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베트남 역사 읽기방

베트남 역사 총론 (4) : 공화국의 탄생과 베트남 전쟁

작성자울트라-노마드|작성시간15.08.03|조회수915 목록 댓글 12

 

 

 

본 정보는 "위키피디아 영문판"의 해당 항목을 '크메르의 세계'가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전편을 먼저 읽어보려면 여기(1편2편, 3편)를 클릭하라.


 

 

 

베트남 역사 총론 (4) : 공화국의 탄생과 베트남 전쟁 

 

History of Vietnam since 1945 

 

1945년 이후의 베트남 역사 (상편)

 

 

 

제2차 세계대전(World War II: 1939~1945)이 끝나고 베트남 왕조(=응우옌 왕조: 1802~1945)의 군주제가 종식된 후, 프랑스는 인도차이나 지역에서 식민통치를 재수립하고자 했다. 하지만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First Indochina War: 1946.12.19.~1954.8.1.)에서 패해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1954년 제네바 회의년 제네바 회의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 월남: 1955~1975)은 부정선거 감시를 위해 유엔(UN)이 모든 선거를 관장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소련(Soviet Union, USSR: 1922~1991)과 북-베트남(North Vietnam: 베트남 민주공화국, 월맹: 1945~1976) 


북-베트남베트남 전쟁사이공 함락()


1975년 재통일이 이뤄진 후, 베트남은 내부 탄압과 냉전(Cold War) 상황 및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미국의 경제 봉쇄(주1) 등에서 기인한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으로 인해 더욱 큰 고통을 겪었다. 1986년, 베트남 공산당(Vietnamese Communist Party: CPV)은 경제정책을 변경하여 중국과 유사한 방식으로 민간부문 경제의 개혁을 시작했다. 베트남은 1980년대 중반부터 상당한 경제성장을 이뤘다.

 

(1) The Independent, "US finally ends Vietnam embargo", 1994-2-4.


 

 

 

 

6. 공화국의 탄생 (1945)

 

 * 이 부분의 주된 항목은 '8월 혁명'(August Revolution)과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독립 선언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일본이 베트남을 침공해 점령비시 프랑스 정권1945년 8월 일본이 항복비엣민'(Việt Minh, [정식명칭] '베트남 독립 동맹회'[Việt Nam Độc Lập Đồng Minh Hội, 越南獨立同盟會, League for the Independence of Vietnam])은 이 상황을 틈타 전국적인 규모로 8월 혁명

 

1945년 8월 25일 바오 다이 황제(Bảo Đại, 保大: 1913~1997, [재위] 1926~1945)가 퇴위하여 응우옌 왕조(Nguyễn dynasty, 阮朝: 1802~1945)는 종언을 고했다. 9월2일, '비엣민'의 지도자 호찌밍(Ho Chi Minh, 胡志明 [호지명], 호치민: 1890~1969)은 바딘 광장(Ba Đình Square)에서의 연설을 통해 베트남의 독립과 새로운 국가인 베트남 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DRVN: 훗날의 북-베트남)의 수립을 선언했다. 호찌밍은 이 연설에서 미국의 독립선언문 및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의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주2)(주3)

 

 

 

 

7. 공산주의 북-베트남과 자본주의 남-베트남 (1945~1975)

 

 * 이 부분의 주된 항목들은 베트남 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1945~1976), 베트남국(State of Vietnam: 1949~1955), 베트남 공화국(Republic of Vietnam: 1955~1975), 남-베트남 공화국 과도 혁명정부(Provisional Revolutionary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outh Vietnam: 1969~1976)이다.


 

 

7.1.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5~1954)

 

 * 이 부분의 주된 항목은 1945~1946년 사이의 베트남 전쟁(War in Vietnam [1945–46])과 프랑스-베트남 전쟁(Franco-Vietnamese War,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다.


