 겉으로는 존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함

口蜜腹劍(구밀복검) : 입 속으로는 꿀을 담고 뱃속으로는 칼을 지녔다는 뜻으로 입으로는 친절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품었음을 비유하여 일컫는 말

表裏不同(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20) 학문에 전념함.

 

自强不息(자강불식) : 스스로 힘써 행하여쉬지 않음

發憤忘食(발분망식) : 발분(분발)하여 끼니를 잊고 노력함

手不釋卷(수불석권) : 손에서 책을 놓을 사이 없이 열심히 공부함

螢窓雪案(형창설안) :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이 비치는 책

상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에 힘씀을 비유한 말.

참고: 螢窓雪案의 고사의 주인공은 차윤손강이다.

切磋啄磨(절차탁마 :옥돌을 쪼고 갈아서 빛을 냄. 곧 학문이나 인격을 수련, 연마함

走馬加鞭(주마가편) : 달리는 말에 채찍을 더한다. 자신의 위치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 노력함.

 

21) 한바탕의 헛된 꿈.

 

南柯一夢(남가일몽) : 꿈과 같이 헛된 한 때의 꿈

一場春夢(일장춘몽) : 한바탕의 봄꿈처럼 헛된 영화(富貴榮華)

邯鄲之夢(한단지몽) : 세상의 부귀영화가 허황됨을 이르는 말.

참고 : 邯鄲之步-“본분을 잊고 억지로 남의 흉내를 내면 실패한다.”는 말로 한단지몽과는 아주 다른 말이다.

 

22) 필요할 때는 취하고 필요 없을 때는 미련 없이 버림.

 

甘呑苦吐(감탄고토) : 달면 삼키고 쓰면 내뱉음

兎死狗烹(토사구팽) :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충실한 사냥개는 주인에게 잡혀 먹힘

원래는 狡兎死良狗烹(교토사양구팽)의 준말로 할 일이 없는 사냥개는 아무리 훌륭해도 쓸모없는 존재가 됨을 이르는 말.

 

23) 아주 빼어난 인물의 여자.

 

傾國之色(경국지색) : 임금이 혹하여 국정을 게을리 함으로써 나라를 위기에 빠뜨리게 할 미인이라는 뜻.

傾城之美(경성지미) : 한 성()을 기울어뜨릴 만한 미색(美色).

花容月態(화용월태) : 꽃 같은 용모에 달 같은 몸매.

丹脣皓齒(단순호치) : 붉은 입술에 흰 이를 가진 여자.

 

24) 앞길이 유망함.

 

前程萬里(전정만리) : 앞길이 구만 리 같음.

鵬程萬里(붕정만리) : 붕새가 날아가는 하늘 길이 만 리로 트임.

 

25) 한 나라의 정사를 떠받들 만한 재목.

 

股肱之臣(고굉지신) : , 다리가 될 만한 신하.

社稷之臣(사직지신) : 사직(왕조)을 지탱할 만한 신하.

棟梁之材(동량지재) : 대들보(동량)가 될 만한 재목.

柱石之臣(주석지신) : 주춧돌(주석)이 될 만한 신하.

 

26) 약자가 강자 틈에 끼어 고생함.

 

鯨戰鰕死(경전하사) :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間於齊楚(간어제초) :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임.

 

27) 매우 가까운 거리나 근소한 차.

 

咫尺之地(지척지지) : 매우 가까운 곳.

咫尺之間(지척지간) : 매우 가까운 거리.

指呼之間(지호지간) : 손짓하여 부를만한 가까운 거리.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 피차의 사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같다. (<孟子>

 

28) 공연히 남에게 의심살 만한 일은 하지 않음.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외밭(오이 밭)에 신을 들여 놓지 않음.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오얏나무 아래에선 갓을 바로 쓰지 않음.

 

29) 견문이 좁아 세상 형편을 모르는 사람.

 

井底之蛙(정저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

坐井觀天(좌정관천) : 우물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 함이니, 견문이 좁음을 뜻함.

管見(관견):붓 대롱 속으로 세상을 보는 것처럼 소견머리가 없음.

通管窺天(통관규천) : 붓 대롱을 통해서 하늘을 엿본다.

 

30) 약자가 강자 틈에 끼어 고생함.

 

鯨戰鰕死(경전하사) :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間於齊楚(간어제초) :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임.

 

31) 일이 다 틀린 후에 뒤늦게 손을 씀.

 

死後藥方文(사후약방문) : 죽은 뒤에야 약방문(藥方文:현대의 처방전)을 줌.

亡羊補牢(망양보뢰) : ()을 잃은 후에 우리를 고침.

