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SMPS

KA7552의 사용법

작성자김재엽|작성시간06.10.20|조회수1,124 목록 댓글 0

제   목: KA7552의 사용법

제조사: FAIRCHILD, FUJI ...

TOPOLOGY : FLYBACK, FORWARD, HALFBRIDGE

 

KA7552는 현재까지 보편적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컨트롤로러 대단히 적가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 반도체 회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각 핀의 명칭

1.RT  : RC발진용 저항

2.FB  : FEEDBACK

3.IS   : 전류감지

4.GND : GROUND

5.OUT : OUTPUT (FET DRIVER)

6.VCC : POWER SUPPLY  31V MAX

7.CT   : RC발진용 콘덴서

8.CS   : SOFT-START & ON/OFF CONTROL

 

디바이스의 동작순서

1. 전원의 인가: VCC단자에 최소 16V 이상이면 CT 단자에 삼각파가 발생합니다.

2. SOFT START 작동: CS단자에 연결된 CAP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 VCC로 공급된

    전압을 통해 10uA로 CAP을 충전하기 시작 합니다.  그러면 CS 단자의 전압이 서서히

    상승하게 됩니다.

3. PWM 비교기에 의해 OUT DUTY 결정: CS 단자의 상승곡선과 CT단자의 삼각파와 비교를

    하여 DUTY를 0% 에서 상승을 하게되는데 내부 바이어스에 의해 생성된 DT 전압에 도달

    됨과 동시에 FB의 전압과 비교하여 OUT DUTY를 조절하게 됩니다. 이때 FB가 4V에서

    2.8V 까지 조절되지 않으면 회로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 LETCH OFF 됩니다.

4. CT 신호의 하강 곡선은 내부 플립플롭의 SET을 결정하고 FB의 전압과 IS의 파형은 RESET

    을 결정하게 되어 출력에 알맞는 절절한 DUTY를 발생하게 됩니다.

       

 

디바이스 동작시험 해보기

컨트롤러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간의 회로를 만들어 각 기능들을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만능기판이나 브레드 보드를 이용해서 각 단자별로 부품을 임으로 달아서 OUT단자의 주파수

와 DUTY변화를 시험해 봄으로 해당 컨트롤러를 정확하게 모의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PIN#1 RT : GND와 RT 단자 사이에 10K 내외의 가변저항 연결

PIN#2 FB : PC817을 대신해서 FB 와 GND 사이에 10K 내외의 가변저항 연결

PIN#3 IS  : GND 연결

PIN#4 GND : GND 연결

PIN#5 OUT : SCOPE를 연결하여 파형변화를 관찰하세요.

PIN#6 VCC : 16V이상 30V 이하의 전원을 공급하세요.

PIN#7 CT : 360 P 정도의 세라믹 또는 필름 CAP을 GND와 연결합니다.

PIN#8 CS : SOFT START를 느리게 볼수 있도록 대체로 큰 전해 CAP을 연결합니다.

                여기서는 10uF/16V를 연결해 줍니다.

 

PIN#6 단자에 전원을 연결하면서 OUT 단자의 파형 출력을 관찰합니다.

DUTY가 0%에서 MAX DUTY 까지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순간적으로 파형이 사라져 버릴경우 FB단자의 저항을 조절하여 2.4V 이하로 조절해 놓고

전원을 다시 인가 합니다.   RT단자의 저항을 조절함으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고 FB를

조절함으로 DUTY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습니다.  


[그림1]  

 

 


[그림2]


[그림3]

[그림4]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