 

영국의 루이스 마운트배튼(Louis Mountbatten: 1900~1979) 제독은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연합국 진영의 인도와 동남아시아 지역 작전들을 총괄했던 남동 아시아 사령부(South East Asia Command, SEAC: 1943~1946)의 연합군 총사령관더글라스 그레이시(Douglas Gracey: 1894~1964) 소장이 지휘하는 제20 인도 보병 사단사이공영국 군 병력은 1945년 12월부터 철수를 시작했지만, 이듬해 6월이 돼서야 철수가 완료됐다. 베트남에서 영국 군의 마지막 전사자들이 나온 것은 1946년 6월이었다. 영국 및 인도 군 병력을 합쳐 40명이 전사했고, 100여명이 부상당했다. 베트남인 사상자들은 600명이었다.

 

영국 군이 철수하자 프랑스 군이 그 뒤를 이어 베트남으로 들어왔고, 다시금 식민통치를 복원시키려 했다. 북부 지방에서는 장제스(Chiang Kai-shek, 蔣介石 [장개석]: 1887~1975)의 '중국 국민당'(Kuomintang of China, 中國國民黨: KMT) 군대가 중국으로부터 베트남으로 진입했다. 국민당 군대 역시 일본군을 무장해제시킨 후, '베트남 국민당'(Việt Nam Quốc Dân Đảng, Vietnamese Nationalist Party, 越南國民黨: VNQDĐ)이나 '베트남 혁명 동맹회'(Việt Nam Cách Mạng Đồng Minh Hội, 越南革命同盟會) 같은 비-공산계열 베트남 정파들도 무장해제시켰다.

 

1946년 1월, '베트남 민주공화국'(DRVN)은 최초의 총선을 실시(주4) 초대 의회는 제헌 헌법도 만들었지만, 상황은 여전히 위태로왔다. 프랑스는 무력을 통해 권력을 다시 장악하려 하고 있었고, 코친차이나스탈린주의자들(Stalinists)은 트로츠키주의자들(Trotskyists)을 숙청했고, 까오다이교호아하오교

 

1946년 3월 6일, 프랑스와 '베트남 민주공화국'은 다음과 같은 내용의 협정을 체결했다.

 

1. 프랑스 정부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인도차이나 연방(Indochinese Federation: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및 프랑스 연방(French Union: 1946~1958)의 구성원이란 전제 하에서 독자적인 정부, 의회, 군대, 재정을 갖는 자유국코친차이나(Cochinchina), 안남(Annam), 통킹

 

2. 베트남 [민주공화국] 정부는 프랑스 군대를 평화롭게 환영할 것임을 선언하여, 국제적 합의사항들을 준수하고 프랑스 군이 [베트남 내 주둔] 중국 군을 대체하도록 한다. 그러한 병력 대체 과정은 본 예비 협정에 부속될 '보충 협정'에 규정된 바에 따라 진행한다.

 

3. 위에서 확정된 조항들은 즉시 효력을 발휘한다. 서명이 교환된 직후, 조약 체결국 쌍방은 각각 야전에서의 적대적 행위 중단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만 하며, 자국 병력을 각자 자기 진영의 주둔지에 머물도록 하고, 우호적이고 진지한 협상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해야만 한다. 그러한 협상은 특히 다음의 사항들을 다룰 것이다.

    a. 베트남과 외국들 사이의 외교관계

    b. 인도차이나 지역의 차기 법률

    c. 베트남에 있어서 프랑스의 이익, 경제, 문화에 관한 사항들

 


이후 협상은 하노이나 사이공, 혹은 파리에서 개최키로 했다.

 

1947년, '비엣민'(=월맹)과 프랑스 사이에 전면전이 발발했다. 프랑스는 식민주의의 종식이 세계적인 추세라는 것을 깨닫자, 베트남 남부에서 [퇴위당했던] 바오 다이 황제를 국가수반으로 내세워 '프랑스 연방' 안에서 준-독립적 지위를 지니는 베트남 국()

 

그 사이 중국에서는 마오쩌뚱(Mao Zedong, 모택동[毛澤東]: 1893~1976)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Communist Party of China: CPC)이 본토의 권력을 장악했고(중화인민공화국 수립: 1949년 10월 1일), '비엣민'은 중국에서 군사원조를 받기 시작했다. 중국은 물자를 제공하는 일 외에도, 쯔엉 찐부르조아(bourgeois)와 봉건주의(feudalism)" 계급에 대한 숙청이 촉발됐고, '까이깩루엉닷'(Cải Cách Ruộng Đất)이라 불리는 무자비한 유혈사태를 동반한 북-베트남 토지개혁

 

(사진) 호찌밍(우측)과 보응우옌잡(좌측)은 베트남 독립전쟁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이다. 호찌밍은 일찍이 보응우옌잡의 군사적 재능을 알아보고, 젊은 보에게 '비엣민' 군대의 조직을 맡겼다. 보응우옌잡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을 지휘하여 승리로 이끌었고, 2013년 10월 4일 향년 102세로 사망했다.