渴而穿井(갈이천정) : 목이 마르니까 비로소 우물을 판다.

 

32) 학문에서 진리를 찾기 어려움.

 

亡羊之歎(망양지탄) : 달아날 양을 쫓는데 갈림길이 많아서 잃어버리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다 방면으로 진리를 깨닫기가 어려움을 한탄함을 비유한 말.

多岐亡羊(다기망양) : 여러 갈래의 길에서 양을 잃음.

 

33) 앞날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힘들다.

 

塞翁之馬(새옹지마) : 변방에 사는 늙은이가 기르던 말이 달아났다가 준마와 함께 돌아왔는데, 그 노인의 외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절름발이가 되었다. 때마침 난리가 일어나 성한 젊은이들은 모두 전쟁에 끌려 나가 죽었으나 그 노인의 아들은 절름발이여서 목숨을 보전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

轉禍爲福(전화위복) : 화가 바뀌어 복이 됨

 

34) 부부 사이에 금슬이 좋음.

 

百年偕老(백년해로) : 부부가 화락하게 일생을 늙음.

偕老同穴(해로동혈) : 함께 늙어서 같이 묻힘.

琴瑟相和(금슬상화) :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조화를 잘 이룸을 비유한 말.

 

35) 어떤 일의 시작이나 발단.

 

嚆矢(효시) : ‘우는 화살이란 뜻으로 옛날에 전쟁을 할 경우에 가장 소리가 잘나는 화살을 쏘아서 개전(開戰) 을 알렸다는 데서 유래한 말. )

濫觴(남상) : ‘술잔에서 넘친다. 는 뜻으로 아무리 큰 물줄기라 하더라도 그 근원을 따지고 보면 자그마한 술잔에서 넘치는 물로부터 시작된다는 뜻.

破天荒(파천황) : 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함.

 

36) 몹시 가난함.

 

三旬九食(삼순구식) : 서른 날에 아홉 끼니밖에 못 먹음.

桂玉之嘆(계옥지탄) : 식량 구하기가 계수나무 구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하기가 옥을 구하기만큼 어려움. 계옥지탄은 물가가 너무 비싼 것을 탄식하는 뜻도 있음.

南負女戴(남부여대)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이고 감. 곧 가난한 사람들이 떠돌아다니며 사는 것을 말함.

 

37) 가혹한 정치

 

苛斂誅求(가렴주구) : 세금을 너무 가혹하게 거두어들임.

泡烙之刑(포락지형) : 잔혹하고 가혹한 형벌.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고생.

 

38) ()를 위해 소()를 희생함.

 

先公後私(선공후사) :공적인 것을 앞세우고 사적인 것은 뒤로 함.

大義滅親(대의멸친) : 대의를 위해서 사사로움을 버림.

見危致命(견위치명) : 나라의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버림.

滅私奉公(멸사봉공) : 사를 버리고 공을 위해 희생함.

 

39) 향수(鄕愁)

 

首邱初心(수구초심) :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저 살던 굴 쪽으로 향한다는 뜻,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看雲步月(간운보월) : 낮에는 구름을 바라보고 밤에는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40) 환경의 중요성

 

近墨者黑(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 하면 검게 된다. 좋지 못한 사람과 가까이 하면 악에 물들게 됨.

三遷之敎(삼천지교) : 맹자의 교육을 위하여 그 어머니가 세 번이나 집을 옮긴 일. 교육에는 환경이 중요함.

孟母三遷(맹모삼천) : 孟母三遷之敎의 준말.

橘化爲枳(귤화위지) : 회남의 귤을 회북으로 옮겨 심으면 귤이 탱자가 된다는 말. 환경에 따라 사물의 성질이 달라진다는 말.

 

41) 입장이 서로 뒤바뀜

 

本末顚倒(본말전도) : 일의 원줄기를 잊고 사소한 일에 사로잡힘.

主客顚倒(주객전도) : 입장이 서로 뒤바뀜.

 

42) 이제까지 없었던 일.(사건)

 

前代未聞(전대미문) :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는 일.

前人未踏(전인미답) : 이제까지 아무도 발을 들여놓거나 도달한 사람이 없음.

前無後無(전무후무) :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空前絶後(공전절후) : 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未曾有(미증유) :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본 일이 없음.

 

43) 서로 모순됨.태평함

 

矛盾(모순):창과 방패. 일의 앞뒤가 서로 안 맞는 상태.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함.

自家撞着(자가당착)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아니함. 자기모순.

二律背反(이율배반) : 꼭 같은 근거를 가지고 정당하다고 주장되는 서로 모순되는 두 명제. 관계.

