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연안이씨

大將軍公派(대장군공파)의 關西派(관서파)에 대한 고찰

작성자새벽샘|작성시간14.02.07|조회수500 목록 댓글 0

大將軍公派(대장군공파)의 關西派(관서파)에 대한 고찰

大將軍公 24世孫 松溪 基萬

 

 대장군공파에는 종래 관서파가 있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었는데, 지금 연안이씨 공양공파(恭良公派)와 연리(延李)임을 자인하면서도 해주이씨보(海州李氏譜)를 발행한 해주이씨가 있는바, 이 두 계통의 근원과 대장군공파와의 연관성 유무를 고찰코자 한다.

1. 연안이씨 공양공파(恭良公派)에 대한 고찰

A) 공양공파의 중시조(中始祖)

공양공파는 중시조가 이수산(李壽山)공이라고 하며, 한국인명대사전(신구문화사, 1980연판)에 의하면 수산(壽山)공은 생존연대가 ? ∼1376년이고, 공민왕조에 삼사우사(三司右使)·판삼사사(判三司事)·추충보절익대좌리공신(推忠保節翊戴佐理功臣)이었고, 시호는 공양(恭良)이셨다(고려사 인용).

공양공파보에 의하면 수산(壽山)공의 자(子)에 염(恬)공이 있었는데, 염(恬)공은 상기 인명사전에 의하면 ? ∼1403연, 삼사우복야(三司右僕射)·정당문학(政堂文學)·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었다(고려사·태조·태종실록 인용).

B) 수안이씨(遂安李氏)와 공양공파(恭良公派)와의 관계

1) 한국인명대사전에는 수산(壽山)공이나 염(恬)공은 같이 본관을 수안(遂安)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수안이씨세보(遂安李氏世譜)에는 공양공(恭良公)에 대한 기재가 없다.

2) 수산(壽山)공을 명신전(名臣傳)에는 수안군인(遂安郡人)이라 하였고, 처가인 인천채씨세보(仁川蔡氏世譜)에도 수산(壽山)공을 수안군인(遂安郡人)이라 하였고, 공양공파보에 염(恬)공의 묘는 수안군 도소면(道所面)에 소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3) 위의 1·2항으로 보아, 수산(壽山)공은 수안군인(遂安郡人) 즉 고향이 수안(遂安)이라는 것이지 인명사전 등에서 본관을 수안(遂安)이라고 기재한 것은 고향인 수안을 본관으로 잘못 해석한 기록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공양공파가 연안이씨 공양공파보(1973연간, 월남동종(越南同宗) 50여 호)를 발간한 것은 일면 바른 판단이었다고 사료된다.

C) 공양공파족보(恭良公派族譜)에 대한 고찰

1) 이 족보에는 시조는 중랑장 휘 무(茂)공이고, 중시조는 수산(壽山)공으로서 수안부원군(壽安府院君)·시호 공양(恭良)으로 표시하고 있다.

2) 수산(壽山)(일명 귀현:貴顯)공을 첨사공파(詹事公派)의 휘 원발(元發)공의 장남 즉 귀령(貴齡)공의 장형(長兄)으로 표시하고 있다.

3) 인명대사전 등에는 이수산(李壽山) 난에 귀현(貴顯)이라는 표현이 없음은 기이(奇異)한 일이고, 또 족보에는 수안부원군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고려사 및 인명대사전에는 처음에 춘성군(春城君), 후에 수춘부원군(壽春府院君)으로 되었다고 표시하고 있어 수춘부원군이(壽春府院君)이 옳다고 보며, 한편 귀현(貴顯)공을 귀령(貴齡)공의 백형(伯兄)으로 표시하고, 그러면서 독립된 일파 즉 연안이씨 공양공파로 자처하고 있으나 연안이씨 10파도(10派圖)에는 공양공파는 없고, 또 귀령(貴齡)공은 1345연∼1439연, 귀현(貴顯)공은 ?∼1376년이므로 그 차가 63세나 되어 형제간이라고 볼 수 없는바, 첨사공파도 귀현(貴顯)공을 자파(自派)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부인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4) 귀현(貴顯)공은 이조 건국 후 불사이군(不事二君) 입산은거(入山隱居)로 되어 있으나, 고려조 두문동 72현 중에는 수산(壽山)이나 귀현(貴顯)이라는 함자(銜字)는 없고, 수산(壽山)공은 이조 건국 17년 전에 이미 사망하시었다.

