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시사안건 포커스

손학규 UCSD 특강-- "동북아 지역 질서의 변화와 한미 관계"(원문 + 한글)

작성자바바|작성시간14.01.30|조회수76 목록 댓글 1

 

  The Changing Regional Order in East Asia and the Korea-U.S. Relations 

             (동북아 지역 질서의 변화와 한미 관계)

 

 

                                                                                                                                                              ---Shon Hak Kyu 
january 22, 2014 / UCSD

 

 

 

 

 


It is a great honour for me to give a lecture before th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of the UC San Diego today.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Professor Gordon Hanson, Director of the Center on Emerging and Pacific Economies, and Professor Peter Cowhey, Dean of the Schoo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acific Studies, for inviting me to this prestigious programme. I am also grateful for Professor Stephan Haggard and Professor You Jong Song and other staff of the IR/PS and the Center for their support for my visit.

 

 (오늘UC 샌디에고의 학생과 교수들 앞에서 강의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저를 이런 저명한 프로그램에 초청해 주신 신태평양경제센터 소장인 고든 핸슨 교수님과 국제 관계 및 태평양학부 학장인 피터 코위 교수님께 특별한 감사를 표합니다. 또한, 저의 방문을 지원해주신 스테판 해거드 교수님과 유종성 교수님, 그리고 IR/PS 센터 직원 여러분께도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

 

 

Under the title of my lecture, 'Changing Dynamics in East Asia and Korean Politics,' I will focus on the Korea-US relations in the changing regional order in East Asia.

 

(저의 강의 제목인 ‘동아시아의 역학관계 변화와 한국 정치’ 중에서, 오늘은 특히, 변화하는 동아시아의 지역 질서 속의 한미 관계에 포커스를 맞춰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We are living in an 'era of grand transition.' The global order has undergone a great change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the massive global disruption caused by the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s: constant threat by terrors and regional disputes, and the failure of the capitalist economy surrounding financial crises. The other is the global power transition taking place in the course of the rise of China in particular.

 

 (지금 우리는 거대한 전환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세계 질서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은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하나는, 경제적·정치적 변화에 따른 거대한 전 세계적 분열: 테러 및 지역 분쟁에 의한 지속적인 위협과 재정 위기를 둘러싼 자본주의 경제의 실패이고, 다른 하나는 특히, 중국이 성장하면서 드러나는 글로벌 파워의 전환입니다. )

 

 

These disruption and power transitions bring about the era of multi-polar or multi-partner system, which shapes a new global order. The new global order is characterised by multi-partnership order in which the allocation of power in the aspects of economy, banking, society and culture is diversified whereas the hegemonic power of the US in political and military aspects remains as before.

 

(이런 분열과 파워의 전환은 다수의 축과 다수의 파트너를 갖는 시스템의 시대를 가져오며, 이는 새로운 세계 질서를 구축하게 됩니다. 다수의 파트너를 갖는 새로운 세계 질서의 특징이란, 파워의 분배가 경제·금융·사회·문화 면에서 다양화되는 반면, 정치·군사 면에서의 미국의 패권은 예전처럼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

 

 

 

The rise of China is a crucial aspect of the global transition. It has moved the pillar of the world economy from Trans-Atlantic to Trans-Pacific. It may bring about the era of Asia in concurrence of the emergence of the G2 of the US and China. Some people even envisage the emergence of the new civilisation in East Asia.

 

(중국의 부상은 세계적 전환의 중요한 측면입니다. 이는 세계 경제의 기둥을 범 대서양에서 범 아시아로 옮겨왔습니다. 또 미국과 중국이라는 G2의 등장과 함께 ‘아시아의 시대’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혹자는 동아시아에서 새로운 문명이 출현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합니다. )

 

 

Along with the grand transition of the Global order, however, the security order in Northeast Asia, established after the WWII has basically remained intact eve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is contrasts sharply with the parallel end of the global and regional Cold War in Europe. Today's East Asian regional security order is characterized by a lingering rivalry between the maritime force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on the one hand and continental forces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on the other. Among the continental forces, China has emerged as the major power, replacing the former Soviet Union. Among the maritime forces, Japan has maintained its status as the United States' closest regional ally.