 

44) 시절이 무척 태평함

 

太平聖代(태평성대) : 태평스런 시절

康衢煙月(강구연월) : 강구(康衢)의 거리 풍경(康衢는 지명임)

鼓腹擊壤(고복격양) : 배를 두드리며 흙덩이를 침. 곧 의식(衣食)이 풍족한 상황

擊壤老人(격양노인) :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노인이 땅을 치며 노래함

 

45) 실속이 없음

 

虛張聲勢(허장성세) : 실속이 없으면서 허세만 떠벌림.

虛禮虛飾(허례허식) : 예절, 법식 등을 겉으로만 번드레하게 하는 일.

 

46) 후배나 제자가 선배나 스승보다 더 뛰어남

 

靑出於藍(청출어람) : 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말함.

참고 :靑於藍’(청색은 남색으로부터 나오지만 남색보다 푸르다.)에서 나온 말.

後生可畏(후생가외):‘후배를 선배보다 두려워 하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쓴 말.

 

47) 몹시 지루하거나 애타게 기다림.

 

鶴首苦待(학수고대) : 학의 목처럼 길게 늘여 고대함.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 : 하루가 삼년 같다.

 

48) 학문과 관련된 성어.

 

日就月將(일취월장):날로 달로 나아감. 곧 학문이 계속 발전해 감.

 

刮目相對(괄목상대) : 옛날 중국의 오()나라의 노숙과 여몽 사이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뜻으로, 얼마동안 못 보는 사이에 상대가 깜짝 놀랄 정도의 발전을 보임을 뜻함.

 

49) 독서와 관련된 성어.

 

韋編三絶(위편삼절) : 옛날에 공자가 주역을 즐겨 열심히 읽은 나머지 책을 맨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책을 정독(精讀)함을 일컬음.

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 ()의 두보(杜甫)가 한 말로 남자라면 다섯 수레 정도의 책은 읽어야 한다는 뜻으로 책을 다독(多讀)할 것을 일컬음.

晝耕夜讀(주경야독) :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음.

三餘之功(삼여지공) : 독서하기에 가장 좋은 겨울, , 음우(陰雨)’를 일컬음.

汗牛充棟(한우충동) :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에 가득 찬다는 뜻으로 썩 많은 장서 (臧書)를 이르는 말.

博而不精(박이부정) : 여러 방면으로 널리 아나 정통하지는 못함. , ‘숲은 보되 나무는 보지 못함

博而精(박이정) : 여러 방면으로 널리 알 뿐만 아니라 깊게도 앎. , ‘나무도 보고 숲도 봄

 

博而不精多讀과 연관된 말이며 博而精은 가장 바람직한 독서 방법

 

50) 나이와 관련된 성어.

 

沖年(충년) : 10대의 나이.

志學(지학) : 15.

弱冠(약관) : 20대의 나이.

而立(이립) : 30.

不惑(불혹) : 40.

()(()) : 50

耳順(이순) : 60.

古稀(고희) : 70.

(두보의 한시 곡강(曲江)’에 처음 보인 말. 從心所欲不踰矩(종심소욕불유구)라고도 함.

喜壽(격인) : 77.

米壽(미수) : 88.

白壽(백수) : 99.

 

51) 전쟁에서 유래한 성어.

 

背水之陣(배수지진) : “적과 싸울 때 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친 진이란 말로, 한신이 초나라의 군대와 싸울 때 시용한 진법에서 유래하여 목숨을 걸고 어떤 일에 대처하는 경우를 비유한 말이다.

乾坤一擲(건곤일척) :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나 승패를 겨룸.

捲土重來(권토중래) : 한 번 실패하였다가 세력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

臥薪嘗膽(와신상담) : 원수를 갚으려고 괴롭고 어려운 일을 참으고 겪음. 옛날 오왕 부차가 섶 위에서 잠을 자면서 월왕 구천에게 패한 설움을 설욕하였고, 구천 역시 쓴 쓸개의 맛을 보면서 부차에게 다시 복수를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 성어.

 

52) 소문과 관련된 성어.

 

流言蜚語(유언비어) :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풍설. 떠돌아다니는 말.

道聽途說(도청도설) :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 소문.

街談巷設(가담항설) :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53) 애정과 관련된 성어.

 

戀慕之情(연모지정) :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

相思病(상사병) : 남녀가 서로 몹시 그리워하여 생기는 병.

相思不忘(상사불망) : 서로 그리워하여 잊지 못함.

同病相憐(동병상련) : 같은 병의 환자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 처지가 비슷한 사람끼리 동정함.

 

54) 의리나 은덕을 저버림.

 

背恩忘德(배은망덕) : 은덕을 저버림.

見利忘義(견리망의) :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음.

