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1 기가 갖는 의미(기와 인체와의 관계)

작성자월선당산두목|작성시간07.02.12|조회수209 목록 댓글 0

   기란 무엇 인가 라는 자유 게시판에 피력 한봐 있고, 기공 수련 종류는 선기공, 장밀공, 밀종공, 혜련공, 천주기공, 기타 등이며, 참선, 위빠사나(부처님 호흡법) 명상이 수련방법은 제 각기 차이가 있으나, 복식호흡, 단전호흡,석문호흡, 자연호흡 등 모두가 호흡의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1) 기가 갖는 의미

  기공 수련을 했던 선인들은 기가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이며, 우주에 있는 모든 사물은 기의 운동 변화에 의해서 생기고 사라진다고 생각 하였다. 이 견해가 의학의 영역에도 수용되어 기는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물질이며 기의 운동 변화에 따라 인간의 생명 활동이 나타난다고 생가했다.  ''경악전서''에서도 ''인간의 모든 생명 현상은 기에 의존 하고 있다''설명하고 있다, 청 시대 사람인 유창도 ''의문법률''에서 ''기가 모이면 신체가 만들어지고 기가 흩어지면 신체가 죽는다''고 말하고 있다,  기공의 초보단계는 신체의 기를 쌓는 일이다. 신체의 기는 갖가지 대양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기가 진기, 정기라고도 한다. 진기는 신중의 원기(태어날 때 부모로부터 받은 기)'와 비위가 흡수, 소화, 운송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즉 섭취한 영양 물질이 전화된 정수의 기인 '수곡의 기와 폐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세 부분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진기는 활동력이 매우 강한 정수적인 물질로써 전신에 흐르고 있어 없는 부위가 없고 흐르지 않는 부위가 없다. 그 운동을 동양 의학에서는 '기기'라고 말한다. 기의 체내운동 형식은 주로 승, 강, 출, 입의 네 가지로 표현되고 있다. 인체의 장부와 경락 등의 조직은 모두 진기가 승강 출입하는 장소이다.  진기가 전신의 각 부위에 흐르고 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장부나 경락 등 여러 조직의 생리적인 활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구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호칭이 붙게 되었다.        

0 장부의 기; 진기가 각 장부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것을 장부의 가라고 한다. 예를 들면 심기. 페기, 비기, 위기, 신기 등이 있다.  

0 경락의 기 ;진기가 경락에 흐르고 있는데 이 것을 경락의 가라고 한다, 또한 약해서 경기라 브르기도 한다.  

0 영기 ;혈액과 함께 혈관 속에 흐르고 있는 기를 맣한다.  

0 위기 ;혈관 밖으로 나와 흐르고 있는 기를 말한다, 신속 하면서도 유유히 흐르는 성질을 갖고 있어 혈관에 구애됨이 없이 혈관 밖에서 운행하고 있다.  

0 종기 ; 가슴 속에 축적되어 있는 기를 말한다.  이러한 기의 흐름과 분포에 따라서 기에는 다섯 가지의 기능이 있다.  

(1) 동력작용 

   인체의 성장, 발육 또는 각 장부나 경락 등의 생리, 생화학적인 움직임 또는 혈액 순환, 타액, 분비 등은 모두 기의 여기(원자나 분자의 바깥쪽에 있는 전자가 적당한 자극을 받으면 일정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보다 높은 에너지의 상태로 변화하는 일)와 추진에 의해서 행해진다. 예를 들어 기허(각종 기느이 쇠퇴되어 있는 상태)가 생기면 추진작용이 감퇴되어서 성장발육이 늦어지고 각 장부나 경락의 기능이 감퇴하거나 또는 혈액장해 나 수액장해 등 여러가지 병이 발생한다.      

 (2) 온난 작용    

   인체가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기의 온난 작용에 의해 인체가 조절되기 때문이다. 만일 기의 온난 작용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조절기능을 잃게 되면 한기를 느끼고 사지의 냉각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3) 방어 작용 

   기는 인체를 보호하고 외사(병의 원인이 되는 요소)의 침입을 방어할 수 있다. ''황제내경''의 소문, 평열병론에선 ''사가 모여 있는 부위의 기는 반드시 허 하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기는 기의 방어작용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방어능력이 감퇴되면 사기가 침입하여 병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병이 한창 심할 때 정기가 끊임없이 저항기능을 발휘하여 사기를 극복해나간다면 병사가 소멸되어서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   

(4) 고섭작용  

   체액을 적당하게 배출하게끔 조절하는 '성력 작용' 을 말한다. 기의 성력 작용은 혈액, 땀, 오줌, 정액 등의 배출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혈액을 조절하여 혈관 밖으로 넘쳐나오지 않게 하고 땀이나 오줌의 배출을 통제하고 또 정액을 함부로 내보내지 않는, 즉 유정 시키지 않는 등의 작용을 말한다. 기의 추진작용과 이 고섭작용은 상호모순되면서도 상호협조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는 혈액에 대해서 한편으로는 혈행을 촉진시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혈행을 조절하기도 한다. 이로써 혈액은 정상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기허가 되어 추진작요이 감퇴되면 혈액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며 고섭작용이 감퇴되면 출혈이 유발될 수 있다.     

(5) 기화작용  

   이 작용은 두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하나는 정과 기 또 다른 하나는 진(타액이나 땀, 우줌 등) 사이의 상호전화를 가리킨다. 또 하나는 장부의 어떤 기능을 지적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황제내경''의 '소문, 영란비전론'에서 ''방광은 마치 주의 장관과도 같은 일을 하고 있으며 진액을 축장 하지만 기화되면 배출시킬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의 기화란 방광의 배뇨기능을 가리킨다.   

 이상 기술한 각 작용은 각기 상이하면서도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요컨대 기공은 신체의 기를 수련하는 것이지만, 신체적 관점에서 볼 때 그 기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하나는 신체를 구성하고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정수적인 물질'로서의 의미이다. 또 하나는 장부조직의 ''생리적 기능''으로서의 의미이다, 이 두 가지는 상호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동양 의학에서는 ''기는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물질이다'' 라고 말한다. 기공과 행기는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예방 치료의 중요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기공수련에 의해서 얻어진 인체의 정기는 보건을 위해 지극히 중요한 작용을 한다.  열심히 수련을 통해 건강과 도를 성취 하기를 기대 하면서 대룡산 토굴 선인촌 용마골에서  월해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