 

(세계 질서가 크게 변화하고 있지만, 2차 대전 후 이루어진 동북 아시아의 안보 질서는 냉전이 끝난 뒤에도 기본적으로 그대로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유럽과는 대조적인 현상으로, 유럽에서는 세계적인 냉전과 지역적인 냉전이 동시에 끝났었습니다. 오늘날 동아시아의 지역 안보 질서는 해양 세력(미국, 일본, 한국)과 대륙 세력 (중국, 러시아, 북한)이 지속적으로 경쟁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륙 세력 중에서, 중국이 새로운 주요 세력으로 등장하면서 구 소련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해양 세력 중에는, 일본이 미국의 가장 가까운 지역 동맹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Against this backdrop, the Korean peninsula, as a frontline between these two forces, has witnessed an ever-growing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erms of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Few now question the inevitability of South Korea's leading role in shaping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이런 주위 현상과는 대조적으로, 한반도는 이 두 세력 간의 최전선에서 있는 가운데 남한과 북한이 사회·경제·정치적 면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이제 누구도, 한반도의 미래를 만드는 데 남한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갖지 않습니다. )



North Korea has been preoccupied with missile and nuclear development, based on the flawed notion that they can somehow make up for its economic backwardness and inferior conventional military capability. The alarming progress made in its missile and nuclear capabilities has been the primary cause of instability and arms race in Northeast Asia.

 

(북한은 현재 경제적 후진성과 기존의 열등한 군사력을 만회하겠다는 잘못된 생각 속에 미사일과 핵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과 핵 개발의 놀랄만한 가속이 현재의 동북아에서 벌어지는 불안과 무장 경쟁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



Under these circumstance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re building a so-called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iming to maintain and manage the status quo. At the same time, the United States has tried to address fiscal pressures to curtail defense spending by turning to allied burden sharing with Japan and Korea. While the rise of China in the last decade has made Japan feel insecure and apprehensive, it has not been able to address those concerns effectively.

 

(이런 상황 속에서, 중국과 미국은 소위 ‘새로운 유형의 거대 권력 관계’를 구축하면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관리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동시에, 미국은 국방비 부담을 일본 및 한국과 공유하는 데 주력하는 가운데 국방비를 줄임으로써 재정 압박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지난 십 년간의 중국의 성장은 일본으로 하여금 불안과 우려를 느끼게 만들었고, 이 문제들은 지금까지 효과적으로 해결되지 못했습니다. )



But the rise of China, the formation of a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American demand for increased defense burden sharing are emboldening Japan's claim to the right to becoming a "normal state." While there are various opinions within Japan, they do seem to converge around the need to relieve itself from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use of military power in the peace constitution and seek a stronger military role.

 

(하지만, 중국의 성장, 중국과 미국간의 ‘새로운 유형의 거대 권력 관계’ 형성 및 미국의 방위비 부담 공유 증가 요구 등은 일본이 ‘정상 국가’(normal state)가 되고자 하는 권리를 대담하게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일본 내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일본은 평화 헌법에 있는 군사력 사용 제한을 없애고, 더 강력한 군사적 역할을 차지하고 싶어한다는 것입니다.  )

 



By visiting the Yasukuni Shrine that commemorates "Class A" war criminals, the Japanese Prime Minister acted in denial of Japanese war atrocities and rejected the postwar order. The more significant underlying implication is that Japan will not tolerate a regional order led b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Abe cabinet is expected to do everything it can to exercise military self-defense and revise the constitution.

 

(일본 수상이 A급 전쟁 범죄자를 기리는 야수쿠니 신사를 방문했다는 것은 그들 스스로 과거의 전쟁 잔학 행위를 부인하는 행동이며, 이는 곧 전후 질서를 거부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 행동의 더욱 심각한 의미는, 일본이 미국과 중국에 의해 만들어지는 지역 질서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아베 내각은 군사적 자위력을 행사하고 헌법을 수정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것이 분명합니다. )

 

 



Against this backdrop, import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The rise of China and the resurgence of Sinocentrism, the instability of the American policy of "rebalance" towards Asia, the strengthening of Japanese military power, and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and regime instability are central to the present changes in the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These changes could evolve in a constructive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however, that the confluence of Sino-American tensions, Sino-Japanese clashes, and dis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could further complicate the situation.

