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다문화와 월드뮤직

[개론] 그리오 (Griot) : 서-아프리카의 전통적 음유시인 계급

작성자울트라-노마드|작성시간17.01.26|조회수1,872 목록 댓글 1


본 정보는 '크메르의 세계'가 기획한 <21세기 대중음악 사전>을 구성하는 항목으로서,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해당 항목을 '크메르의 세계'가 한국어로 번역한 후 동영상 등을 추가하여 편집한 것이다.


   

 

[개론] 그리오 : 서-아프리카의 전통적 음유시인 계급


Griot



(사진) 꼼사(Komsa:=칼람[Xalam])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니제르의 그리오. 




'그리오'(griot)는 '젤리'(jali 혹은 jeli: [프랑스어] djeli 혹은 djéli)라고도 불리는데, 서-아프리카(West African) 지역의 역사가이자 스토리텔러(storyteller: 이야기꾼)이며, 찬양가수(praise singer)와 시인, 음악가를 겸하던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리오는 구전전통(oral tradition)의 보고로서, 전통적으로 왕족들의 자문을 담당하는 지위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사회 지도층으로 간주되곤 했다. 앞에서 설명한 2가지 기능 중 전자의 기능 때문에, 그리오는 때때로 '음유시인'(bard)이라 불리기도 했다. [영국의 건축사가 겸 흑인음악 전문 작가] 폴 올리버(Paul Oliver: 1927년생)는 자신의 저서 <사바나 싱코페이터스>(Savannah Syncopators)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리오란) 많은 전통 노래들을 오류 없이 외우고 있어야만 하는 역할이긴 했지만, 현안이나 우연한 사건들, 그릭고 스쳐지나가는 사안들을 즉흥적으로 구성할 능력도 갖고 있어야만 했다. 그리오의 재치는 엄청났고, 해당 지역 역사에 관한 지식은 가공할만한 것이었다.


(사진) 세네갈의 월로프족 그리오의 모습(1890년). 


일반적으로 그리오를 "찬양가수"라 부르기도 하지만, 그리오들은 자신의 구술적 전문지식을 사회적 가십거리나 풍자, 정치적 논평 등에 이용할 수도 있었다.


오늘날의 그리오들은 서-아프리카 지역의 여러 지역들에 거주하고 있다. 만데족(Mandé peoples: 지파인 만딩카족[Mandinka], 말링케족[Malinké], 밤바라족[Bambara] 등을 포함), 풀라족(Fulɓe 혹은 Fula), 하우사족(Hausa people), 송하이족(Songhai people), 투쿨루어족(Toucouleur people), 월로프족(Wolof people), 세레르족(Serer people), 모씨족(Mossi people), 다곰바족(Dagomba people), 모리타니아(Mauritania)의 아랍어 사용 인구(Arabs), 그리고 여타 군소 부족들 사이에 그리오가 존재한다. '그리오'(griot)란 말은 포르투갈어 "크리아도"(criado: '하인'을 의미하는 남성 단수 명사)의 프랑스어 번역어인 "귀리오"(guiriot)에서 왔을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꾼 계급은 특히 서-아프리카 북부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지도) 서-아프리카의 위치. 유엔의 지리적 분류(U.N. geoscheme)에서 '서-아프리카'는 진한 초록색 부분을 가리키며, 연두색 부분은 북-아프리카의 일부인 '마그레브'(Maghreb)로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서-아프리카'라는 말은 유엔의 분류와 일치하며, 특히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ECOWAS: 총 15개국)라는 역내 블록을 통해 구체화돼 있다.