 

중국의 원조를 받은 '비엣민' 세력은 엄청나게 성장했다. 1954년 3월, 보응우옌잡(Võ Nguyên Giáp, 무원갑[武元甲]: 1911~2013) 장군이 지휘하는 베트남 군대는 디엔비엔푸(Điện Biên Phủ)에 위치한 프랑스 군 기지에 대한 포위작전을 전개했다(참조☞: 디엔비엔푸 전투크리스티앙 드 카스트리제네바 협정(Geneva Accord)에 서명하여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철수할 길을 열었다.

 

(주4) Neale, Jonathan. The American War, pp.23~24.


 

(동영상: 디스커버리 채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프랑스-베트남 전쟁)과 '디엔비엔푸 전투' 과정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한글 자막 내용 중 일부 오류가 존재한다. 특히 디엔비엔푸 전투의 병력 수는 거꾸로 소개됐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 병력 1만6천명을 '비엣민' 병력 5만명이 포위한 작전이다.


 

 

 

7.2. 베트남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1954~1975)

 

 * 이 부분의 주된 항목은 베트남 전쟁(Vietnam War)이다.


 

1954년의 제네바 회의는 베트남에서의 프랑스 식민통치를 종식시켰고, 2년 후 국제사회의 감시 하에 총선을 실시해 통일한다는 것을 조건으로, 북위 17도선

 

바오 다이 황제는 전직 관원이자 강력한 가톨릭 및 유교의 배경을 갖고 있던 응오딘지엠베트남 공화국RVN: 1955~1975)의 대통령이라 칭했다. 1055년 10월 26일, 사이공에서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의 수립이 선포됐다. 미국은 남-베트남에 대한 군사 및 경제 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미국 자문관들을 파견하여 남-베트남의 인적 자원들을 훈련시키고 새로운 정부의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다.

 

마찬가지로, 1954년 북-베트남에서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비엣민' 세력이 권력을 장악했다. 공산정권의 수립이 임박하자, 북-베트남에 거주하던 민간인 약 100만명이 박해를 피하기 위해 남쪽으로 내려왔다(참조☞: 미 해군의 '자유로의 여정' 작전레주언

 

'제네바 협정'은 통일 베트남 정부를 결정할 총선 실시를 약속했다. 하지만 1954년 제네바 회의에서 미국 정부와 응오딘지엠의 '베트남 국' 정부는 서명을 하지 않았다. 이 회의에서 비-공산 계열 베트남 대표단은 베트남의 분할을 맹렬히 반대했지만, 프랑스가 '비엣민' 대표인 팜반동(주5) 팜반동의 제안은 "지역 위원회들"의 감독 하에서 총선을 통해 통일 정부를 구성하자는 것이었다.(주6) 미국은 남-베트남 및 영국의 지지를 얻어 소위 "미국의 계획"(American Plan)이라 불리는 안을 별도로 제시했다.(주7) 미국의 제안은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총선을 유엔의 감독 하에 실시하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소련이 반대했다.(주7)

 

응오딘지엠은 내부적 위협들, 특히 베트콩빈쑤옌파광범위한 선거부정을 동원한 국민투표(주8)(주9) 그는 야당을 탄압했고, 유명 작가 응우옌뜨엉땀(Nguyễn Tường Tam, 완상삼[阮祥三], 필명-'넛린'[Nhất Linh, 一靈]: 1906~1963)을 투옥시켰는데, 응우옌뜨엉땀은 재판을 기다리는 동안 감옥에서 자살했다.(주10) 또한 그는 아직도 남쪽에 남아 있던 공산당원들을 제거하는 데도 공세적으로 임했다.

