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기업진단지도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에서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모두 고른 것은

작성자피트|작성시간24.01.24|조회수30 목록 댓글 0

61.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에서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도전적인 목표      ㄴ. 구체적인 목표    ㄷ. 종업원의 목표수용    ㄹ. 목표 달성 과정에 대한 피드백

 

① ㄱ, ㄹ

②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ㄴ, ㄷ, ㄹ

, , ,

 

목표 설정 이론(영어: goal setting theory)

1) Edwin A. Locke에 의해 시작된 동기 이론이다.

2) 인간이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기본적인 가정에 기초하여, 개인이 의 식적으로 얻으려고 설정한 목표가 동기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 론이다. 피드백이 주어질떄 성과가 향상된다.

3) 목표의 구체성: 막연한 목표보다는 구체적인 목표가 성과를 높을 수 있는 행동을 불러일으킨다. 구체적인 목표는 모호성을 감소시켜 주고 행동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해 준다.

4) 목표의 곤란성: 쉬운 목표보다는 다소 어려운 목표가 동기를 더 잘 유 발시킨다. 도전감은 더 큰 집중력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5) 목표설정에의 참여: 구성원들이 목표설정 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

6) 노력에 대한 피드백: 노력에 대하여 피드백이 주어질 때 성과가 향상 될 수 있다.

7) 목표달성에 대한 동료들 간의 경쟁: 동료들간의 경쟁이 성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친 경쟁은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 야 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