 

(이런 배경 아래서 중요한 변화가 동아시아 지역 질서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중국의 부상과 중화사상의 부활, 미국이 펼치는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불안정, 일본의 군사력 강화와 북한의 핵 능력, 체제 불안 등으로 인해 지역 안보 환경은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가 생산적 방향으로 발전될 수도 있지만, 미국과 중국간의 긴장, 중국과 일본의 충돌, 한반도의 혼란 등이 결합된다면, 현 상황은 향후 더욱 복잡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



For the last sixty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promoting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It is now time for the alliance to go beyond the present role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assume the additional responsibility of establishing a future order for managing change and achieving peace and common prosperity.

 

(지난 6년간, 한미 동맹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제 이 동맹관계가 현 상태를 유지하는 데서 벗어나 더 책임을 갖고, 변화를 관리하고 평화와 공동의 번영을 이루기 위해, 미래 질서를 확립해 가야 할 것입니다. )

 

 

First, the ROK-U.S alliance must facilitate cooperation rather than provoke confrontation. The South Korean people do not wish to see the United States and China engaged in conflict on o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established a military alliance, which is the closest form of inter-state relations.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s, in real terms, merely declaratory in military aspect. This concept is rather more of significance in economic aspect, for China has become the largest economic partner from the Korean perspectives.

 

(우선, 한미 동맹은 대결보다는 협력을 추구해야 합니다. 한국 국민은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나 그 주위에서 충돌하는 것을 보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군사 동맹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국가간에 맺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형태의 관계 설정입니다. 한국과 중국간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란 군사적인 면에서는 선언적인 말일 뿐이지만, 중국이 현재 한국의 최대 경제적 파트너가 되어 가는 상황에서, 이 컨셉은 경제적인 면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The South Korean people do not wish to be forced to take sid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is context. In this respect, Vice President Biden's comment, "It's never been a good bet to bet against America" may drive South Koreans into an uncomfortable position. Koreans would want to see th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rather than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 the same vein, South Korea wants to see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promot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rather than set up barriers to free trade and investment. Therefore, from the South Korean perspective, a better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US and China such as FTA will be desirable if China's inclusion in the TPP is unrealistic at present situation.

 

(이런 맥락 속에,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누군가의 편을 들어야 한다고 강요 받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지난번 바이든 부통령이 “미국의 반대편에 했던 배팅은 좋은 배팅이 된 적이 없었다” 라고 말했을 때, 한국 국민은 매우 불편해 했습니다. 한국 국민은 양국이 대결과 충돌보다 협력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합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은 범태평양 동반자관계(TPP)가 자유 무역과 투자에 대한 장벽을 세우기보다는 지역 경제 협력을 촉진하기를 원합니다. 그래서,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만약 중국이 현 상황에서 TPP에 들어오는 것이 비현실적이라면, FTA와 같이 미국과 중국이 경제적 관계를 맺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

 



Second,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ust cooperate to ensure that Japan's pursuit of a "normal state" does not precipitate an arms race in the Asia Pacific region. Japan refuses to accept responsibility for war crimes and has the perception that its only mistake was losing the war. This is not merely a problem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it portends a dangerous future because Japanese actions could catalyze Chinese nationalism and militarism to come together. These clashing views between China and Japan could potentially heighten tensions in the region.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must cooperate on a wide range of issues based on the shared values of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둘째, 한국과 미국의 협력을 통해 일본이 현재 추진하는 ‘정상적인 국가’가 됨으로써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무장 경쟁을 서두르겠다는 것을 막아내야 합니다. 일본은 현재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거부하면서 “자신이 행한 유일한 실수는 전쟁에서 졌다는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역사적 해석에 문제가 있다는 수준이 아닙니다: 일본의 이런 행동은, 중국의 민족주의와 군국주의를 촉진하여, 미래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는 것입다. 중국과 일본간의 이런 충돌적 견해는 이 지역 긴장을 잠재적으로 고조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미국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면서 더 많은 이슈들에 대해 협력해야 합니다. )

 

 

But such trilateral cooperation cannot progress in earnest until Japan disassociates itself from its past wrong-doings. How the United States will address this problem is becoming an important question for its diplomacy in the region. In this respect, US's official position on the Japanese Prime Minister's visit to Yasukuni Shrine expressed by the US Embassy in Tokyo just after the visit was quite appropriate. In the same vein, the legislation of the budget law that includes the clause on the 'comfort woman' was also conceived positive in the role of the US with regard to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region.

