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공지

[워크숍공지]데이빗 브레이저 박사 2018년 여름 불교심리치료 및 상담 워크숍 안내 <2018년 7월 30일~8월16일>

작성자Garden|작성시간18.06.20|조회수303 목록 댓글 0


데이빗 브레이저 박사

2018년 여름 불교심리치료 및 상담 워크숍 안내

David Brazier, Ph. D.

BUDDHIST PSYCHOTHERAPY & COUNSELLING WORKSHOPS

on 2018 summer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세계적 불교심리치료 및 상담전문가 David Brazier 박사를 모시고 국제선치료연구소(ITZI) Diploma 과정, Advanced Diploma 과정 2018년 여름워크숍을 하고자합니다. David Brazier 박사님은 영국 아미타 트러스트(Amida Trust) 창립자로서 수행지도자이며 타자중심치료의 공동 창시자이며 현대 불교심리학의 개척자이십니다.

Brazier 박사가 한국에서 이끈 2011년과 2012년 프로그램에 이어 2013년 국제선치료연구소(ITZI: International Zen Therapy Institute)에서 발행하는 자격증(Diploma) 과정 1차 워크숍, 2014년 여름 자격증 과정 제2차 워크숍, 2015년 여름 자격증 과정 3차 워크숍을 진행하여 18, 2017년 여름 워크숍에서는 6명의 국제선치료 상담전문가가 배출되었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국제선치료연구소-한국지부, 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한국불교상담학회가 공동주관하고 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한국불교상담학회, 불교상담개발원이 공동 주최하는 특별한 행사입니다.

이 워크숍은 세계적인 불교심리치료의 대가인 브레이저 박사에게서 직접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참고로 20184월부터 매달 1(5시간) 국제선치료전문가-한국지부 주관으로 통신과정과 동료 간 공부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2018617일까지 2회 진행)

불교심리치료 이론과 실습, 통신과정, 동료 간 공부모임, 개인분석 등을 통해서 불교상담가가 되는 길을 밟아가는 좋은 기회이오니 많은 동참바랍니다.

주관

국제선치료연구소-한국지부

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한국불교상담학회

주최

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한국불교상담학회, 불교상담개발원

후원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대한불교조계종 법련사

 

 

 

1. 일시

< 2018730- 816일 불교심리치료 및 상담 워크숍 일정 >

7/29

 

7/30

<워크숍1>

31

<워크숍1>

8/1

<워크숍1>

2

<워크숍1>

3 <워크숍1>

4

 

8/5

6

<워크숍2>

7

<워크숍2>

8

<워크숍2>

9

<워크숍2>

10

<워크숍2>

11

 

8/12

13

<워크숍3: 전문가>

14

<워크숍3: 전문가>

15

<워크숍3: 전문가>

16

<워크숍3: 전문가>

 

 

 

 

워크숍 1: 가장 소중한 관계

2018730() ~ 83(), 오전 9~ 오후 6. 45시간

 

워크숍 2: 비즈냐나(무의식)의 동굴에 들어가기

201886() ~ 810(), 오전 9~ 오후 6. 45시간

 

워크숍 3: 전문가 과정

2018년 8월 13일(월) ~ 8월 16일(목), 오전 9시 ~ 오후 6시. 36시간


장소: 서울 종로구 삼청로10 (사간동) 법련사 2층 강당

* (사정에 따라 장소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사전 등록신청자에 따라 워크숍 일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수 있습니다))


 

참가인원: 각 워크숍 50(입금 순으로 등록)

 

사전등록 및 워크숍 1,2,3 동시신청 할인

* 사전 등록 할인을 아래 도표를 참고하세요

* David Brazier 박사가 지도한 2011(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주최) 또는 2012(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및 한국불교상담학회 공동주최) 치료적 불교심리학 워크숍과 2013. 2014, 2015, 2017년 디플로마 집중과정을 참석했던 분이 710일까지 워크숍 1,2,3 동시 예약 시 추가 할인.

