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작성자김형선박사|작성시간15.06.05|조회수153 목록 댓글 0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1970년대 남진 가수의 노래 저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님과 함께 한백년 살고 싶어~~~

캬~~~ 이 노래가 생각나는 2015년 3월 18일 아침!!!!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首丘初心 (수구초심) 이라는 말이 있다. 여우는 죽을 때 구릉을 향해 머리를 두고

초심으로 돌아가는 즉 죽어서라도 고향 땅에 묻히고 싶어 하는 마음을 뜻하는 것이다.

도심의 현대인들이 삭막한 도시를 떠나 전원으로 삶의 터를 옮기고 싶어 하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임은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더구나 도시생활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에게 전원주택을 마련한다는 것은

일생동안 단한 번 있을까 한 가슴 벅찬 기쁨이고 기회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급속히 다가오는 전원주택 대중화 시대를 앞두고 콘크리트 벽에 찌든

도시의 울타리를

벗어나 전원생활의 정취와 여유로움을 설계하는 분들에게

세종시 전원주택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전원생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의 유형이 많이 다양해 졌습니다.
은퇴자들의 경우 3억원 정도 투자해 도시근교에 집을 짓고 살겠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젊은 층은 1억~1억5천만원 정도의 투자금으로 교통여건이 좋은 곳을 찾습니다.
전원생활자들의 유형과 준비할 때 유의할 점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전원생활이라고 하면 부유한 사람들의 생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별장처럼 돈을 많이 들여 경관이 뛰어난 곳에 터를 크게 잡아 값비싼 조경수로 정원을 꾸미고 호화롭게 지은 그림 같은 집에 사는 것을 연상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전원생활 개념이 많이 바뀌어 전원생활자의 목적과 취향에 따라 그 모습도 다양하면서 경제적인 규모도 천차만별로 변하고 있습니다.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60대 전후 장년들은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후생활과 건강한 삶을 위해 전원생활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40대 전후 젊은층들이 자녀들의 참교육과 내 집 마련을 위한 통로로 전원생활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전원생활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의 유형이 많이 다양해 졌습니다.
은퇴자들의 경우 3억원 정도 투자해 도시근교에 집을 짓고 살겠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젊은 층은 1억~1억5천만원 정도의 투자금으로 교통여건이 좋은 곳을 찾습니다.
전원생활자들의 유형과 준비할 때 유의할 점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연령대별로 목적과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자유로운 직업을 가진 60대 전후의 장년층은 탈도심 심리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매우 강한 세대로 경관이 좋은 도시근교에 전원주택을 마련해 텃밭과 정원을 가꾸면서 전원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주말주택을 제공해 자연스럽게 화목한 가족관계를 유지하고자 전원생활을 꿈꿉니다. 투자금액으로 3억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2 직장과 사업에서 은퇴한 60대 전후의 사람들은 도심아파트나 주택을 매매해 주변환경이 좋은 곳에 전원주택을 마련하고 텃밭과 정원을 가꾸면서 남은 자금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없는 노후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이들은 전원생활에 3억원 정도 투자를 계획하는데 현명한 은퇴자들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3 40대 전후의 활동성이 강한 젊은층은 교통여건이 좋아져 출퇴근 문제에 큰 불편이 없고 적은 돈으로 집을 마련할 수 있어 가족들과 삶의 질을 높이며 자연 속에서 자녀들에게 참교육을 시키고자 교육시설과 편의시설이 가까이 있는 곳에 전원생활을 둥지를 틉니다. 1억5천만원 정도를 투자해 전원생활을 하려 합니다.
 
4 30대 전후의 자유직업인들도 전원생활의 실수요자들입니다.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해 자유롭게 재택근무하면서 직장일이나 사업을 하려는 층으로 가족과 함께 전원생활을 하기 위해 도시주택 전세금 정도의 자금인 2~3억원을 투자해 주택과 사업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5 건강이 안 좋은 가족을 돌보기 위해 요양시설이 근접한 곳에 농가주택이나 전원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과 가족 중에 호흡기 환자나 아토피성 피부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자연환경이 좋은 곳에 2억원 정도를 투자해 자연친화적인 주택을 마련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6 시간과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주5일근무제가 확산되면서 2시간 내외 거리에 있는 주말주택과 농장에서 가족과 함께 여가를 즐기며 주변에 있는 관광시설과 레저시설을 이용하기위해 1억원 정도를 투자해 토지를 매입하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전원생활을 하고자 하는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토지와 전원주택의 수요가 점점 많아져 농촌이 활성화 되고 국토의 균형발전도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전원생활문화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세종시전원주택-세종시전원생활-세종시땅-세종시토지-세종시전원마을


이런 현실 속에서 전원생활을 하고자하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과 지식이 없고 현실적인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어 엄두를 못 내고 있지만 전원생활교육이나 주변에 있는 경험자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뜻한 바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전원생활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전원생활을 위한  고려할 점들을 몇 가지 언급해 보았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