아프리카 언어들에서 '그리오'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만데족 지역의 북부지역에서는 "젤리"(jeli)로 불리며, 만데족 남부지역에서는 "잘리"(jali)로 불리며, 월로프족은 "궤웰"(guewel), 풀라족은 "가울로"(gawlo), 하싸니야어(Hassaniya Arabic)에서는 "이가웬"(iggawen)이라 불린다. 그리오는 동족결혼(endogamy) 카스트(=계급)을 형성하는데, 이는 그리오는 같은 그리오 계급과만 결혼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그리오 계급 출신이 아닌 사람은 그리오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카메룬(Cameroon)의 음악가 겸 작가] 프란시스 베베이(Francis Bebey: 1929~2001)는 자신의 저서 <아프리카 음악, 민중의 예술>(African Music, A People's Art)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서-아프리카의 그리오는 음유시인(troubadour)으로서, 중세 유럽의 민스트럴(minstrel)에 해당한다. 그리오는 벌어지는 모든 일을 알고 있다. 그는 민중의 전통에 관한 살아 있는 기록보존소(archive)이다. 그리오들이 지닌 거장적 재능은 모든 이들의 흠모 대상이다.  이러한 고도의 기교는 주로 아버지나 숙부를 스승으로 삼아 오랜 기간 공부하고 노력한 결과이다. 이 일은 결코 남성만의 특권이 아니었다. [남성 그리오와] 마찬가지로 가수로서 뛰어난 재능을 지닌 여성 그리오들도 많이 있다."(주1)


 주1*Bebey, Francis (1969, 1975) African Music, A People's Art. Lawrence Hill Books. Brooklyn, NY.



(동영상) 말리의 그리오들이 서사적 이야기를 공연하는 모습.



(동영상소나 조바르테(Sona Jobarteh: 1983년생)는 감비아 출신 그리오 집안 이민자를 부모로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왕립음악대학'(Royal College of Music)에서 기악과 작곡을 공부한 그녀는 그리오 전통 최초의 여성 '코라' 연주 전수자이자, 퓨전음악의 창작자이기도 하다.

 




1. 용어 : '그리오'와 '젤리'


만딩어(Manding languages) 낱말 "젤리야"(jeliya: '음악가성[性]'을 의미)는 그리오 계급의 유전적 특성을 가리키는 말로서, 그리오에 관한 지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곤 한다. "젤리"(Jali)라란 말은 "피"를 의미하는 어원 "젤리"(jali 혹은 djali)에서 파생됐다. 또한 '젤리'는 과거 말리 제국(Mali Empire: 1235~1600)의 영토에 해당하는 지역들에서 그리오에게 주어지는 칭호이기도 하다. 영어권에서는 '그리오'라란 명칭이 더욱 일반적이지만, [말리(Mali) 그리오 협회장이었던] 바카리 수마노(Bakari Sumano: 1935~2003) 같은 일부 그리오들은 "젤리"란 말을 사용하길 선호했다.


(사진) 풀라족 국가 메디나(Médina) 왕국의 삼발라(Sambala) 국왕의 그리오(1890년).





2. 말리제국 시대


말리 제국(=말린케 제국[Malinke Empire])은 14세기 중엽에 그 전성기를 이뤘고, 오늘날 차드(Chad)와 니제르(Niger)에 해당하는 중앙 아프리카(central Africa)에서 시작하여, 오늘날 말리와 세네갈(Senegal)에 해당하는 서-아프리카에 이르는 규모의 영토를 확장했다. 말리 제국의 개국자는 순디아타 케이타(Sundiata Keita: 1217~1255)로서, 오늘날의 말리에서도 그의 공적은 찬양받고 있다. [말린케족의 서사시] <순디아타 서사시>(Epic of Sundiata)를 보면, 나레 막한 코나테(Naré Maghann Konaté: ? ~1218) 왕은 그리오 발라 파쎄케(Balla Fasséké)로 하여금 자신의 아들 순디아타 왕자의 통치를 자문하도록 했다. 발라 파쎄케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코우야테 그리오 가문'(Kouyaté line of griots)의 시조로 여겨지고 있다.


(지도) 1350년경의 말리 제국 영토 


귀족계급인 각각의 그리오 가문들은 보다 상위 계급으로서 "자티기"(jatigi)라 불리는 무사-왕족 계급 혹은 황실과 함께 했다. 전통 문화에서는 [자신들이 모시는] 자티기가 없는 그리오는 존재할 수 없었고, 그리오를 거느리지 않은 자티기 역시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두 계급은 불가분의 관계였고, 자신의 상대가 없을 경우 무가치한 존재였다. 그러나 자티기는 자신의 그리오가 다른 자티기에게 지고 있던 "빚"을 떠안을 수도 있었다.


마을들 역시 대부분은 각 마을마다 자신들의 그리오를 갖고 있었다. 마을의 그리오는 출생, 죽음, 결혼, 전투, 사냥, 사건에 관한 이야기들과 수많은 여타 내용들을 서술해주었다.