 

응오딘지엠은 '인격 노동 혁명당개인주의응오딘누(Ngô Đình Nhu, 오정유[吳廷瑈]: 1910~1963)가 사무총장으로서 이끈 조직으로서, 응오딘누가 주창한 '인격존엄론쩐레수언

 

응오딘지엠 정권의 또 다른 논란의 정책으로는 '전략촌 계획

 

한편, 1950년대의 북-베트남에서도 정치적 반대파는 탄압받았다. 공개적으로 정부에 반대한 이들은 강제노동 수용소에 수감됐다. 죄수들은 강도 높은 강제노동 과정에서 인권유린과 구타를 당했다. 많은 이들이 탈진, 기아, 질병, 혹은 간수들의 공격으로 사망했고, 어떠한 의료적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죽는 경우도 많았다. 많은 수의 중산층과 지식인들이 호찌밍의 공산정권에 대한 비판 발언을 하도록 유도당했다가, 나중에 그 대부분이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처형당했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바로 '넌반-지아이팜 사건

 

북-베트남 정부는 토지개혁스티븐 로즈필드(주11) 전 인구의 4~5%라는 할당량에 따라, 희생자들은 임의적으로 선택됐다.(주12) 고문이 광범위하게 자행됐고, 1956년 무렵에는 호찌밍조차 이 부분을 우려하여 금지시켰다.(주12) 부농이나 지주들을 대상으로 공격이 가해지면서, 이 시기에 사망한 사람의 수는 대략 5만명(주12)에서 17만2천명(주11)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로즈필드는 그 수를 더욱 높게 잡아서, '민족인민당'(National People's Party) 당원들에 대한 약식 처형을 포함하여 20만~90만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주11)(주13)

 

'넌반-지아이팜 사건'은 북-베트남의 민주 문학 운동으로서, 하노이에 위치한 문예지 2곳에서 시작한 운동이다. 이 운동은 북-베트남의 민주화와 자유로운 사상 표현의 자유를 주창했다. 이 흐름은 지식인들로 하여금 북-베트남 지도부를 비판하도록 유도했고, 그들은 나중에 체포돼 많은 이들이 강제노동 교화소로 보내졌다. 그것은 마오쩌뚱이 중국에서 전개했던 '백화운동

 

호찌밍 개인을 청교도적 인물로 묘사하는 개인 우상화도 시작됐고, 훗날 공산화 통일이 이뤄진 후에는 이 우상화가 전국적으로 확장됐다. 이는 북한이나 소련 같은 여타 공산주의 국가들과 유사한 것이다.

 

'베트남 공산당'은 1951년 제2차 당대회에서 당명을 '베트남 노동당'(Workers Party of Vietnam, Đảng lao động Việt Nam)으로 명시적으로 개칭했다. 1960년에 개최된 제3차 당대회에서는, 남쪽에서 올라왔던 레주언이 연설했다. 그는 지엠 정권을 타도하고 국토를 통일하여 단일한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혁명적 전술제1서기

 

(사진) 레주언.

 

레주언의 전쟁계획 1단계는 1960년 말까지 남쪽에서 농촌 봉기 및 '베트콩', 즉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ational Front for the Liberation of South Vietnam: NLF 혹은 NLFSV)을 조직하는 일이었다. 명목상 '베트콩'의 지도자는 남-베트남의 변호사 응우옌흐우토호찌밍 루트

 

레주언이 니키타 후루시초프(Nikita Khrushchev: 1894~1971, [재임] 1953~1964) 서기장이 이끄는 소련의 "수정주의레오니트 브레즈네프T-54 전차, 화포류, 미그(MIG) 전투기, 지대공 미사일 등 중화기와 고도의 무기류를 공급했다.