 

(그러나 이런 3국의 협력 관계는, 일본이 자신의 과거 행동을 반성하고, 과거잘못된 행동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하기 전까지는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없습니다. 미국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지가 이 지역에서의 미국의 외교력에 대한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일본 수상의 야수쿠니 신사 방문에 대해 도쿄주재 미국 대사관을 통해 발표된 미국의 공식 입장은 아주 적절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종군 위안부’에 대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는 예산 관련 법안 제정도, 지역 평화와 협력에 관한 미국의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점입니다.  )



Third,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ust attempt a new approach to deal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a key challenge to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and regional stability in Northeast Asia. The majority of the South Korean people feel that the United States is more focused on preventing the proliferation of North Korea's nuclear danger rather than achieve denuclearization. This policy cannot have any effect on changing the current situation as long as South Korea remains North Korea's nuclear hostage. The United States must understand that the South Korean people will not tolerate such danger indefinitely.

 

(셋째, 한미는 북한의 핵 문제 해결에 대해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해야 합니다. 북한의 핵은 국제 비확산 체제와 동아시아 지역 안정성에 대한 커다란 도전이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미국이, 북한의 탈핵이 아닌, 북한의 핵 위험의 확산 방지 쪽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북한의 핵 볼모로 남아 있는 한, 이런 정책은 현 상황을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한국 국민은 이런 위험을 무한히 참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미국은 이해해야 합니다. )

 

 

The United States may at some point have to think about the basic structure of the security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either coercive and military measure or mutual recognition and coexistence. South and North Korea together entered into the UN in 1991.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nd USSR in 1992 and 1990 respectively. West Germany and the USSR normalised their relationship in 1955; the US and East Germany in 1975. Nor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the US has never recognised in the world after the WW II.

What the US and South Korea must do is to 'normalise the abnormal.' Although North Korea cannot be categorised as normal state, it should be recognised as a real ent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rder for the normal states to deal with the abnormal more effectively.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US-NK diplomatic relations should go together with the denuclearisation process. This process could be the first step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 regime that would eventually dismantle nuclear weapons in North Korea.

 

(어느 시점에, 미국은 한반도의 안보 체제의 기본 구조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평화 체제란 강제적이며 군사적인 조치나, 상호 인정과 공존의 기반 위에 구축될 수 있습니다. 남북한은 1991년 UN에 함께 가입했습니다. 남한은 중국 및 소련과 1992년과 1990년에 각각 외교관계를 맺었다. 서독과 소련은 1955년에, 미국과 동독은 1975년에 관계를 정상화한 바 있습니다. 미국이 2차 세계 대전 후, 세상에서 인정하지 않는 유일한 국가가 북한입니다. 미국과 한국은 “비정상을 정상화시켜야 합니다.” 비록 북한이 정상적인 국가로 분류될 수는 없지만, 정상 국가들이 비정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국제 커뮤니티에서 북한을 하나의 실체로 인정해야 합니다. 미국과 북한의 외교 관계 구축 절차는 비핵화 절차와 같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절차는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첫 번째 단계이며, 궁극적으로는 북한에서 핵무기를 해체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



Four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ust employ political and diplomatic assets in building a multilateral regional security dialogue in Northeast Asia. Such dialogue will be an important complementary measure for the United States to manage its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in a stable manner. From South Korea's perspective, it will be useful for bringing North Korea to the right side of history and make its security environment more peaceful.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United States' "Pivot to Asia" policy is giving the impression of relying too much on military means. American efforts to encourage multilateral dialogue and cooperation will show that its policy of rebalancing is genuinely a balanced position.


(넷째, 한국과 미국은 정치적, 외교적 자산을 이용하여, 동북아시아에서 다자 지역 안보 대화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런 대화는 미국이 안정적으로 중국, 일본과 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이런 대화 방식이 북한을 역사의 올바른 쪽으로 이끌어 오고, 안보 환경을 평화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진행하는 “중심을 아시아로 (Pivot to Asia)” 정책은 군사적 수단에 너무 의지한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다자간 대화와 협력을 장려하는 미국의 노력은 미국의 재균형 정책이 진정으로 균형 잡힌 위치에 있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

 


All of these efforts are mutually complementary. They require both Seoul and Washington to adapt to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Such a proactive development will be crucial in ensuring the vitality and longevity of the Korea-US relations.