(동영상) 말리 출신 기타리스트 알리 파르카 투레(Ali Farka Touré: 1939~2006)는 '아프리카 블루스'의 거장으로서, 아프리카 대륙 전체적으로도 가장 유명한 뮤지션 중 한명이었다. 그가 말리의 그리오이자 '코라' 연주자 투마니 디아바테(Toumani Diabaté: 1965년생)와 함께 연주한 음악. 이 곡의 음악적 테마는 전통적인 그리오 음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프레이즈이다.





3. 만데족 사회


만데족 사회에서 "젤리"(jeli)란 말은 역사가, 조언자, 중재자, (후견인에 대한) 찬양가수, 스토리텔러(이야기꾼)이다. 따라서 이 뮤지션들은 본질적으로 걸어다니는 역사책이며, 자신들의 고대 이야기와 전통을 노래를 통해 보존하는 사람들이다.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이러한 전통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수된다. 마니카어(Manika language) "젤리"는 원래 "피"(혈통)를 의미한다. 음악이 원래 그러하듯이, 젤리들은 영적, 사회적 정치적 권력과 관련성을 맺고 있다고 회자된다. 그들의 말은 역사와 각종 관계를 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비록 그리오들이 지닌 권위 및 그들의 노래가 권력으로서 인정받긴 하지만, 서-아프리카에서 그리오들은 우리가 상상하듯 긍정적으로만 대우받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토마스 해일(Thomas A. Hale)은 자신의 저서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리오들에 대한 양면적 가치평가의] 또 다른 이유는 모든 이들을 특정한 '계급'(caste: 카스트)의 구성원으로서 대단히 단순화된 범주로 분류하는 고대로부터의 전통에 기인한다. 이 지역에서 사회적 구조의 왜곡이 심해짐에 따라, '계급'이란 말은 점점 더 공격을 당하는 용어가 됐다. 최악의 경우, 이러한 차별은 대지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사망한 그리오를 매장할 때 땅속에 묻는 대신 나무로 덮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Conrad and Frank 1995: pp.4~7). 오늘날 이러한 전통이 변화하고 있긴 하지만, 그리오들과 그리오 가문 출신 사람들은 혼인을 할 때 다른 직업 계층의 결혼 상대자를 찾기가 여전히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주2)


다행히도 오늘날 이러한 차별은 불법으로 간주된다.


 주2Hale, Thomas A. (1997). "From the Griot of Roots to the Roots of Griot: A New Look at the Origins of a Controversial African Term for Bard "(PDF)Oral Tradition12 (2): 249–278 – via http://journal.oraltradition.org/.



(동영상) 말리의 그리오 바바 시소코(Baba Sissoko)와 재즈 뮤지션의 협연.





4. 그리오 문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악기들


그리오는 가수이자 사회적 논평가이기도 하지만, 악기에 능한 음악가인 경우도 많다. 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악기로는 코라(kora), 칼람(khalam: 'xalam'이라고도 표기), 고제(goje: 만딩카어로는 '은코'[n'ko]), 발라폰(balafon), 응오니(ngoni) 등이 있다.


'코라'는 류트(lute)와 유사한 악기로서, 21현을 가진 롱네크 현악기이다. '칼람'은 코라의 변형으로서, 5줄 미만인 형태가 일반적이다. 두 악기 모두 울림통은 '박'을 사용한다. '응오니'도 앞의 두 가지 현악기와 유사하지만, 현의 수가 5~6현 사이다. '발라폰'은 목제 실로폰이고, '고제'는 바이얼린처럼 활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브리태니카 백과사전>(Encyclopaedia Britannica)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서-아프리카인들이 콘팅(konting), 칼람, 은코니(nkoni) 등 류트류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는 1953년 이븐 바투타[Ibn Baṭṭūṭah]가 지적한 사항)은 고대 이집트로부터 시작된 것을 수도 있다. 칼람은 밴조(banjo)의 조상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또 다른 롱네크 류트 악기로는 남나프리카의 람키(ramkie)가 있다."(주3)


 주3Robotham, Donald K.; Kubik, Gerhard (2012-01-27). "African Music"  https://www.britannica.com/.



(사진) 세네갈 리저브 드 반디아(Réserve de Bandia)에 있는 바오밥 나무. 유명 그리오들의 살아 있는 무덤으로 사용된다.