 

한편,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은 자신이 민족주의자라는 점과 경제성장을 촉발한 정치적 안정 및 정책들을 통해 존경을 받았지만, 자신의 정부를 정실주의 및 권위주의(=독재) 방식으로 운영했다. 선거가 조작되는 것은 다반사였고, 현안들을 소수파인 로마 가톨릭에 편향적인 경우도 많았다. 지엠은 가톨릭계가 "보다 신뢰할만하며", 보다 반공적이고, '베트콩'이 침투하기도 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믿었다. (역주: 응오딘지엠 정권을 "가톨릭 근본주의 정권"이라 부르기도 함)

 

하지만 1963년 사월초파일(Phật Đản, 펏단: 양력 5월8일) 고도 후에(Huế)에서, 정부의 불국기(Buddhist flag, 佛國旗) 게양 금지조치에 대한 항의시위 중 공권력의 발포로 시위참가자들이 사망한 후(참조☞: 후에의 팟단 발포사건이 사건은 종교적 평등을 요구하는 불교도들의 대규모 항의시위틱꽝둑

 

(사진) 'AP 통신' 특파원 말콤 브라운


 

이 위기로 촉발된 긴장상태는 8월21일까지도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자 응오딘지엠의 동생이자 최고위 참모였던 응오딘누에게 충성하는 부대가 움직였다. 레꾸앙뚱(Lê Quang Tung: 1923~1963) 대령이 지휘하던 '베트남 공화국 육군'(Army of the Republic of Viet Nam: ARVN) 예하 '베트남 공화국 육군 특수부대'(LLDB)가 8월21일 한밤중에 사이공 최대 사찰 '싸로이 사'(Xá Lợi Pagoda, 사리사[舍利寺]) 등 전국의 주요 사찰들을 급습했다(참조☞: 싸로이 사원 급습사건

 

미국의 존 F. 케네디외교전문 243호(Cable 243)를 보내 우려를 표명했다. 이 전문은 지엠 정부가 동남아시아에서 반공 전선을 구축하려는 미국의 노력을 훼손하고 있고, 지엠 정권이 미국 정부에 점차 저항적이고 비협조적이라고 말했다. [이 전문은 특히 지엠에게 동생인 응오딘누의 해임을 요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권좌에서 축출될 수도 있음을 시사하여, 남-베트남 군부에 쿠데타를 허용하겠다는 청신호를 보낸 셈이었다.] 11월 1일, '미국 중앙정보부'(CIA)와 케네디 행정부가 계획하고 후원한 가운데,(주14) 즈엉반민1963년 11월의 남베트남 쿠데타체포된 직후 암살(=처형)응오딘껀

 

1963~1965년 사이, 남-베트남에서는 어떤 정권도 장기적으로 지속하지 못해 극도의 불안정 상태에 빠졌다. 쿠데타는 더욱 자주 발생했고, 한해에 한번 이상 발생하기도 했다(참조☞: 1964년 1월의 남베트남 쿠데타, 1964년 9월의 쿠데타 시도1964년 12월의 남베트남 쿠데타, 1965년 2월의 남베트남 쿠데타, [목록] 남베트남 쿠데타 관련 항목들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던 '베트콩'은 이 시기에 작전반경을 확대했고, 몇몇 중요한 군사적 승리들을 거두기도 했다. 1965년, 린든 존슨'롤링 썬더' 작전도미노 이론한국 군의 베트남전 참전 및 학살사건미국이 주도하는 군대는 공산군의 진격은 저지했지만 외세 군대의 참전, 베트남 전역의 광범위한 공습, 외국군 주둔지 주변의 사회악 등은 남과 북을 막론하고 많은 베트남인들의 민족적 자존심을 건드렸다. 그로 인해 일부 베트남인들이 북-베트남 및 '베트콩'에 동조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1965년 2월 쿠데타가 발생한 이후의 과정 속에서, 응우옌반티에우(Nguyễn Văn Thiệu, 완문소[阮文紹]: 1923~2001, [재임] 1965~1975) 장군과 응우옌까오끼

 

(지도) 1968년 1월 30일 시작된 '구정 대공세'에서, 북-베트남 정규군과 남쪽에서 게릴라 활동 중이던 '베트콩'이 동시다발로 공격했던 지역들.

 

그러나 베트남 전통설날 (Tết)인 1968년 1월 30일, '베트콩'은 놀랄만한 '구정 대공세'(Tết Offensive, 舊正攻勢)를 펼쳤다. [남베트남에서는 'Biến Cố Tết Mậu Thân'라 불렀고, 북베트남에서는 'Cuộc Tổng Tấn Công và Nổi Dậy Tết Mậu Thân'이라 불렀다.]

