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士禍)
조선시대에 정치적인 반대파에게 몰리어 조신(朝臣) 및 선비들이 참혹하게 화(禍)를 입은 사건을 말한다.
1. 계유(癸酉) · 병자사화(丙子士禍)
1453년 (단종 1년)에서 1456년(세조 2년)에 걸쳐 수양대군(세조)이 단종을 축출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절개있는 신하들에게 화를 입힌 사건이다. 12세의 어린 나이로 단종이 즉위하였지만 숙부인 수양대군은 왕위찬탈의 야심을 품고 김종서 황보인 등의 중신을 살해하는 한편, 친동생인 안평대군 마저 사사(賜死)하고 전권을 장악하며 재위 2년만에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양위를 하게 되었다. 이에 분개를 느끼고 "하나의 태양 아래서 두 명의 왕을 섬길 수 없다"는 절의파(節義派)인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단종 복위운동이 일어났다.
세조는 이를 사전에 알고 성삼문등 사육신을 참형하고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시켜 강원도 영월로 귀양 보낸 뒤에 사사(賜死)시켰다.
2. 무오사화(戊午士禍)
1498년(연산군 4)에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柳子光)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勳舊派)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이다.당시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이 시작되자 사관이 었던 김일손이, 훈구파의 비행과 스승인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올렸는데, 이전부터 갈등을 느껴 오던 훈구파의 유자광과 이극돈 등이 이것을 문제 삼아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방한 것이라고 연산군에게 고해 바쳤다.
이로 말미암아 김종직 문하의 수많은 사림파(士林派) 선비들이 화를 당하게 되었는데, 무오년에 일어났다 하여 무오사화라 한다.
3. 갑자사화(甲子士禍)
1504년(연산군 10)에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씨(성종의 비)의 복위문제로 연산군이 일으킨 사건이다.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씨는 평소에 질투가 많아 폐비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는데 , 여기에 많은 선비들이 관련되어 있었다. 이에 야심 만만했던 임사홍(任士洪)은 훈구파와 사림파의 잔존세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이 사건을 연산군에게 고해바쳤다. 연산군은 평소 어머니인 윤씨 사건에 대해 의혹이 많았던 차에 이를 알고선, 그 사건에 관련된 많은 선비들을 처형하는 한편, 폐비 사건 당시의 대신들이었던 환명회·정여창·남효온 등을 부관참시(剖棺斬屍) 하였다.
4. 병인사화(丙寅士禍)
1506년(연산군 12)에 일어난 무오·갑자사화 때 화를 입지 않고 빠진 사람들에게 죄를 가하기 위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5. 기묘사화(己卯士禍)
1519년(중종 14)에 남곤·심정 등 훈구파의 재상들이 당시 새로운 혁신을 감행한 젊은 선비들에게 화를 입힌 사건이다. 연산군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中宗)은 정치를 개혁하고, 패기에 넘치는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를 동용하여 성리학(性理學 : 주자학)을 크게 장려하였다.
6. 신사사화(辛巳士禍)
1521년(중종 16)에 안처겸(安處謙)일파들이 심 정(沈 貞)·남 곤(南 袞) 등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이다.
기묘사화로 인하여 세력을 잃은 안 당(安 )의 아들 안처겸은 남곤·심 정이 사림을 해치고 왕의 총명을 흐리게 한다 하여 이들을 제거할 것을 모의하였다.
때마침 안처겸의 모친상을 당했는데 남 곤(南 袞)의 부하 송사련은 여기에 방문한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 이들이 대신들을 해치려 한다고 부고하여 관계된 많은 사람들이 처형되는 큰 옥사(獄死)가 일어났다.
7. 을사사화(乙巳士禍)
1545년(명종 원년)에 왕실의 외척(外戚)인 대윤(大尹)과 소윤(少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건이다.
세자(世子: 인종)의 외숙인 윤임(尹任)일파의 대윤과 경원대군(慶原大君 : 명종)의 외숙인 윤원형(尹元衡)일파의 소윤 사이에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암투가 벌어졌는데 1544년 중종이 승하하고 인종이 즉위하자 대윤이 득세했다.
8. 정미사화(丁未士禍)
1547년(명종 2세)에 을사사화의 여파로 일어난 사건이며, 일명 벽서의 옥(壁書의 玉)이라 한다.
전라도 양재역(良才驛) 벽에 「여왕이 집정하고 간신 이 기(李 ) 등이 권세를 농하여 나라가 망하려 하니 이를 보고만 있을 것인가」라는 벽서가 발견 되, 정권을 잡고 있던 이 기·정명순 등이 을사사화 때 제거하지 못한 반대세력들을 고발하여 수백명의 연루자가 화를 입은 사건이다.
9. 을유사화(乙酉士禍)
1549년(명종 4)에 이홍남(李洪南)·이홍윤(李洪胤)형제의 난언(亂言)을 상주(上奏)하여, 이홍남이 모역죄로 몰려 그의 아우 이홍윤 등이 능지처참(凌遲處斬)되는 한편, 연루된 많은 사람들이 화를 입은 사건이다.
10. 을축사화(乙丑士禍)
1613년(광해군 5)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몰아내기 위하여 대북파(大北派)인 정인홍(鄭仁弘)·이이첨(李邇瞻) 등이 일으킨 사건이다.
경상도 문경새재(聞慶鳥嶺)에서 강도사건이 일어났는데, 당시 권세를 잡고 있던 이이첨 등은 이 사건이 김재남(영창대군의 외숙부) 등과 관계가 있다고 고발해, 영창대군이 서인(庶人)으로 폐봉(廢封)되어 강화에서 죽음을 당하였으며, 김재남은 사사당했다.
11. 신임사화(辛任士禍)
1721년(경종 1)에서 1722년(경종 2)사이에 일어난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의 대립으로, 신축(辛丑)·임인(壬寅) 양년에 걸쳐 일어났다 하여 신임사화라 하며 일명 임인옥(壬寅獄)이라고도 한다.
심신이 허약한 경종(장희빈의 아들)이 즉위하자, 노론파(老論派) 김창집 등의 건의로 왕세제(王世弟) 연잉군(延 君:영조)으로 하여금 대리청정(代理聽政 : 왕대신 정사를 봄)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불만을 품고 있던 소론파(少論派)의 김일경 등은, 노론측이 왕의 신병을 조작하여 발설하였다 하여 노론 4대신-김창집·이건명·이이명·조택채를 탄핵하고 유배를 보내는 등 옥사를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