 

(이 모든 노력은 상호 보완적입니다. 한국과 미국 모두 변화하는 안보 환경에 적응해 가야 할 것입니다.  이런 적극적이고 앞서가는 노력은 한미관계가 활성화되고 꾸준히 유지되게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Epilogue

 

'Unification' has become the major topic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It was triggered by the popular and sensational wording by President Park Geun Hye, which is, 'Unification is Jack Pot." But that is not all. The conservative Chosun Ilbo has also launched a grand campaign for Unification as their major yearly project.

 

(‘통일’이란 주제가 연초부터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화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은 대박이다”라는 대중적이고 감각적인 단어에 의해 촉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보수 신문인 조선일보는 자사의 주요 연간 프로젝트로 통일을 위한 거대 캠페인을 시작하였습니다. )

 

 

These campaigns do not seem to come out as coincidence.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were there. The instability of North Korea caused by, or found out by, the execution of Jang Song-Taek, Kim Jong-Un's Uncle, was the major motivation of these movements. This situation encourages the people, especially the conservative people, to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a 'sudden change' or, bluntly put, the 'sudden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이런 캠페인이 우연히 나온 것 같지는 않습니다. 상황과 조건이 맞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의 처형에 의해 초래된 혹은 인지된 북한의 불안정성은 이런 움직임의 주요 동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특히나, 보수주의자들로 하여금 북한 체제를 ‘갑작스런 변화’ 혹은 좀 거칠게 말하면 ‘갑작스런 붕괴’로 이끌 가능성이 있다고 믿게 하고 있습니다. )

 

 

Unification certainly is jack pot. Unification will bring tremendous economic benefits both to North and South, and indeed, to the Unified Korea and surrounding countries. A sudden collapse may come about. The instability and the weakness of the North Korean Regime may bring about the situation.

 

(통일은 확실히 대박입니다. 통일이 되면, 남한과 북한, 즉, 통일된 한국과 그 주변 국가들에 엄청난 경제적 이익이 생기게 됩니다. 갑작스런 붕괴도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입니다. 북한 체제의 불안정성과 허약함이 이런 상황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입다. )

 

 

But, what should we do to meet the situation of sudden collapse of the North, if it really happens? Strengthen military capability? Expand police capability to handle the social disorder? Expand budgets to accomodate refugees? Prepare legal devices to deal with the property disputes?

 

(하지만 실제로 북한이 갑자기 붕괴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겠습니까? 군사력을 강화해야 합니까? 사회 무질서에 대처하기 위해 경찰력을 늘려야 합니까? 난민을 수용할 수 있게 예산을 늘려야 하겠습니까? 자산 분쟁을 다루기 위한 법적인 장치를 준비해야 합니까?)

 

 

Fine. They are necessary as contingency plans for the extraordinary and emergency situation. However, what we really need to prepare is the peaceful transition of power. We need to build up the economic 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We nee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North for this purpose. We want to see reform and opennes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at is why we want to build up a peace mechanism, and why, for that purpose, we want to open a dialogue.

 

 (좋습니다. 이런 것들은 특별 긴급 상황에 대한 대비책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실제 준비해야 할 것은 평화로운 ‘권력 전환’(peaceful transition of power)입니다. 우리는 한반도에 경제적 커뮤니티를 세워야 합니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북쪽과 경제적 협력을 이뤄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북한 사회가 개혁되고 개방되기를 희망합니다. 그런 이유로 평화 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고, 이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

 

 

The sudden change may or may not come about. But what is clear is that we need the wisdom not to repeat the mistakes of the coercive policy of the past administration based upon the assumption of the early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갑작스런 변화는 올 수도 있고, 또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북한 체제가 곧 붕괴할 것이라는 추정 속에, 과거 정부가 추진한 ‘강압적인 정책 시행’이라는 실수를 다시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

 

 

What we have to do is to induce North Korea into reform and openness. Already there is a trend of the expansion of market economy, though in restricted scale. The rapid increase of mobile phones is another phenomenon. Signs of change in North Korea are obvious.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북한을 개혁과 개방으로 이끄는 일입니다. 제한된 범위긴 하지만, 북한에는 점점 시장경제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핸드폰 사용이 빠르게 증가한다는 것이 그 증거입니다. 북한이 변화하고 있다는 징조는 분명히 보입니다. )

 

 

The reason why the North is aggressive is not that they have the strength but that they want to desperately escape from isolation. The repeated open suggestion by the North for the betterment of the South-North relation is another expression‎ of the situation.