 

'구정 대공세'는 남-베트남 전국의 거의 모든 주요 도시들을 대상으로 한 공격이었다. '베트콩'과 북-베트남 군대는 후에 시를 점령하기도 했다. 그후 이 도시에서는 많은 수의 집단 매장지들이 발견됐다. 처형 희생자 중 많은 이들이 남-베트남 및 미국과 관련 있거나, 혹은 가톨릭 교도, 사업가, 지식인 등 '베트콩'의 적으로 간주된 이들이었다(참조☞: 후에 학살 사건

 

'구정 대공세' 이후 1963년의 남은 기간 동안, 남-베트남의 모든 대도시에서 '베트콩'은 퇴각하여 거의 소멸됐다. 대공세 이후 이어진 주요 공세들에서 포병과 전차를 동반한 북-베트남 정규군이 전투에 참여했다. '구정 대공세'에 이어진 몇달 동안, 미군 부대 하나가 '베트콩' 게릴라들의 은신처로 의심되는 마을에서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그곳은 베트남 중부에 위치한 미라이(My Lai) 마을로서, 이 사건은 전세계적인 항의시위 소동을 불러일으켰다(참조☞: 미라이 마을 학살사건)

 

1969년 9월 2일, 호찌밍이 사망했다. 그는 자신의 육신을 화장해줄 것을 바랬지만, 공산당 정부는 모스크바(Moscow)에 있는 '레닌 영묘'(Lenin's Mausoleum)를 본떠, 그의 시신을 방부처리하여 '바딘 광장'에 '호찌밍 영묘

 

'베트콩'에게 있어서 '구정 대공세'는 군사적으로 재앙적인 패배였지만(사상자 10만명 이상 발생), 정치적으로는 굉장한 승리였다. 많은 미국인들이 이 사건을 통해 '베트남 전쟁'을 이길 수 없는 전쟁이라고 생각하게 됐기 때문이다.

 

리차드 닉슨미국-중국 국교 정상화를 이뤘고, 소련과는 데땅뜨베트남화

 

닉슨의 새로운 전략은 약간의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1970년, '남-베트남 육군'(ARVN)은 캄보디아 영토 내에 위치한 북-베트남 군사기지들에 대한 기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참조☞: 캄보디아 침공작전ARVN'람손 719' 작전ARVN이 점령했던 고지들을 '북-베트남 인민군'(PAVN)이 포병을 동원해 재탈환하면서 이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1972년, ARVNPAVN의 대규모 공격인 춘계 대공세(Easter Offensive, 부활절 대공세)에 맞서 안록(An Lộc) 읍내를 성공적으로 사수했고(참조☞: 안록 전투[Battle of An Lộc]), 북위 17도선의 휴전선(DMZ) 인근에 위치한 꽝찌

 

이와 동시에, 닉슨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이 <1973년의 파리평화협정'라인배커 투' 작전

 

(사진) 폭탄을 투하하는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라인배커' 작전


 

'1973년의 파리평화협정'이 체결됐음에도 불구하고(체결일: 1973. 1. 27.), 북-베트남은 레주언이 계획한대로 조약을 위반하면서 전쟁을 지속했고, 남-베트남도 상실한 영토를 탈환하려는 시도를 계속했다. 미국에서는 닉슨이 '워터게이트 사건제럴드 포드

 

1974년 1월, 남-베트남은 남중국해(South China Sea)의 파라셀 군도(Paracel Islands: [중국] 서사군도, [베트남] 홍사군도)를 침입해온 중국 군을 방어하기 위해 홍사 전투

 

1975년 3월 초, [북-베트남의 1975년 춘계 대공세(1975 Spring Offensive)의 일환으로서,반띠엔중(Văn Tiến Dũng: 1917~2002) 장군이 지휘하는 '북베트남 인민군'(PAVN)이 중부 고원 지대(Central Highland)에 위치한 부언메투엇(Buôn Mê Thuột) 읍을 대규모로 공격했다(참조☞: 부언메투엇 전투플레이꾸그러나 남-베트남 군대는 그토록 대규모 병력을 짧은 시간 내에 이동시킨 경험과 군수지원 체계가 부족했다. 그에 따라 남-베트남 군의 '제2군단'은 수렁 같은 산속의 좁은 도로로 빠져들었고, 수많은 피난민들까지 겹치면서 혼란에 빠졌다. 협곡을 따라 매복해 있던 북-베트남 군대는 '제2군단' 병력과 장비들을 거의 전멸시켰다.