 

55) 기쁨, 좋음과 관련된 성어.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弄障之慶(농장지경) : ‘()’은 사내아이의 장난감인 구슬이라는 뜻으로, 아들을 낳은 기쁨. 또는 아들을 낳은 일을 이르는 말.

弄瓦之慶(농와지경) : ‘()’는 계집아이의 장난감인 실패라는 뜻으로, 딸을 낳은 기쁨을 이르는 말.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 위에 꽃을 놓는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겹침을 비유.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을수록 더욱 좋음.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57) 슬픔과 관련된 성어.

 

哀而不悲(애이불비) : 속으로는 슬프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김소월 진달래꽃의 사상.

哀而不傷(애이불상) : 슬퍼하되 도를 넘지 아니함.

 

58) 비분(悲憤)과 관련된 성어.

 

天人共怒(천인공노) : 하늘과 땅이 분노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불행 슬퍼한다.

含憤蓄怨(함분축원) : 분하고 원통한 마음을 품음.

悲憤慷慨(비분강개) : 슬프고 분한 느낌이 마음 속에 가득 차 있음.

切齒腐心(절치부심) :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면서 속을 썩임.

 

59) 무례와 관련된 성어.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 같다는 뜻. 거리낌 없이 함부로 행동함.

眼下無人(안하무인) : 방자하고 교만하여 사람을 모두 얕잡아 보는 것.

回賓作主(회빈작주) : 주장하는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함.

厚顔無恥(후안무치) :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름.

破廉恥瀚(파렴치한) : 염치를 모르는 뻔뻔한 사람.

天方地軸(천방지축) : 함부로 날뛰는 모양.

 

60) 불행과 관련된 성어.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불행한 일이 거듭하여 겹침을 비유.

七顚八倒(칠전팔도) :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말로, 실패를 거듭하거나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61) 행복과 관련된 성어.

 

前途有望(전도유망) : 앞으로 잘 될 희망이 있음. 장래가 유망함.

風雲兒(풍운아) : 좋은 기회를 타고 활약하여 세상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

遠禍召福(원화소복) : 재앙을 물리쳐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62) 出衆한 사람.

 

群鷄一鶴(군계일학) : 닭의 무리 가운데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 여럿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사람.

棟梁之材(동량지재) : 한 집안이나 한 나라의 기둥이 될 만한 훌륭한 인재.

鐵中錚錚(철중쟁쟁) : 평범한 사람 가운데서 특별히 뛰어난 사람.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띄게 됨을 이르는 말.

泰斗(태두) : 남에게 존경받는 뛰어난 존재. 泰山北斗의 준말.

綺羅星(기라성) :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 , 실력자들이 늘어선 것을 비유하는 말.

 

63) 속담과 관련된 성어.

 

得朧望蜀(득롱망촉) : 말 타면 경마(말의 고삐) 잡히고 싶다. 농 땅을 얻고 또 촉나라를 탐낸다는 뜻으로 인간의 욕심이 무한정함을 나타냄.

磨斧爲針(마부위침)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도끼를 갈면 바늘이 된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렵 고 험난한 일도 계속 정진하면 꼭 이룰 수가 있다는 말.

登高自卑(등고자비) :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차례를 밟아야 한다는 말.

狐假虎威(호가호위):원님 덕에 나팔 분다.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

金枝玉葉(금지옥엽) : 불면 꺼질까 쥐면 터질까. 아주 귀한 집안의 소중한 자식.

同族相殘(동족상잔) : 갈치가 갈치 꼬리 문다. 동족끼리 서로 헐뜯고 싸움.

 

64) 속담과 관련된 성어.

 

螳螂拒轍(당랑거철):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사마귀가 수레에 항거한다는 뜻으로 자기 힘을 생각하지 않고 강적 앞에서 분수없이 날뛰는 것을 비유한 말.

烏飛梨落(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계도 없는 일인데 우연히 때가 같음으로 인하여 무슨 관계가 있는 것처럼 의심을 받게 되는 것.

咸興差使(함흥차사) : 강원도 포수. 일을 보러 밖에 나간 사람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을 때 하는 말.

走馬加鞭(주마가편) : 닫는 말에 채찍질하랬다. 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잘되어 가도록 부추기거나 몰아침.

走馬看山(주마간산) : 수박 겉핥기.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수를 본다는 뜻으로 바쁘게 대충 보며 지나감을 일컫는 말.

矯角殺牛(교각살우) :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 작은 일을 하려다 큰일을 그르친다는 뜻.

牝鷄司晨(빈계사신)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집안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활달하여 일을 간섭하면 집안 일이 잘 안 된다는 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