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명리기초1.

육친법(六親法)

작성자은하수|작성시간11.10.13|조회수3,029 목록 댓글 3

육친법(六親法)

남자의 육친관계

比肩: 형제, 자매, 친구, 조카, 며느리, 직장에서의 동기
劫財: 형제, 이복형제, 며느리, 나쁜 친구,
食神: 조카, 손자, 장모, 사위, 제자, 조모
傷官: 외조부, 손녀, 조모, 사위, 근신수족
正財: 아내, 형수, 제수, 숙부, 고모
偏財: 처, 처의 형제, 아버지, 첩, 형수, 제수
正官: 자녀, 증조부
偏官: 자녀, 외조모
正印: 어머니, 장인, 스승
偏印: 어머니, 서모, 계모, 교주

여자의 육친관계          

比肩: 형제, 자매, 친구, 남편의 첩, 시숙
劫財: 형제, 자매, 친구, 남편의 첩, 시아버지, 시숙,  
食神: 자녀, 조모
傷官: 자녀, 조모
正財: 시어머니, 증손녀, 외손녀, 종업원
偏財: 아버지, 시어머니, 종업원
正官: 남편, 혼외남편, 자부, 상사
偏官: 남편, 혼외남편, 조모, 주인
正印: 생모, 장인, 손녀, 스승
偏印: 생모, 서모, 유모, 교주
          
생아자(生我者)  
나를 생해주는 정인과 편인을 말한다. 정인은 나를 낳아준 생모이고, 편인은 서모, 유모, 계모가 된다.

비아자(比我者)
비견과 겁재를 말한다. 비견은 나와 오행이 같으므로 동성의 형제자매로 본다. 겁재는 나와 오행이 다르니 이성의 형제자매로 본다.

아생자(我生者)
식신과 상관을 말한다. 내가 낳은 것이므로 자식으로 논한다.

극아자(剋我者)        
정관과 편관을 말한다. 나를 극하는 오행은 정관과 편관(칠살)이다.

아극자(我剋者)    
내가 극하는 오행 즉, 정재와 편재를 말한다. 정재는 본처와 정당한 재물을 말하고 편재는 애인, 첩, 부정한 재물이다.

1.六親의 적용
1)正印은 나를 조건 없이 생하고 오행이 다르다.
  偏人은 나를 無情으로 생하고 오행이 같다.
  인수는 학업과 어머니의 동태를 살핀다.

2)比肩은 나와 같은 오행이고 음양이 같다.
  劫財는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르다.
  比劫은 형제. 친구, 동기동창의 동태를 살핀다.

3)食神은 내가 생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같다.
  傷官은 내가 생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다르다.
  食傷은 사업, 진로를 보고, 여자는 자녀의 동태를 살핀다.

4)正官은 나를 관리하고 음양이 다르다.
  偏官은 나를 무정으로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같다.
  남자는 명예, 자식을 보고, 여자는 남편의 동태를 살핀다.

5)正財는 내가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다르다.
  偏財는 내가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같다.
  正財와 偏財는 내가 극하는 것이므로 처첩과 재산의 동태를 살핀다.

2.육친의 상호작용(남자기준)
예) 갑목 기준
어머니계
1)정인은 생모이고, 편인은 서모, 유모, 계모이다.
  갑목의 생모는 계자수이니 음양이 다르고, 갑목을 생하는 임해수는 갑목과 음양이 같으므로 편인이 된다. 따라서 서모, 유모, 계모가 된다.

2)인수는 외숙과 이모이다.
  갑목의 생모는 계수이고 임계 해자수는 계수의 형제자매가 되므로 외삼촌과 이모도 인수로 분류된다.

3)편관은 외할머니이다.
  외할머니는 갑목의 생모인 계수를 낳고 계수와 음양이 다른 경금이 계수의 생모가 되므로 갑목에게는 경금 편관이 외할머니가 된다.

4)상관은 외조부가 된다.
  갑목의 정인 계수를 생하는 경금이 외할머니인데 경금을 극하는 관성이 화이고, 음양이 다른 정화가 경금의 정관이 된다. 따라서 일간 갑목의 상관이 되므로 외할아버지가 된다.

아버지계
1)편재는 부친이다.
  갑목의 생모는 계수이니 계수의 남편은 무토인 정관이 남편이다. 그래서 무계합이 되고 무토는 갑목의 편재이니 아버지가 된다.

2)편인은 조부이다.
  조부는 아버지의 아버지이니, 갑목의 편재인 무토의 편재는 임수가 된다. 임수는 갑목의 편인이 되므로 할아버지가 된다.