 

한편, 휴전선 인근에 주둔하던 남-베트남의 '제1군단'도 공격을 받았다. 대항이냐 철수냐를 놓고 사이공으로부터 상반된 명령들이 오고가던 사이, '제1군단'의 경계선은 동서로 양분됐고, 결국엔 방어선이 무너지고 말았다. 수많은 민간인들이 육로, 공중, 해상을 통해 사이공으로 피난가려 시도하면서, 이동 경로들에서는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하며 고통받았다.

 

1975년 4월 초, 레민다오동나이성( Đồng Nai Province), 쑤언락(Xuân Lộc) 읍에 최후의 방어선을 쳤다(참조☞: 쑤언락 전투

 

(사진) 쑤언락 방어에 참가 중인 남-베트남 육군 제18사단 병사들의 모습.

 

[4월17일, 미국 의회는 남-베트남에 대한 더 이상의 원조가 없을 것임을 결정했다.] 4월21일,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은 [TV 연설을 통해 미국을 비판하며] 사임했고, [4월26일 대만으로 도피했다.] 남-베트남의 권력은 [4월17일 쩐반흐엉즈엉반민은 응오딘지엠 정권을 무너뜨린 1963년 쿠데타의 지도자였고, 1970년대 중반에는 "제3의 당"(Third Party, Thành Phần Thứ Ba)에 마음이 기울었던 인물이다. '제3의 당'은 북-베트남과의 대화 및 협력을 선호하는 남-베트남의 엘리트 집단이었다.

 

[전황이 최후의 국면으로 접어들자] 남쪽에 침투해 있던 공산주의자들은 사이공에서 파괴적인 전투가 발생하는 일을 막기 위해, 즈엉반민이 대통령에 취임토록 정치적 거래를 시도했다. 아직도 많은 수의 남-베트남 군 부대들이 사이공 방어 태세를 갖추고 있었고, 메콩 삼각주(Mekong Delta)에 주둔 중이던 '제4군단'도 전혀 손상되지 않은 채로 건재한 상태였다. 즈엉반민은 [대통령직을 이양받은 지 사흘만인] 4월30일, 사이공의 파괴를 막기 위해 북-베트남에 항복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역자로 인지된 사람들에 북-베트남 군대의 태도에 관한 소문이 모든 것을 압도했고, 수많은 남-베트남 사람들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베트남을 탈출하려 했다. 비행기, 헬리콥터, 선박, 어선, 바지선 등 모든 것이 동원됐다. 난민 대부분은 남중국해에 배치돼 있던 미 해군 제7함대보트 피플세스나(Cessna) 경비행기에 아내와 자식들을 태운 채, 태일후크(tailhook: [역주] 항공모함에 착륙할 때 사용하는 고리형 멍춤쇠)도 없이 미국 항공모함 '미드웨이 호

 

베트남 전쟁 기간 중, 북-베트남은 공산주의 국가로서, 중앙집권화된 계획경제(planned economy), 플로레타리아 독재팜악타오

 

북-베트남은 정치적 반대세력도 심하게 탄압했다. 1950년대 말의 '넌반-지아이팜 사건'(인문사건)이나 1960년대의 '반당 수정주의자 재판'(Trial Against the Anti-Party Revisionists, Vụ Án Xét Lại Chống Đảng) 당시에는, 심지어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들과 저명한 공산당원들까지도 박해를 당했다. 쩐득타오(Trần Đức Thảo: 1917~1993), 응우옌흐우당(Nguyễn Hữu Đang), 쩐던(Trần Dần: 1926~1997), 호앙민친

 

그렇지만, 북-베트남의 이러한 철권 지배체제는 소련 및 중국의 일관된 지원과 더불어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점하게 만들어주었다. 또한 북-베트남 지도부는 굳건한 투쟁 의지를 갖고 있었고, 심지어는 막대한 사상자와 파괴를 당하는 와중에도 그러한 결의는 변하지 않았다. 북-베트남의 젊은이들도 이상적이고 순수한 애국심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남쪽의 해방"과 "조국의 통일"을 위해 기꺼이 희생할 각오가 돼 있었던 것이다.