5) 이상으로 보아 수산(壽山)공은 수안이씨(遂安李氏)도 아니고, 공양공파(恭良公派)는 연안이씨이지만 연리10파도(延李10派圖)에는 없고, 또 첨사공파의 휘 원발(元發)공의 장남도 아님이 자명하다.

D) 대장군공파와의 관계

1) 대장군공파에는 종래 관서파(關西派)라는 계파가 있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었다.

2) 대장군공파의 5세 수창(壽昌)공(1304년 경 생)과 공양공파 중시조 수산(壽山)공(1300연대 초 生)은 출생연도가 거의 동일시기이고, 함자(銜字)는 수(壽) 자(字)를 항렬자로 한 것 같이 보이고, 또 수산(壽山)공은 수안군인(遂安郡人) 즉 속칭 관서지방 출신이므로, 이 두 분은 형제간이라는 것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2. 해주이씨(海州李氏)에 대한 고찰

A) 해주이씨세보(1983년 계해 간)와 연리(延李)와의 관계

1) 해주이씨 초보서(草譜序)(장신서:匡臣序, 갑진년)에, 중시조 인후(仁后)공의 11세손인 「휘 녕(寧)(공조참판:工曹參判, 해성군:海城君) … 그선계출연안(其先系出延安) … 공적거해주(公謫居海州)(군:郡, 白干后仍焉此孤子孫)인이(因以)(海州)爲貫…」이라는 기록이 있고,

2) 세보에 시조는 당(唐) 중랑장 무(茂), 중시조는 인후(仁后)공(고려 충숙왕 정사(丁巳) 1317년 문과문하좌시랑(文科門下左侍郞)이고, 2세 감(鑑), 3세 지원(枝源) … 25세 원순(元淳) … 28세(최말손:最末孫)로 되어있다.

위의 1·2항으로 보아, 그 뿌리는 연안이씨(延安李氏)임이 분명하다고 사료된다.

3) 보서(譜序)(25세 원순(元淳)공 1973년 서(書), 1983년 출간)에 「… 구보(舊譜)는 모필기록(毛筆記錄)한 것으로, 호적상 본관도 연안(延安) 또는 벽진(碧珍)으로 혼돈(混沌) 되어 이번 해주이씨(海州李氏)로 통일하여 …」라고 기록하고 있다.

4) 세보상(世譜上)의 비명(碑銘) : 세보에는 14세 계로(繼魯)공(1557년 정사생:丁巳生, 호조좌랑戶曹佐郞)의 묘를 비롯하여 6기의 묘가 고양군신도읍지축리(高陽郡新道邑紙杻里)(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高陽市德陽區紙杻洞)에 소재 한다고 하였는바, 그 비명(碑銘)에 본관(本貫)을 기재하지 않고 있다.

위의 3·4항으로 보아 본관을 연안(延安) 또는 벽진(碧珍)으로 사용하였거나 혹은 본관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애매하여 비명에도 기재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여기에서 말하는 해주이씨(海州李氏)와는 별도로 이선(李璿)(이이:李耳의 백형:伯兄)을 시조로 하는 해주이씨(海州李氏)는 논외(論外)로 한다.

B) 해주이씨와 연리대장군공파(延李大將軍公派)와의 관계

1) 인후(仁后)공의 인(仁) 자(字)

인후(仁后)공의 인(仁) 자는 대장군공파의 4세 휘 인계(仁桂)공과 인(仁) 자를 동일 항렬자로 하고 있는 것 같이 사료된다.

2) 인후(仁后)공의 출생년도

인후(仁后)공은 세보(世譜)에 「고려 충숙왕 정사(丁巳 1317년) 문과(文科) …」로 되어 있으므로  등과(登科) 평균년령 27세(아래  ※표 참조)로 추정하면 1290년 경 생으로서, 대장군공파의 인계(仁桂)공의 1279년 경 생과 출생년도가 거의 동일시기이다.