5. 오늘날의 상황


오늘날 그리오의 가장 일반적인 역할 중 하나는 공연이다. 그리오들의 출연 기회는 확대됐고, 전세계를 여행하면서 노래를 하거나 코라 및 여타 악기들을 연주한다. 말리 수도 바마코(Bamako)의 그리오 협회장(재임: 1994~2003)이었던 바카리 수마노(Bakari Sumano: 1935~2003)는 서-아프리카 사회에서 그리오의 중요성을 국제적으로 알렸던 인물이다.





6. 대중문화에 나타난 그리오


6.1. 영 화


  • 말리 영화 <폭군 구임바>(Guimba the Tyrant)(1995년) : 감독-칙 오마르 시소코(Cheick Oumar Sissoko: 1945년생). 이 영화는 마을의 그리오가 나레이션을 하면서 진행되고, 코믹한 부분에서 등장하기도 한다.
  • <나는 젤리로 태어났다>(I was born as a Djeli)(2007년) : 케드릭 콘돔(Cédric Condom)이 감독한 프랑스 다큐멘터리 영화. 극본은 궤낼 드 케르곰모(Gwenaelle de Kergommeaux)와 올리비에 자닌(Olivier Janin)이 썼다.



(동영상) 코메디 영화 <폭군 구임바>는 '고제'를 연주하며 사설을 읊는 그리오의 등장으로 시작된다. 이 영화는 '로카르노 국제영화제'(Locarno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칙 오마르 시소코 감독은 '프랑스 사회과학 고등연구원'(EHESS)에서 사회학과 영화사를 전공했고, 정치인으로서 말리 문화부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6.2. 음 악



 주4: "Rubber Orchestras".




6.3. 출판물


  • 알렉스 헤일리(Alex Haley: 1921~1992)의 책 <뿌리>(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는 구전 전통을 통해 자신의 가족 역사를 계승한 그리오를 언급하고 있다. 헤일리는 노예 시대로부터 이어진 자신의 가계를 추적하면서 아프리카까지 거슬러올라가는데, 그는 자신의 가족을 "아프리카인"(The African) 가문의 역사와 조산들의 역사를 말해줄 그리오를 상정한다. 그 그리오는 '말하는 북'을 만들 자재를 찾아 숲으로 들어갔다가 노예사냥꾼에게 생포당한 이로 묘사된다. 헤일리는 자신의 책을 쓰기 위한 연구차 아프리카를 방문했을 때, 자신의 뿌리를 이야기해줄 그리오를 발견했다고 생각했다. 그는 그리오들을 통해 자신의 조상인 쿤타 킨테(Kunta Kinte)의 정체성을 배운다. 헤일리는 자신의 할머니로부터 처음 가계 이야기를 듣고, 이후 나이든 사촌으로부터 새로운 이야기를 들었을 때, 자신들의 가족이 누군가 글로 옮겨줄 때까지 고유한 방식으로 역사를 전승한 그리오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나중에 자신이 그 마을에 도착한 지 몇 시간만에 그 사촌이 사망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이야기는 구전 전통의 문제점과 복잡성을 서술하는 데로 나아가는데, 특히 전문적 지식이 없이 접근할 때의 문제에 집중된다. 하지만 1981년 도날드 라이트(Donald Wright) 교수는 쿤타 킨테의 이야기가 [그런 스토리를 바라는] 희망자가 지어낸 이야기라는 것을 보여줬다.(주5) <뿌리>는 출판된 이후 다양한 형태로 윤색돼 유통되면서 유사한 이야기들을 산더미처럼 배출했다.
  • 아이보리 코스트(Ivory Coast:=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의 작가 아흐마두 쿠루마(Ahmadou Kourouma: 1927~2003)는 후기의 소설 <투표하는 야수들을 기다리며>(Waiting for the Wild Beasts to Vote)에서, 가상의 국가 '골프 공화국'(République du Golfe)의 독재자 대통령에 봉사하는 그리오 '소라파'(the Sora)가 작곡한 찬양가에 관해 묘사했다. 그의 마지막 소설 <알라는 의무가 아니다>(Allah is not Obliged)는 그리오를 두드러지게 등장시킨다.
  • 미국 작가 파울 마샬(Paule Marshall: 1929년생)의 작품 <과부 찬가>(Praisesong for the Widow)를 보면, 주인공 아바타라(Avatara [Avey])가 일정 부분 그리오의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그녀가 자신의 손주들에게 자신의 숙모가 전해준 이그보 랜딩(Igbo Landing: 이그보족의 상륙사건)에 관한 구전 이야기를 들려주려 할 때 더욱 더 그러하다. 이그보족 상륙사건은 미국의 시 아일랜즈(Sea Islands: 시 제도)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이 [노예가 되기를 거부하면서 선상반란을 통해 배를 장악한 후] 즉시 방향을 바꿔 아프리카를 향해 바다 속으로 걸어들어간 사건이다. (역주: '이그보 랜딩'은 이후 미국의 흑인 문학과 민족주의 사상에서 주요한 모티프가 된 사건이자 지명이 됐다)
  • 말리의 소설가 마싸 마칸 디아바테(Massa Makan Diabaté: 1938~1988)는 그리오 가문 출신이자 그리오 전통에 관한 평론가였다. 디아바테는 고전적 의미의 그리오 계급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지만,(주6) 그는 그리오 전통을 기록문학을 통해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의 소설들과 희곡들은 만딩카족의 전통적인 스토리텔링과 서구의 관용구들을 혼융한 것이다. 


