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메탈음악 이야기

눈물의 길 'Creek Mary's Blood' - 나이트위시 그룹

작성자아프로만|작성시간11.05.06|조회수184 목록 댓글 0


 

 

 

 

나이트위시 5집 앨범 Once 트랙 5

곡명'Creek Mary's Blood' ( 크릭 매리'스 블러드 - 보컬타르야 투루넨)


Youtube 주소-  http://youtu.be/2DyaQXeDq2o



 

 

 

** 가사 출처: 나이트위시 공식 홈페이지

-  http://www.nightwish.com/en/band/lyrics?a=6#56

 

** 라코타 부족 가사 녹취 및 영문 번역 출처: 메타카페

-  http://www.metacafe.com/watch/3923290/nightwish_creek_marys_blood

 

** 한글 번역 과 해설 출처:  다음 /아고라 / 종교방 : 아카누스님

-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closed/read?bbsId=D117&articleId=358366

 

 

Creek Mary's Blood  by Nightwish

 

Soon I will be here no more

You'll hear the tale

Through my blood

Through my people

And the eagle's cry

The bear within will never lay to rest

 

여기에 더 이상 머물 수 없네.

그대는 나의 피와 동족들 그리고 독수리의 울음으로

이야기를 듣게 되겠지

용기 있는 자는 결코 편히 쉬지 못하리

 

Wandering on Horizon Road

Following the trail of tears

 

눈물의 길을 따라 지평선을 해메이네.

 

White man came

Saw the blessed land

We cared, you took

You fought, we lost

Not the war but an unfair fight

Sceneries painted beautiful in blood

 

바다를 건너 온 백인들의 눈에

축복받은 대지가 보이네.

우리는 그들을 보살폈건만 그대들은 우리를 약탈했네

그대들은 싸웠고, 우리는 잃었네

전쟁이 아닌 단지 공정치 못한 싸움을..

그렇게 우리의 눈앞은 피 속에서 아름답게 물들어갔지.

 

Wandering on Horizon Road

Following the trail of tears

Once we were here

Where we have lived since the world began

Since time itself gave us this land

 

눈물의 길을 따라 지평선을 헤 메이네

하늘이 열릴 때부터 살아온

세월이 우리에게 준 이 땅은

이제 우리가 한때 머문 곳일 뿐이네.

 

Our souls will join again the wild

Our home in peace 'n war 'n death

 

우리의 영혼은 대자연으로 다시 돌아갈 것이네

전쟁도 죽음도 없이 평화만 있는 우리의 고향으로

 

Wandering on Horizon Road

Following the trail of tears

Once we were here

Where we have lived since the world began

Since time itself gave us this land

 

Wandering on Horizon Road

Following the trail of tears

Once we were here

Where we have lived since the world began

Since time itself gave us this land

 

 

[Poem in Lakotan: 라코타 부족 언어 나레이션 ]

 

Hanhepi iyuha mi ihanbla ohinni yelo

 

On sunkmanitutankapi hena,

sunkawakanpi watogha hena,

 

oblaye t'ankapi oihankesni hena

 

T'at'epi kin asni kiyasni he

akatanhanpi iwankal

 

Oblaye t'anka kin

osicesni mitakuyepi on

 

Makoce kin wakan

Wakan Tanka kin on

 

Miwicala ohinni - Hanhepi iyuha

kici - Anpetu iyuha kici yelo

 

Mi yececa hehaka kin yelo, na

ni yececa sunkmanitutankapi

 

kin ka mikaga wowasaka isom

 

Uncinpi tuweni nitaku keyas ta k'u

 

Unwakupi e'cela e wiconi

wanji unmakainapi ta yelo

 

Anpetu waste e wan olowan

le talowan winyan ta yelo

 

Unwanagi pi lel e nita it'okab o'ta ye

 

Untapi it'okab o'ta

 

Na e kte ena on hanska ohakap

ni itansni a'u nita ni ihanke yelo

 

 

 

[Poem English translation: 라코다 언어 > 영어 번역 ]

 

"I still dream every night

Of them wolves, them mustangs, those endless prairies

The restless winds over mountaintops

The unspoilt frontier of my kith 'n kin

The hallowed land of the Great Spirit

 

나는 매일 밤 꿈을 꾸네

조랑말과 늑대들, 그리고 저 끝없는 대초원

산 꼭대기 너머 쉴새 없이 부는 바람

나의 동족들의 더럽혀지지 않은 광야

위대한 영혼이 사는 신성한 대지를 꿈꾸네.

 

I still believe

In every night

In every day

I am like the caribou

And you like the wolves that make me stronger

We never owed you anything

Our only debt is one life for our Mother

It was a good day to chant this song

For Her

 

지금도 나는 여전히 믿고 있네.

