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람림 공부방

죽음과 바르도 포와에 대한 바른이해 1강

작성자김의석(Tanzin Canrap)|작성시간18.03.28|조회수35 목록 댓글 1
죽음과 바르도 포와에 대한 바른이해 1강 1. 죽음을 받아들이는 세 수행자 1. 최상 수행자: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아서 자식이 부모님이 계시는 고향으로 가는 것처럼 기쁘게 받아들인다. 2. 중간 수행자: 이러한 기쁜 마음이 들지 않더라도 두려움 없이 담담하게 받아들인다. 3. 낮은 수행자: 살아있는 동안 할 수 있는 만큼 수행을 했다고 만족하며 후회 없이 받아들인다. 2. 죽음에 대한 올바른 명상 1) 죽음의 기억을 수습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허물 2) 죽음의 기억을 수습함으로써 생기는 이익 3) 무엇이 죽음을 기억하는 마음인가? 4) 죽음의 기억을 수습하는 방법 1) 죽음의 기억을 수습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허물 (죽음을 기억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허물) 유가구족의 몸으로 수행해 나가는 데 장애가 되는 4가지 뒤집힌 마음(전도몽상)1) 가운데 첫 번째가 무상(無常)한 것을 항상(恒常)한 것으로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거친 무상(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무상)에 대한 뒤집힌 마음 죽는데도 나는 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결국 죽는다고 생각하지만 오늘은 죽지 않을 것이다, 내일도 죽지 않을 것이다 하며, 마지막 죽기 전까지도 매일매일 나는 죽지 않을 것이라 고 생각합니다. 죽지 않을 거라는 쪽으로 마음이 흘러서 그 힘으로 눈앞에 직면한 먹고 사는 일에 대 해서만 여러 가지 것들을 부지런히 준비합니다. 이렇게 죽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마음의 대치법을 실천하지 않고, 그 마음의 힘으로만 살게 되면 현생에 닥친 잠깐의 고통은 없앨 수 있습니다. 이번 생의 행복을 이루겠다는 쪽으로만 생각이 치우쳐 다음 생과 해탈, 부처의 경지 등 큰 뜻에 대해 관심을 두지 못함으로써 수행하고자 하는 마음이 제대 로 일어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마음을 바탕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사유하고 실천하더라도(聞思修) 현생만을 위한 것 이 되어 선행을 행한 힘도 미약하며, 또한 무엇을 행하든 업을 짓는 쪽으로 가지 않기가 어렵습니다. 1. 유가구족의 몸으로 수행해나가는 데 장애가 되는 네 가지 뒤집힌 마음(전도몽상)은 ① 죽음에 대하여 무상한 것을 항상한 것으 로 생각하는 뒤집힌 마음, ② 고통을 행복으로 생각하는 뒤집힌 마음, ③ 더러운 것을 깨끗한 것으로 생각하는 뒤집힌 마 음, ④ 무아를 유아로 생각하는 뒤집힌 마음이 있다.이렇게 몸과 목숨이 오랫동안 머물 것이라는 헛된 희망에 속는다면 재물과 명예 등에 큰 탐착이 대한 뒤집힌 마음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2. 일어나고, 여기에 장애가 되거나 될 것 같은 우려가 생기면 거센 분노가 일어납니다. 이런 허물을 제 대로 알지 못하는 어리석음과 여기에서 비롯된 자만심, 시기심 등 흐르는 큰 강물처럼 근본번뇌와 수 번뇌가 끊임없이 계속 일어납니다. 오랜 세월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허물은 모두 나는 죽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죽음에 3. 이런 마음으로는 다음 생을 위해 수행한다 해도 나중에 하겠다거나 늙으면 하겠다고 핑계를 대며 자 꾸 뒤로 미루게 됩니다. 잠자고, 먹고 마시며, 잡담하는 등 의미 없는 일에 시간을 낭비하게 되어 대 정진으로 법답게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4. 죽음의 기억을 수습함으로써 생기는 이익 1. 죽을 수밖에 없을 때, 법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친척, 재물, 명예 등과 함께 갈 수 없음을 알아서 그것들에 집착함 없이 보시하는 등 의미 있게 마무리하고자 하는 마음이 대부분 자연 스럽게 생길 것입니다. 죽을 때 몸뚱이, 재물, 친척 등은 도움이 되지 않기에 짧은 인생에서 의미가 없습니다. 이런 것들로 인생을 무의미하게 보내는 대신 해탈과 부처의 경지에 도달해 중생들을 그 자리로 이끄는 것보다 더 의미 있는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2. 이와 같이 재물과 공경, 명예 등 세속적인 욕망을 위해 하는 모든 노력이 다 의미가 없어서 자기 자신을 속이는 것임을 안다면 악행을 막고, 두 가지 가행(加行)(수행의 목적을 세우고,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수행 정진함)으로 삼보에 귀의하고, 계를 잘 지키는 등의 선업을 항상 잘 짓게 됩니다. 3. 또한 유가의 이 귀한 사람의 몸을 받았을 때에만 그 큰 뜻을 이룰 수 있습니다. 