입금계좌:

국민은행 023501-04-197726 (명상의집자애)

환불규정

<워크숍 1, 2, 3>

2017715일까지 환불신청 시: 100% 환불

2014716~ 각 워크숍 시작 전 날까지 환불신청 시: 80% 환불

워크숍 시작 당일 이후: 환불 불가 (대리참석 불가)

워크숍 신청 및 문의

워크숍 신청이나 관련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총무운영위원 김재성(010-6591-0108, metta4u@nate.com) 또는 한국불교상담학회 간사 윤혜경(010-6746-5926, kbca08@hanmail.net)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혹시 전화를 받지 않으면 '불교심리치료 워크숍 문의'라고 문자메시지를 남겨주시면, 확인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 참가비 안내

주관, 주최, 후원 단체 및 학회 회원

 

1 회 또는 2 회 참가

워크숍 1,2,3 모두 참가

1

2

3

신규자

2011-15, 17 참가자

7/10 까지

55만원

55만원

45만원

145만원

135만원

7/11 부터

60만원

60만원

50만원

155만원

145만원

 

 

* 디플로마과정 등록자 특별할인

디플로마 과정에 등록한, 주관, 주최ㅁ 후원 단체 및 학회 회원

 

1 회 또는 2 회 참가

코스 1,2,3 모두 참가

1

2

3

신규자

2013, 2014, 2015년 집중과정 참가자

7/10 까지

50만원

50만원

40만원

130만원

120만원

7/11 부터

55만원

55만원

45만원

140만원

130만원

 

<워크숍 1, 2, 3 프로그램 일정 안내>

 

워크숍 1

워크숍 2

워크숍 3*

일 시

730~83(5)

(9*5=45시간)

86~10(5)

(9*5=45시간)

813~16(4)

(9*4=36시간)

매일 오전9~ 오후6

장 소

법련사(송광사 서울분원) 2층 강당

서울 종로구 삼청로 10 (지번주소: 종로구 사간동 121-1)

참가비용

주최, 주관, 후원 단체회원 55만원

주최, 주관, 후원 단체 회원 55만원

주최, 주관, 후원 단체 회원 45만원

자료집, 간식, 음료 제공

준 비 물

필기도구 및 개인 컵

워크숍지도자

데이빗 브레이저 박사

진 행 자

백경임교수, 김재성교수

통 역

홍희연 선생님

홍희연 선생님

권선아 선생님

프로그램

가장 소중한 관계

비즈냐나(무의식)의 동굴에 들어가기

전문가 과정

수료증발급

45시간

45시간

36시간

위 시간 IZTIDiploma과정, Advanced Diploma 과정 련시간 인정 및 불교상담개발원, 불교상담전문가, 불교심리치료학회 상담 수련 시간 인정

신청방법1

신청 metta4u@nate.com

계좌번호 - 국민은행 023501-04-197726 (명상의집자애)

한국불교심리치료학회

총무운영위원 김재성 (010-6591-0108)

신청방법2

신청 kbca08@hanmail.net

계좌번호 - 국민은행 023501-04-197726 (명상의집자애)

한국불교상담학회

간사 윤혜경 (010-6746-5926)

*워크숍3은 디플로마과정 등록자를 우선으로 하고, 최소 2013년 이후 디플로마 5일 코스에 한번 이상 참석한 분에 한하지만, 심리학과 상담에 대한 이해가 있는 분이나 관심 있는 분도 참석가능.



2018년 여름 데이빗 브레이저 박사 선치료 3 차례 워크숍

2018 Summer Zen Therapy 3 Workshops by David Brazier

 

1 차 워크숍 : 2018730~ 83(5)

가장 소중한 관계

때로는 내담자와 치료사의 관계는 실제적이며 도구적입니다. 때로는 그것은 깊고 개인적입니다. 때로는 치료사가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내담자는 단지 내담자 일뿐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치료사와의 관계는 내담자의 삶에서 중요한 (심지어 가장 중요한) 관계가 됩니다. 때로는 그 관계는 내담자의 자살을 막아주는 관계입니다. 신뢰의 깊이는 조건들에 달려 있습니다. (신뢰의) 레벨은 자연스럽게 설정되지만, 치료사가 최적의 방법으로 이 상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을 발견하고 필요한 기간 동안 지속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일에 치료사의 큰 책임이 있습니다. 인생은 관계 네트워크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관계 배열에서 안정성을 찾습니다. 그러나 치료 관계는 영속적이기 보다는 의도적으로 시간 제한적이고 촉매적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관계에는 많은 강도의 단계와 다른 특징들이 있습니다. 치료에서 우리는 서로 다른 유형의 관계와 이러한 관계가 내담자의 삶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이 있다는 점을 구별 할 수 있습니다. 이 관계는 내담자의 일상적인 삶에서 가장 도구적인 것에서 가장 친밀한 것까지 내담자가 갖는 관계를 반영합니다. 영적 삶에서도 상가(출가공동체) 안에서의 관계 또는 주인과 제자 사이의 관계는 비슷한 형식의 위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워크숍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치료적 관계를 관찰하고 그것이 과거, 현재, 미래의 가족, 우정 및 내담자의 다른 관계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개인적인 성장, 변형 및 해방을 위한 조건을 창출하는지 살펴볼 것입니다.