매일 밤, 매일 낮을..

순록과도 같은 나와, 그런 나를 강하게 만드는 늑대 같은 당신들

우린 결코 그대들에게 아무 것도 빚지지 않았네.

단지 어머니 대자연 에게 받은 생명을 빚졌을 뿐..

실로 그녀를 위한 이 노래를 부르기 좋은 날이었지.

 

Our spirit was here long before you

Long before us

And long will it be after your pride brings you to your end"

 

우리들의 영혼은 당신들 보다 그리고 우리들 보다 오래 전부터 이곳에 머물러 왔고

당신들의 자만심이 가져올 파멸 후에도 계속 머무를 것이네.

 

 

해설 -  아카누스 님]

 

John Two-Hawks / 라코타 부족출신의 유명한 뮤지션

북미 원주민들의 전통 악기(라코타 플루트)와 나레이션 그리고 일부 보컬을 담당

 

백인들에게 쫓겨난 북미 대륙 원주민들의 슬픔과 한을 노래한 곡인

이 곡 제목에서 Creek은 원주민 여러 부족 중 하나인 크리크족 (혹은 무스코기족)을 말하며

1813년에서 1814년에 걸친 크리크 전쟁 때 패하고 오클라호마로 강제 이주된 종족입니다.

 

그리고 이 크리크족들 처럼 체로키족이나 다른 강제 이주 당한 북미 원주민들이 이주 당하며

걸어간 길과 여정을 Trail Of Tears(눈물의 길)라 합니다.

 

 

 

 

##############

 

 

곡명인 'Creek Mary's Blood' 는 미국의 역사 소설가인 Dee Brown 이 1980년에 탈고한 동명의 소설제목과 같습니다. 18~20 세기에 걸쳐 행해진 미국 원주민에 대한 잔학사가 이 소설의 내용입니다.

 

나이트위시 그룹의 리더 '투오마스' 가 이 소설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투오마스가 작곡뿐만 아니라 '작사자' 이기도 하다는 점 입니다.

가사에 나오는 " 너희 백인들~ " 에게 퍼 붓는 한 맺힌 저주 대목의 작사자가 자신도 백인인 '투오마스' 라는 점 입니다. 

 

순서가 어떻게 되는 거냐면,,,,

백인인 '투오마스' 가 백인에게 저주를 퍼붓는 가사를 먼저 영문으로 작사를 하고서, 이것을 미국 원주민 언어의 가사로 번역하고 또한 노래를 불러 줄 원주민 가수를 인터넷으로 수소문해서 찾아낸 사람이 미 원주민 라코다 부족의 뮤지션인 '존 투 호크스' (John Two-Hawks ) 였다는 사연 입니다.

 

 

 

즉. 백인의 죄업을 고발하고 한 맺힌 저주를 퍼붓는 내용의 '가사' 를 백인이 자청해서 작사를 한 셈이 되는 겁니다. 

 

이런 걸 " 록 ( 메탈 ) 스피릿 " 이라고 하는 거겠죠. 

 

이런 노래를 어디에서 부르려고? 바로 '잔혹사' 가 펼쳐진 땅 미국에서 전미 순회 투어 공연을 합니다.  그것도 TV 방송물로 ( 위의 동영상 비디오)  삽입이 될 정도로 대규모 공연을 합니다.

 

- 자료 출처 : 딜리션피디아 백과 ( * 참고 * '딜리션피디아' 백과 란?  네티즌들의 집단 지성/지식으로 매일 매일 진화하는 백과인 '위키피디아' 가 지속적으로 내용이 보충 되거나 업 데이트 되다가,, 일정기간 ( 1~2년) 후에는 전면적으로 내용이 새롭게 개편 되고 나면 폐기/삭제해 버리는 예전의 내용을 받아먹는 백과= 정말 히안하고 기발난 네티즌 세계 )

 

********************

http://deletionpedia.dbatley.com/w/index.php?title=Creek_Mary's_Blood_(deleted_14_Aug_2008_at_22:44)

 

Creek Mary's Blood (deleted 14 Aug 2008 at 22:44) From Deletionpedia

 

This is a copy of the page Creek Mary's Blood (other versions), which Wikipedia has deleted (about deletion). Deletionpedia archives Wikipedia pages.

 

위키피디아'백과에서 나이트위시 그룹의 데이터 항목은, '아네트 올존' 이 후임 보컬로 공식 발표된 2008년에 내용이 전면 업 데이트 되었고, 전임 보컬 '타르야 투루넨' 시절의 자료들 - 즉. 위키피디아 백과에서 삭제된2008년 이전의 예전 자료들은 '딜리션피아 백과' 에 오히려 풍부하게 남아있게 됨.

 

*********************

 

History:

 

The song was named after and inspired by a novel of the same name by the American novelist and historian Dee Brown.