 

(북한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나오는 이유는, 북한이 힘이 있어서라기보다 필사적으로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입니다. 남북관계의 진전을 원한다는 북한의 반복된 공개 제안은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입니다. )

 

 

We have to be endurant. We must not hurry. The core task is how to pull North Korea constructively into the security regime of Northeast Asia. We already have a solidly established system of control of North Korea through ROK-US Alliance and ROK-China Strategic Partnership. It is desirable to refrain from the coercive bargaining by the 'peace through strength' strategy. Reassurance of security concerns through friendly persuasion rather than compulsion is important and useful.

 

(우리는 서두르지 말고, 인내심을 가져야 합니다. 핵심 과제는 북한을 생산적으로 이끌어 내어 동북아의 안보체제로 편입시키는 것입니다. 한미 동맹과 한중 전략적 동반관계를 통해 우리는 북한 통제에 대한 견고히 구축된 시스템을 갖고 있습니다. ‘힘으로 이룬 평화’라는 전략으로 강제적인 교섭을 벌이는 일은 삼가해야 마땅합니다. 강제가 아니라 친근한 설득을 통해 안보 문제를 확실히 다지는 게 훨씬 중요하고 유용할 것입니다. )

 

 

In this respect, I would like to advise the Korean government to lift the May 24 Measure as a sign of rapprochement. This is the road to North Korea's reform and openness. I would also like to propose to the US government to actively engage in the dialogue initiative. President Obama may ask President Clinton to visit Pyongyang as a special envoy. His mission may or may not be for the release of Kenneth Bae, whom the North Korea has already shown the intens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US shows its earnestness to respond to the desire of the North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 with the US and the South. 

 

(이런 점에서 나는 한국 정부가 화해의 표시로 5·24 조치를 해제할 것을 당부합니다. 이것이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위한 길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정부도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대화에 참여해달라고 제안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클린튼 전 대통령에게 특사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해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겠습니다. 클린튼이 공식적으로 케네스 배의 석방을 직접적인 미션으로 들고, 북한을 방문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북한은 벌써 그런 조치를 내릴 의향을 비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북한이 미국과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는 것에 대해 미국이 진지하게 관심을 보이는 것입니다. )

 

 

The general atmosphere of both the US and South Korea is certainly against the dialogue and lenient policy. The conservative and hard-line position is dominant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y think,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seems imminent. But, even if their speculation is correct, this is really the appropriate time for the political leadership of both countries to take the peace initiative, for we want a peaceful and stable transition, not disruption and destruction of the prosperity, to be obtained through unification.

 

 (한국과 미국의 지금 분위기는 대화나 관대한 정책에 반대하는 쪽입니다. 보수적인 강경파 입장이 지배적이고 이들 강경파들은 북한 체제의 붕괴가 임박해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견해가 옳다 하더라도, 지금은 양국의 정치권이 평화에 대한 주도권을 쥐어야 할 때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통일을 통해 이뤄내야 하는 것은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전환이지, 번영의 중단과 파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   <<끝>>

 

Thank you.

 

 

 

 

 ■ 위 특강 내용을 동영상으로 보기 http://vimeo.com/85266766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바바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4.01.30 "통일은 대박"이라던 박근혜 대통령은 다보스 포럼에서의 연설에서
    "대박"을 영어로는 "Jack Pot"이 아니라 "breakthrough"(돌파구)라고 표현하던데....ㅎㅎ


    또한 현재 북한의 핸드폰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란 것은 손학규 고문의 특강 내용에도 나오지만
    오늘 현재 북한의 핸드폰 보유 대수는 약 150만 대인데, (1년 전 대비 약 30만대 증가)

    북한 정보 당국은 핸드폰을 감청하거나 통제할 장비가 부족한 실정이며, 또한 중국에서 흘러들어온
    대포폰도 많은 실정이랍니다~~ㅎㅎ

    저러다간 김정은이가 핸드폰 때문에 붕괴될 지경이것넴...ㅋㅋ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