 주5Wright, Donald R. (1981). "Uprooting Kunta Kinte: on the perils of relying on encyclopoaedic informants." History in Africa, vol. VIII.

 주6Diabaté, Massa Makan (1985). L'assemblée des djinns (in French). Paris: Éditions Présence Africaine. pp.62~63.

 




7. 저명 그리오 공연자들


 부르키나 파소 Burkina Faso


 아이보리 코스트 (=코트디부아르) 


 감비아 Gambia


  기니 Guinea


 말리 Mali

 모리타니 Mauritania[edit]


 나이지리아 Nigeria (북부)


 니제르 Niger


 세네갈 Senegal














(동영상니제르 출신의 밴드 '에트란 피나트와'(Etran Finatawa)는 서-아프리카 지역의 음유시인 계급 '그리오'(griot) 전통의 음악을 모던하게 편곡해 연주한다.





참고문헌


  • Charry, Eric S. (2000). Mande Music: Traditional and Modern Music of the Maninka and Mandinka of Western Africa. Chicago Studies in Ethnomusicology. Includes audio C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Hale, Thomas A. (1998). Griots and Griottes: Masters of Words and Music.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 Hoffman, Barbara G. (2001). Griots at War: Conflict, Conciliation and Caste in Mande.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 Leymarie, Isabelle (1999). Les griots wolofs du Sénégal. Paris: Maisonneuve et Larose. ISBN 2706813571.
  • Suso, Foday Musa, Philip Glass, Pharoah Sanders, Matthew Kopka, Iris Brooks (1996). Jali Kunda: Griots of West Africa and Beyond. Ellipsis Arts.
  • I was born as a Djeli (2007), a French documentary film written by Gwenaelle de Kergommeaux and Olivier Janin, directed by Cédric Condom




외부 링크






참조용 관련 항목


  •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민속음악 전통들 (Sub-Saharan African folk music traditions)
  • 스칼드 (skald) :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그리오'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 음유시인.
  • 바드 (bard) : 웰시(Welsh society) 사회 및 아일랜드 사회의 필리(fili)도 유사한 기능.
  • 마라부트 (Marabout) : 아프리카 무슬림 공동체의 사제 겸 음유시인 계급.
  • 아즈마리 (azmari) : 아프리카 동부 에티오피아(Ethiopia)에서 '그리오'와 유사한 역할.
  • 엑스템포  (etempo 혹은 엑스템포 칼립소[extempo calypso]) :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의 대중음악 장르로서, 남녀 가수가 서로 즉흥적인 가사를 주고 받는 방식. 
  • 래핑 (rapping) : '힙합' 장르에서 사용되는 가사 읊조리기 방식.




상위화면 바로가기 : "[목록] 21세기 대중음악 사전 색인"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울트라-노마드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7.01.26 그리오가 한국의 남사당패와 유사한 모양입니다..

    어떤 때는 왕의 남자로서 귀족일 때도 있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천민 취급도 받는가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