 

1st workshop : 30th July to 3rd August - 5days

Most Precious Relationship

Sometim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 therapist is practical and instrumental. Sometimes it is deep and personal. Sometimes the therapist is providing a technical service and the client is just a customer. Sometimes, however, th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becomes, for a time, an important (or even the most important) relationship in the client’s life. Sometimes it is the relationship that is keeping the client from suicide. The depth of trust depends upon conditions. A level is established naturally,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therapist provide the conditions for this to happen in an optimum way. Thus there is a great responsibility upon the therapist to create conditions where the appropriate level can be found and sustained for the necessary period. Life can be viewed as a network of relationships and generally people seek stability in their relationship constellation. However, the therapy relationship is different in being intentionally time limited and catalytic rather than permanent. Relationships have many degrees of intensity and different qualities. In therapy we can distinguish the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that form and the different effects that these can have upon the life of the client. These relationship mirror the relationships that the client has in ordinary life, from the most instrumental to the most intimate. In the spiritual life too, relations within a sangha or between a master and disciple may take on a similar constellation of forms. In this workshop we shall look a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from a number of different perspectives and at how it interacts wit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family, friendship and other relationships of the client, creating the conditions for personal growth, transformation and liberation.

 

2차 워크숍 : 86~ 810(5)

비즈냐나(무의식)의 동굴에 들어가기

 

내담자는 말합니다. "내가 해야 할 일을 알고 있지만 뭔가가 나를 가로 막습니다." 왜 우리는 스스로를 좌절시킬까요? 우리는 왜 우리 인생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지 진정으로 알고 있습니까? 보통은 모르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건이 일어난 후에 합리화합니다. 치료는 내담자의 마음(psyche) 속에 숨겨진 문제를 탐구합니다. 비즈냐나vijñana가 불교 서적에서 "의식"으로 번역 될 때, 이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의식"은 완전히 알고 있는 자료를 제시합니다. 붓다가 비즈냐나vijnaña에 관해 이야기 할 때, 그는 우리가 부분적인 인식만 가지고 있거나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수준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인생에서 우리는 당연한 것으로서 많은 것을 취해야 하며, 우리는 세계를 다루는 방법의 상점이나 레퍼토리를 구축합니다. 서양 심리학에서는 이를 종종 "준거 틀"이라고 부릅니다. 내담자의 창고에 들어가는 것은 동굴속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작은 불빛 가지고 있지만 어둠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동굴 속은 삼스카라samskaras로 가득합니다. 그것은 패턴, 기대, 업의 씨앗, 오래된 상처들, 습관, 미신과 원형들입니다. 대부분 우리는 귀납적 추리에 의해서 일어나는 일들을 말할 수 있을 뿐입니다. 우리는 직접적으로 지각하지 않지만, 내담자의 삶의 접근 방식을 이해할 수 있으며, 직감적으로 공감적 이해로 들어 갈 수 있습니다. 이 공감적 이해를 통해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을 더 깊게 느낄 수 있게 됩니다. 때로는 치료 작업은 이러한 숨겨진 내용을 의식의 빛으로 가져 오는 것이지만, 보통 그렇게 하는 것은 그 자체로 치유가 아니며 결코 영구적인 해결책이 아닙니다. 더 깊은 마음은 신비스런 방식으로 간섭받지 않고 기능 할 수 있어야하지만, 마음이 문제를 만들어 낼 때 어떤 변화를 찾아야 하며 이것이 치료와 영적인 성장의 작업입니다. 올바른 행동 방식을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지만 실행하지 마십시오. 단지 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것보다 더 강력한 힘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것이 붓다가 비즈냐나에 대해 말하는 이유입니다. 이 워크숍에서 우리는 치료의 이러한 기본적인 측면을 검토하고 자신과 타인에게 건강한 변화를 가져올 숙련된 방법(善巧方便)을 찾습니다.