 

The song is about the extermination of Native Americans by European settlers and United Statesexpansion during the 18th to 20th centuries. At the same time, the song is also about the status of Native Americans in modern times and their perspective of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Music

 

Creek Mary's Blood features guest musician John Two-Hawks, a Native American from the Lakota tribe on vocals and the Native American flute.

 

The song begins with "Mitakuye oyasin lel ohinni e yelo" which means, in Lakota [라코다 언어로 나레이션 하는 부분의 의미는], "All of my people are all still here" (sung by Two-Hawks)[투-호크스가 나레이션 송 하는 대목의 영어풀이]. This is followed with "Soon I will be here no more" in English (sung by lead vocalist Tarja Turunen : 이부분은 리드 보컬 타르야 투루넨 가창의 첫 부분 이기도 하다]. These thoughts are echoed in the spoken poem in Lakota at the end of the song. The poem was written by songwriter Tuomas Holopainen, then translated into Lakota and spoken by Two-Hawks [ 이 '포엠'은 싱어송 라이터'투오마스 홀로파이넨' 이 작사하였고, 이것을 투-호크스가 라코다 언어로 번역해서 나레이션 송을 하는 것임]

 

[투오마스 홀로파이넨] Holopainen found Two-Hawks over the Internet, and asked him to come to Finlandto record the song. In Holopainen's own words: "This particular song fulfilled one of my biggest dreams, and that was to work with a Native American Indian musician. I've always been very fascinated about Indian culture and music and history, so to have this really great musician John Two-Hawks playing in one of my songs was really a dream come true."

 

In a private naming ceremony, Two-Hawks and his wife bestowed Holopainen with a Lakota name Sunkmanitutanka Nagi meaning "(Great) Shadow Wolf".

Holopainen was also given his own cedar flute, while Two-Hawks went home with a kantele, a traditional Finnish instrument.

 

On select shows on the band's 2007-2008 U.S. tour, Two-Hawks performed the song with Nightwish's current vocalist Anette Olzon, with Olzon sporting Native American makeup and hairstyle.[ 2007-2008년 미국 투어에서는 현재 보컬인 '아네트 올존' 이 미국 원주민 분장과 헤어스타일을 하고서 무대 공연을 함]

 

It is Tuomas's second favourite Nightwish song, after The Poet and the Pendulum. [이 곡은 개인적으로 투오마스가 자기 그룹 노래 중 두 번째로 애호하는 곡 이라고 미국 투어에서 밝힘]

 

***************************

 

끝으로, 이 곡을 가창한 원조 보컬 타르야 시절의 라이브 동영상을 아래에 올립니다.

 

압도적으로 휘어잡는 카리스마의 여신 '타르야 투루넨' 조차 평소와 달리 치마를 잡고 아주 '조신' 한 몸가짐으로 무대에 등장할 뿐만 아니라 열창 중에도 '존 투-호크스' 에게 공손한 태도를 보이는 모습이 대단히 인상적 입니다.

 

그 유명한 2005년 "End of An Era "공연 입니다.

(고화질로 볼 수만 있다면 정말.... 아~!!!  이 공연영상 DVD 원판 소장하신 분 정말 부럽습니다. )



[플레이 ] (Live 공연 End Of An Era)

0 - 4분10초: [곡] Stone People

4분10초 - 12분46초 [곡]  Creek Mary's Blood 


560 x 420

 


 

** 포스팅 후기 :

 

서프라이즈 여성문화방 회원 '유희'님이 'Creek Mary's Blood' 이 곡을 필자에게 추천하셨습니다.

 

곡과 가사내용의 범상치 않음을 파악하신거지요.

메탈장르 곡들이 사운드는 거친 반면에 가사나 내용은 대단히 심오한 곡들이 많습니다.

 

고딕메탈이 워낙 생소한 장르인지라 전체적인 소개 위주의 진도를 나가느라고 한 곡 한 곡 자세히 다루지 않고 글 한편에 몇 곡씩 한꺼번에 올리는 허접물을 시리즈랍시고 포스팅 했습니다만,,,,,,,, 기괴한 헤비메탈 사운드는 무서워서 생전 안 듣다가 이번에 난생 처음 접한다는 여성이,,, 어느새 진도 따라잡고 '일취월장' 해서 이제는 거꾸로 필자에게 명곡을 추천하는 '청출어람' 을 시연하십니다....

 

 

 

 

 

제국의후예   2010.12.10

유럽 혹은 그 아류의 폭력/학살/수탈의 역사에 대한 반성에 기초한 음악적 열정인가

아니면 인종적 연좌제에 대한 몸부림인가?

아니면 단순한 비서구적인 포퍼먼스의 환호인가?

 

 

아프로만    2010.12.11

모두 다 일겁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