 

(주5) The Pentagon Papers (1971), Beacon Press, vol. 3, p.134.

(주6) 앞의 책, p.119.

(주7) 앞의 책, p.140.

(주8) Tucker, Spencer C. (2000).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BC-CLIO. p.366.

(주9) Karnow, Stanley (1997). Vietnam: A history. Penguin Books. p.239.

(주10) Hammer, Ellen J. (1987). A Death in November. E. P. Dutton. pp.154~155.

(주11) Rosefielde (2009), Red Holocaust, Routledge, p.110.

(주12) Jean-Louis Margolin, "Vietnam and Laos: the impasse of war communism", The Black Book of Communism. pp.568~569..

(주13) 또한 Robert F. Turner (1975), Vietnamese Communism: Its Origins and Development Hoover Institution Press, pp.141~143, 155~157 사이도 참조하라. Turner (1972), "Myths of the Vietnam War: The Pentagon Papers Reconsidered",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No.7, pp.i~iv, 1~55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어떠한 공식적인 통계도 발표된 적이 없지만, 최상의 추정치는 약 5만명의 사람들이 처형되고, '쇄국정책'(policy of isolation) 때문에도 수십만명이 추가로 사망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Lam Thanh Liem (1990), "Chinh sach cai cach ruong dat cua Ho Chi Minh: sai lam hay toi ac?" in Jean-François Revel et al., Ho Chi Minh, Nam A, pp.179~214 사이도 참조하라.

(주14) "Vietnam". John F. Kennedy, Library and Museum.


 

(동영상: 디스커버리 채널) '베트남 전쟁'(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이 다큐멘터리의 중간에는 한국 군이 저지른 양민학살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1부와 마찬가지로 한글 자막에 오류가 존재한다.

 - 첫장면에 등장하는 1960년 캄보디아 국왕의 장례식은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현재의 국왕임)의 장례식이 아니라, 노로돔 시하누크 전 국왕의 아버지 노로돔 수라마릿 국왕의 장례식이다(현 국왕의 할아버지 장례식).


 

 

 

 

 * 시리즈물 바로가기 :

 

      - "베트남 역사 총론 (1) : 선사시대~중국 지배기"

      - "베트남 역사 총론 (2) : 후기 왕조 시대"

      - "베트남 역사 총론 (3) :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독립운동"

      - "베트남 역사 총론 (4) : 공화국의 탄생과 베트남 전쟁"

      - "베트남 역사 총론 (5) : 통일국가의 탄생과 현재"


 

* 상위화면 "[목록] 베트남 역사 및 역사학 사전 색인"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후아힌 | 작성시간 15.08.05 Thich Quang 승려의 분신 동영상본이 존재하네요. 정말 분신중 미동(?)도 하지 않고...

    http://durl.me/9gydnz

    첨부된 유튜브 동영상 동영상
  • 작성자후아힌 | 작성시간 15.08.05 그리고 전쟁의 비참함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던...

    http://durl.me/9gygz7


    첨부된 유튜브 동영상 동영상
  • 작성자후아힌 | 작성시간 15.08.05 이제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울트라-노마드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5.08.06 항상 좋은 동영상 자료들을 찾아서 소개해주시는
    후아힌 님께 감사드립니다..

    정말 중요한 내용들을 첨가해주셨네요..

    네이팜탄 소녀 이야기도
    베트남 전쟁을 상징해주는 이야기 중 하나였죠..
  • 작성자울트라-노마드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5.08.17 히스토리 채널 : 섹스&히스토리 전쟁야사 7부 - 베트남전

    http://durl.me/9kqz6h
    첨부된 유튜브 동영상 동영상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