 

2nd workshop: 6th August to 10th August - 5days

Entering the Cave of Vijñana

The client says, “I know what I should do, but something stops me.” Why do we defeat ourselves? Do we really know why we makes the life choices we do? Usually not. We rationalise after the event. Therapy explores matters hidden within the psyche of the client. When the word vijñana is translated as “consciousness” in Buddhist books, this is somewhat misleading. “Consciousness” suggests the material that one is fully aware of. When Buddha talks about vijnaña he is talking about levels of the mind of which we only have partial awareness, or no awareness at all. In life we have to take many things for granted and we build up a store or repertoire of ways of dealing with the world. In Western psychology this is sometimes called the “frame of reference”. Entering the client’s storehouse is like going into a cave. We take a little light, but we are surrounded by darkness. The cave is full of samskaras - patterns, expectations, karmic seeds, old scores, habits, superstitions and archtypes. We can mostly only tell what is going on by induction. We do not have direct perception, but can discern the client’s way of approaching life and intuitively enter into an empathic understanding that gives some feel for what is happening deeper down. Sometimes the job of therapy is to bring these hidden contents up into the light of consciousness, but usually doing so is not healing in itself and is never a permanent solution. The deeper mind needs to be able to function without interference in its mysterious ways, but when it is creating trouble, some change has to be sought and this is the job of therapy and spiritual growth. It is not sufficient to know the right way to behave: many people know what they should do, but do not do it. There are stronger forces at work than the merely conscious and rational and this is why Buddha talks about vijñana. In this workshop we shall examine these fundamental aspects of therapy and seek skilful means to bring about healthy change in ourselves and others.

 

3차 워크숍 (마스터 코스) : 813~ 16 (4)

전문가 반

4일 간의 치료 시연과 반영. 참가자는 자신의 삶에 대해 토론하고 치료자와 상호 작용하며 참가자 그룹이 토론 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기꺼이 받아 들여야 합니다. 이것은 주로 심리치료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워크숍이며, 치료자와 내담자의 역할을 해본 경험이 필요합니다. 참가자는 이전에 브레이저 박사가 지도한 코스 중 적어도 한번 참석했어야합니다. 실제 사례를 토대로 치료 과정의 미세한 부분을 논의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것입니다. 이것은 참가자의 치료적 직감을 배우고 발전시키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치료의 예술은 단순히 모방으로 마스터 할 수는 없지만, 견습생이 스승의 측면을 배우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의 치료사례를 관찰함으로서 배울 수 있습니다. 그 후 반드시 스스로 마스터하고 독창적인 작업을 만들어야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두 치료는 똑같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단순히 기술이 아니라 예술을 이해하는 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기계가 아닙니다. 의미 있는 방식으로 성장하고 발전합니다. 우리 모두는 자신의 영적 여정에 있지만, 다른 의미에서 이 모든 여정을 함께 합니다. 위대한 불교 스승들의 역사에서, 그것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깨달음을 가져 오는 중요한 만남이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열 때만 치유하고 치유될 수 있습니다.

 

3rd workshop(master course): 13th to 16th August - 4days

Master Class

Four days of therapy demonstration and reflection. Participants should be willing to discuss their own lives, interact with the therapist and be willing for these interactions to be discussed by the participant group. This is a workshop primarily for people with some experience of psychotherapy, preferably both in the role of therapist and client. Participants should have attended at least one of Dr. Brazier’s courses previously. There will be opportunity to discuss the fine points of the therapy process on the basis of live examples. This is an excellent way to learn and to develop one’s therapeutic intuition. The art of therapy cannot be mastered merely by imitation, but we can learn from observing the example of others, just as an apprentice learns at the side of the master but then must go and be a master him or herself and produce unique work. Again, no two pieces of therapy are identically the same. Thus we are learning to appreciate the art, not merely the techniques. People are not machines: they grow and develop in meaningful ways. Each is on his or her spiritual journey, yet we are, in another sense, all in this together. In the histories of the great Buddhist masters, it was generally a significant encounter that brought about their illumination. Only when we open our heart to another can we heal and be healed.