3)상관은 조모이다.
  갑목의 조모는 갑목의 아버지인 무토를 생하는 정화가 되고, 정화는 갑목의 상관이 되므로 할머니가 된다.

자손계        
1)편관은 아들이다.
  갑목의 아내인 기토가 낳은 자녀는 금이 되고, 음양이 다른 경금이 양이므로 아들이 된다. 따라서 갑목에게는 편관이되고 음양이 같으니 아들이 된다.

2)정관은 딸이다.
  갑목의 기토인 아내가 낳은 자식은 금이고, 오행이 다른 신금이 어머니와 같은 음이고
  아버지인 갑목 과는 음양이 다르므로 딸이 된다.

3)식신은 손자이다.
  갑목의 아들은 편관이고, 편관의 아들은 다시 편관인 병화가 되므로 갑목에게는 식신이 손자가 된다.

아내계
1)정재는 아내이고 편재는 첩이다.
  처첩은 갑목에계 극을 당하는 오행이다. 갑목이 극하는 토이고 음양이 다른 기토가 정처가 되고, 음양이 같은 무토가 편재가 된다.

2)정재와 편재는 처남과 처제이다.
  정재와 편재는 갑목이 극하는 재성이 되고, 재성의 비겁들은 처의 형제자매가 되므로 처남과 처재가 된다.

3)식신은 장모이다.
  장모는 아내의 생모이니, 정재의 정인이 된다. 갑목의 아내는 기토이고 기토를 생하는 생모는 음양이 다른 병화가 된다. 따라서 갑목의 식신은 병화가 되므로 식신은 장모가 된다.

4)정인은 장인이다.
  갑목의 식신인 장모는 병화이고, 병화의 정관은 계수가 되니, 계수는 갑목의 정인이므로  장인은 인수로 분류된다.

3,육친의 상호작용(여자기준)
남편계
1)정관은 正夫이고 편관은 偏夫이다.
  관성은 나를 극하는데 나를 管理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므로 여자는 남편을 말한다. 여자가 갑목이라면 갑을 극하는 것은 금이 되고 다시 정관은 갑목과 음양이 다른 辛금이 된다. 갑목과 음양이 같은 양금인 경금은 편관이되니 편부로 분류된다.

2)정편관은 시동기간이다.
  갑목의 정관인 신금의 비겁이 남편의 형제자매이니 시동기간이 된다.

3)편재는 시어머니이다.
  갑목의 정관 신금을 생하는 무토가 갑목의 편재가 되므로 시어머니가 되며, 시외숙과 시이모도 된다.

4)比劫은 시아버지이다.
  갑일간의 남편은 신금이 되고 신금을 생하는 무토는 시어머니가 된다. 무토에게는 을목이 정관이므로 갑목의 겁재 을목이 시아버지가 된다.

5)比劫은 동서지간이다.
  갑일간의 남편은 신금이니 경신신유금은 남편의 형제이고, 그 형제의 처첩이 갑을목이므로 나와는 비겁의 사이가 되어 동서간으로 분류된다.

6)比劫은 남편의 처첩이다.
  갑목의 남편은 신금인데, 갑목의 비겁은 남편인 신금의 정재와 편재가 된다. 여자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두 여자가 한 남자와 같이 산다는 뜻이니, 자신이 본처가 되거나 아니면 첩이 된다.

자손계    
乙木 기준
1)傷官은 아들이고 식신은 딸이다.
  내가 낳는 것은 자녀인데, 을목이 낳은 상관인 병화는 음양이 다르므로 아들이 되고, 식신인 정화를 낳았다면 을목과 동일한 오행이므로 딸이 된다.

2)正印은 사위이다.
  을목의 딸은 식신으로 정화가 되는데, 정화의 남편 정관은 임수가 되고, 임수는 을목의 정인이 되므로 사위가 된다.

3)偏官은 며느리이다.
  을목의 아들은 상관인 병화가 되고, 병화의 정재인 아내는 신금이 되므로, 을목에게는 편관이 되니 며느리가 된다.

4)正印은 손자이다.
  을목의 아들은 상관인 병화인데, 병화의 아들은 편관 임수가 되니, 을목에게는 편관이 되어서 손자가 된다.

5)正財는 외손자이다.
  을목의 식신인 정화는 딸이 되고, 정화가 낳은 아들은 상관인 무토가 된다. 을목에게는 무토가 정재이므로 외손자가 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혜월 | 작성시간 13.08.30 감사 합니다.
  • 작성자바람구름 | 작성시간 17.12.11 잘 배웠습니다.
  • 작성자is8246 | 작성시간 21.02.21 엄청난 비밀들이 숨겨 있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