우리들 대부분그러므로 죽음을 기억하는 수행을 심오하지 못한 낮은 차원의 수행이라고 생각하거나, 처음에 조금 은 해야 하지만 꾸준히 늘 해야 하는 수행은 아니라고 하는 생각은 잘못된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하 지 않고 수행의 처음과 중간, 마지막까지도 ‘죽음을 기억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함을 마음 깊이 새겨 서 이해하고 관상해야 합니다. 4. 은 삼악도에 오래 머물렀던 탓에 업장이 두꺼워 삼선도에 잠깐 태어나더라도 수행할 기회를 얻기가 힘들고, 비록 수행할 수 있는 몸을 얻었다 해도 계속 죽지 않는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어서 법을 제 대로 행하지도 못합니다. 요약하면 모든 고통의 문은 죽음을 기억하지 않는 데서 비롯되고, 모든 이 익과 행복의 문은 죽음을 기억하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5. (죽음을 기억함으로써 생기는 이익) 죽음을 기억하는 명료한 마음이 일어나면 다음과 같은 이익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오늘 아니면 내 6. 무엇이 죽음을 기억하는 마음인가?도 생기는 죽음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여기서는 이런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 면 어떤 것이 죽음을 기억하여 두려워하는 마음입니까?상태로는 막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죽음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생기면 이익은 있습니다. 수행자가 죽 음을 기억하여 두려워하는 마음은 삼악도로 떨어질 원인 짓기를 멈추고 삼선도와 해탈의 원인을 짓 는 수행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죽는 것을 두려워하는 마음입니다. 이를 두려워하는 마음이 일어나면 죽기 전에 조금이라도 다음 생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고 삼선도와 해탈, 성불할 수 있는 원인이 되는 선행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를 행하지 못함으로 생기는 두려워하는 마음 없이 편안하게 죽을 수 있게 됩니다.4) 죽음의 기억을 수습하는 방법 (죽음을 기억하는 방법)➊ 죽음의 3가지 뿌리 (죽음에 대해 관찰하는 뿌리와 같은 핵심 3가지) 7. ❶ 죽음의 3가지 뿌리 ❷ 죽음의 9가지 이유 ❸ 죽음의 3가지 결심 8. 따라서 나는 몸뚱이, 재산 등과 반드시 곧 헤어지게 됨을 항상 반복해서 사유한다면 이런 것들과 헤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집착이 줄어들게 되고, 그 집착에서 비롯된 불안하고 두려워하는 마음 또한 사라지게 됩니다. 9. 업과 번뇌의 힘으로 태어난 모두는 반드시 죽음을 피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두려움이 생겨도 지금 10. 가족과 친척을 집착해서 그들과의 헤어짐을 불안해하는 것은 아예 수행하지 않은 사람들에게조차 1. 반드시 죽는다. 2. 언제 죽을지 정해지지 않았다. 3. 죽을 때 법 이외에는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4. ➋ 죽음의 9가지 이유 가) 반드시 죽는다. * 죽음의 사자가 오는 것은 결정되어 있고, 어떤 방법으로도 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죽는다. * 수명이 더해지는 것은 없고, 줄어드는 것은 쉬지 않고 계속 줄어들기 때문에 반드시 죽는다. - 살아있을 때에도 법을 행할 여유조차 없이 지내다가 반드시 죽는다. * 나) 언제 죽을지 정해지지 않았다. * 일반적으로 남섬부주의 중생들의 수명은 정해진 것이 없고, 오탁악세에는 더더욱 정해진 것이 없으므로 언제 죽을지에 대해 정해지지 않았다. * 죽을 수 있는 원인은 많고 살 수 있는 원인은 적으므로 언제 죽을지에 대해 정해지지 않았다. * 물거품처럼 사그라지기가 너무 쉬우므로 언제 죽을지에 대해 정해지지 않았다. * 다) 죽을 때 법 이외에는 아무 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죽을 때 재물이 도움 되지 않는다. * 친척들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몸 또한 도움이 되지 않는다. * ➌ 죽음의 3가지 결심 * 반드시 죽게 됨을 생각해서 나는 지금 당장 반드시 수행하겠다고 하는 결심 * 언제 죽을지 결정되지 않음을 생각해서 나는 지금 당장 반드시 수행하겠다고 하는 결심 * 죽을 때 법 이외에는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나는 지금 당장 반드시 법만을 행하겠다고 하는 결심죽을 때 오온(五蘊)ㆍ사대(四大)ㆍ육근(六根)ㆍ오경(五境)ㆍ바탕의 오지(五智) 등 25가지의 거친 요소들 이 무너지면서 바르도에 이르게 된다.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넘어가자 | 작성시간 18.03.29 ㅡ()ㅡ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