 

국제선치료연구소(International Zen therapy Institute)의 대표인 데이빗 브레이저David Brazier 박사는 불교심리학 박사이다. 그는 불교, 심리학 및 심리치료에 관해 국제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그는 10권의 책을 저술 한 저자이며 출판준비 중인 책도 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책은 ��선치료�� Zen Therapy��감성붓다��The Feeling Buddha이다. 그의 다음 저서는 일본의 선사 도겐(Dogen)의 현성공안(現成公案 Genjo Koan)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다. 브레이저Brazier 박사는 프랑스의 지방의 반 휴양지에서 살고 있지만 매년 여행, 가르침, 개인 상담을 하며 지낸다. 그의 심리치료 업무 외에도 인도의 난민 지원, 전후 보스니아 재활 및 영국의 정신과 환자 및 불우한 젊은이들을 위한 여러 가지 활동을 포함하여 여러 국가에서 사회 복지 및 정신 건강 분야의 혁신가였다. 그는 영적 공동체의 창시자이며 아미타불을 신앙하는 정토종인 아미타종 Amida Shu의 지도자이다.

 

Dr David Brazier, English Buddhist teacher, President of International Zen therapy Institute, is a doctor of philosophy in Buddhist psychology. He lectures internationally on Buddhism,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He is the author of ten published books with another in press. His best known books are Zen Therapy and The Feeling Buddha. His next book is a detailed analysis of the text Genjo Koan, by Japanese Zen Master Dogen. Dr. Brazier lives in semi-retreat in a remote part of France but spends part of each year travelling, teaching and giving personal consultations. In addition to his psychotherapeutic work, he has been an innovator in the fields of social aid and of mental health in a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refugee aid in India, post-war rehabilitation in Bosnia and a number of initiatives for psychiatric patients and deprived youth in Britain. He has been a founder of spiritual communities and is the head of the Amida Shu, a Pureland Buddhist order practising devotion to Amitabha Buddha.

<국제선치료연구소ITZI 자격증(Diploma) 과정 안내>

*자격증 이름: Diploma of International Zen Therapy & Buddhist Psychotherapy

*발급기관: International Zen Therapy Institute (President : Dr. David Brazier)

1~2 차례, 2-3년 동안 David Brazier 박사의 직접 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진행될 Diploma course는 위 기관의 Educational Programmes in Buddhist Psychology, Psychotherapy and Zen Therapy에 준하며 전체 교육과정은 한국의 사정에 맞추어 조정될 것입니다.

20138월에 시작한 Diploma 과정은 2015년 말까지 진행되어 1, 20172기 선치료상담전문가를 배출하였습니다. 그 기간 동안 아래에 준하는 워크숍 참석 교육과 교과과정(18 Units 공부) 등을 이수하였습니다. Diploma 과정에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교육과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2015, 2017년도 Diploma 과정을 수료하신 분들은 Advanced Diploma(고급 자격증) 과정이수 시간을 인정받게 됩니다.

현재 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3단계의 교육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Years

(min/max)

 

수련기간

(최소/최장)

 

Attendance

(contact hours)

 

참석시간

 

Practicum

(face to face hrs)

상담 실습

(대면 상담 시간)

 

Academic

 

교과과정

 

Personal Therapy

 

개인 교육 분석

 

 

Foundation

Certificate

기초 수료증과정

 

6 months

to 2 years

6개월 - 2

 

130 hours

 

130시간

 

 

 

Learning Journal

 

 

Diploma

자격증과정

 

2 to 3 years

2-3

 

320 hours

320시간

 

200 hours

200시간

 

18 unit taught distance learning sequence

 

40 hours

40 시간

 

Advanced

Diploma

고급

자격증과정

 

1 to 3 years

 

1-3

 

300 hours

 

300시간

 

250 hours

 

250시간

 

3 written assignments

Or Distance Learning programme

 

20 hours

10 days retreat

20시간

10일 집중수련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