※ 1360년(정몽주:鄭夢周 응시년) 과거 합격자(27명) 통계

   합격자 연령범위 : 19세∼37세. 평균년령 26.96세.

   (정몽주 24세 장원(壯元), 박계양(朴啓陽) 19세 8위 합격)   

3) 해주이씨 발상지(發祥地)

A항 1조에서 본바와 같이 해주이씨 발상지는 연안(延安)·해주지방인바 이것은 함흥지방(咸興地方)에서 관서지방이라고 속칭하는 지역에 속한다.

C) 대장군공파와의 관계

1) 해주이씨는 위의 A항 1·2조에 의하여 그 뿌리는 연안이씨임이 분명하다.

2) 해주이씨는 위의 A항 3·4조와 같이 종원중(宗員中)에는 본관을 사용하지 못 하였거나 오용(誤用)한 일도 있었으나, 중시조 인후(仁后)공은 위의 B항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장군공 4세 인계(仁桂)공과 그 항렬자·출생년도·고향 등을 대비하면, 두 분의 관계는 형제간이라고 추정함에 조건들이 너무나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3. 종합적 고찰

A) 대장군공파의 종원수(宗員數)

대장군공파는 중시조 이후 금일까지 약 800년 경과하는 사이에  자손수가 과소하여 족보도 2권에 불과하므로 찬성(贊成)공 즉 질(ijil.jpg)공파 이외에 수개파가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 판사공파보(判事公:1136연경 생) 11권(2002년 출간)

    첨사공파보(詹事公:고려 의종조 전후 출생) 8권(1984년 출간)

    부사공파보(副事公:1307년경 생) 6권 (2003년 출간)

B) 관서파 문제

대장군공파에서는 또 관서파가 있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에서 관서라 함은 함흥지방에서는 평안도·황해도를 합한 속칭이다.

해주이씨나 공양공파의 발상지는 바로 관서지방인데, 대장군공의 2세 분희(汾禧)공의 고향도 연안군(舊 yumju.gif)이었다 「고려사 123권 : 이분희(李汾禧) 염주인( 州人)(現 연안군)」, 「고려사58권 지(志)12 : …복주(復州) … 원종(元宗)10년(1269년) 이위사공신 이분희 지향개위 석주(以衛社功臣李汾禧之鄕改爲碩州(現 연안군)」. 결국 대장군공파·해주이씨·공양공파는 모두 故鄕 같은 관서지방이다.

C) 대장군공파와 공양공파 및 해주이씨와의 관계

위에서 고찰한바와 같이 공양공파와 해주이씨는 그 시조가 휘 무(茂)공으로서 그 뿌리는 연안이씨임을 자인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중시조인 인후(仁后)공과 수산(壽山)공은 각각 대장군공파의 인계(仁桂)공 및 수창(壽昌)공과 대비하였을 때, 항렬자·출생년도·고향이 상사(相似)한 관계에 있으므로, 인계(仁桂)공과 인후(仁后)공, 수창(壽昌)공과 수산(壽山)공은 각각 형제간이라고 추정함에 너무나 합당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 결론

以上으로 추측하건대 대장군공파에는 종래 대장군공파라고 하는 찬성공파(贊成公派) 외에, 적어도 공양공파(恭良公派)·해주이씨(海州李氏) 등의 몇 개 계통이 더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결국 해주이씨는 대장군공파의 좌시랑공파(佐侍郞公派)로서, 연리공양공파(延李恭良公派)는 대장군공파의 공양공파(恭良公派)로서, 즉 대장군공파와 통합하여, 대장군공파를 찬성공파(贊成公派)·좌시랑공파(佐侍郞公派)·공양공파(恭良公派)로 정리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대장군공파족보 상계보정 근거자료

논문 : 대장군공파 상계에 대한 고찰

논문 : 대장군공파와 관서파에  대한 고찰

대장군공파상계도(보정 · 수정편)

Back.gif    Next.gif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