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람림 공부방

소남스님-마음 바꾸는 7가지 대승의 핵심 근본 게송-8강 2018.04.29

작성자김의석(Tanzin Canrap)|작성시간18.04.29|조회수39 목록 댓글 1
소남스님-마음 바꾸는 7가지 대승의 핵심 근본 게송-8강 2018.04.29
 까담스승 체카와 예쎄 도르제 
마음 바꾸는 수행 7가지, 스승 체카와의 《로종 된둔마》
대자대비하신 부처님으로부터 귀에서 귀로 전해 내려온 보리심에 대한 모든 가르침을 지니신 스승 쎌링빠 최끼 닥빠로부터 아띠샤 스승님께서 모두 전수 받아 보리심 수행을 모두 성취하셨습니다.
그리고 아띠샤 스승님으로부터 스승 돔뙨빠, 스승 뽀또와, 스승 쌰라와, 그리고 스승 체카와로 전해진 가르침은 이기심을 이타심으로 바꾸는 마음 닦는 보리심 수행의 핵심입니다.

마음 바꾸는 수행 7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보리심 닦는 예비수행
둘째, 실제 보리심 닦기
셋째, 보리심의 역연을 순연으로 바꾸기
넷째, 평생 실천해야 요약한 가르침
다섯째, 마음 닦는 수행의 경계
여섯째, 마음 닦는 수행의 서언
일곱째, 마음 닦는 수행의 학처

1.보리심 닦는 예비수행(유가구족,무상,인과,육도윤회)
2. 실제 보리심 닦기:대승은 두가지 승이 있는데 바라밀승하고 금강승이며 보리심이 없으면 대승의 입문을 하지 못한다.
*보리심의 종류는 진제,속제,원,행,보리심외22가지 보리심이 있다,1지~7지까지는 불청정보리심,8지~10지까지는 청정보리심이며 무학도에서는 모든 장애에서 벗어난 4가지 보리심이다.
1)속제(俗諦)보리심:이타심을 먼저 닦고 깨달음을 구한다.이타심 안에는 육도윤회의 모든 존재를 대상으로 해야한다.일체중생을 평등하게 예쁘게 봐야 한다.
-모든 탓은 이기심 하나가 있다.
-모든 중생이 큰 은인임을 닦아야 한다.
-번갈아 가며 주고 받기를 닦아야 한다.
-받는 순서는 자신부터 시작해야 한다.(남의 고통을 먼저 받는다,그리고 처음 연습시는 자기의 오후고통을 오전에 받는 연습을 한다.그리고 순서는 친한이 부터 해서 원수까지도 대상으로 똥렌수행을 한다.)
-이 둘은 숨을 내쉬고 들어쉬는 데 실어야 한다.
-삼경(三境),삼독(三毒),삼선근(三善根):삼경은 마음에 드는대상(탐심이 생기고),싫어하는 대상(진심이 생기고),마음에 드는것도 아니고 않는것도 아니 대상(치심이 생기고).일체중생이 삼경을 통해서 삼독이 저에게 오고 해야하는 이타심이 삼선근(三善根)이다.
-다음에 간략한 요의법:나쁜생각 나쁜 말이 나오면 기억해서 좋은 법구를 생각하며 행동한다.
-이를 기억하기 위해:
-조언에 따라 모든 행을 다스려야 한다.
(똥렌수행)
*이기심:남보다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이타심:저보다 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곰(닦고 익힘 ,수습,수행)
*불교의 수행은 마음의 습관을 바꾸는 것이다.(존자님 말씀 5년~6년정도 수행하면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한다.)
*배푸는것은(지금의몸과 미래의몸으로 배풀수 있고,현재와 미래의 가진것으로 배풀수 있다,과거,현재,미래 전부다 배풀수 있다 선근) 자애심을 닦는 것이다.(보왕삼매경,화엄경)
*받는것은 일체중생의 고통과 업과 괴로움을 연민심으로 받는 것이다.
*똥렌수행이 익숙해지면 코로 밖으로 입으로 들어쉬는 것이다.모든 중생의 업과 고통의 원인 까지을 들어쉬는 것이고 ,코와 입으로 들어쉬면 24시 간할 수있다.그렇게 큰 각오와 큰 결심으로 하면 수행이 되는 것이다.
*월칭보살의 입중론에서 공성을 들을수 있는 근기는 눈물이 흐르고 털이 서는 정도의 근기가 되어야 들을 수 있다 (아공은 쉽게 받아들이나 법공은 받아 등기 쉽지 않다.)
2)진제(眞諦)보리심:
-확신을 얻고 난 뒤 비밀의 법을 가르쳐야 한다.
-모든 법을 꿈과 같이 보아:주체,객체,6근,6경이 실체가 없다.
-생겨남 없는 식()의 본성을 관()해:식은 무생이다,
-공성의 대치(對治) 또한 제자리에서 벗어나:객체,주체,공 또한 공이다.
-입선(入禪) 할 때 바탕인 공()에 머물며:윤회와 해탈이 바탕인 공이다.
방선(放禪)할 때 환술로 만들어낸 사람 같이 여겨야 한다.
-착각을 자각해 사신(四身)을 보니:자성법신은 공의 종자이며 지혜법신은 착각을 자각하는 것을 바로 보는것이 지혜법신이다,
공성은 위없는 보호라네:정광명은 법신의 종자이고 다른 몸을 받는것이 보신,화신의 종자이디.
3.보리심의 역연을 순연으로 바꾸기(보리심 닦는데 장애를 제거 하는것.)
-유정,무정이 죄로 가득 차 있을 때:로쫑수행을 해야한다.
-역연을 보리도의 순연으로 바꾸기
-매 순간 마주치는 모든 것을 수행과 연결해:많이 가진것보다 가난한 것이 ,칭찬하면 종하지말라 아만심이 생긴다,비난이 받으면 자기의 비난을 거울을 삼고,행복한 것보다 불행한 것이 과 행복보다 불행이 과거의 업을 없애는 기회이다,스승이 자기에게 고통을 주는 선물입니ㅏ(이것이 로쫑 수행입니다.)
-네 가지 최상의 방법으로 마음 바꾸는 수행을 증장시켜야 한다.
a.자량을 쌓기:복덕자량과 지혜자량
b.업을 참회하기:수행을 못하게 하는것을 참회해야한다.
c.사람 아닌 해치는 존재에게 자비로 또르마 배풀기:마장 때문에 수행을 할수 있기에 아귀,악마,귀신에게 헌신을 하는것이다
d.호법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기도하기:호법신께 더 아프게 해달라고 한다
*중음신은 냄새를 먹고 산다.
4.평생 실천해야 요약한 가르침
-가르침의 핵심을 간추리면
-오력으로 수행해야 한다.(마지막 떠날 때도 오력으로 포와수행 해야 한다.)
a.마음동기의 힘:몸에 집착 하지 않게 하는것.
b.익숙해짐의 힘:보리심이 익숙하게(자량을 쌓는것.)
c.소멸하는 힘:번뇌의 허물을 기억하기(참회하는것)
d.발원의 힘:보리심의 마음을 떨어지지 않게 하소서.(아집,아상을)
e.익숙해짐의 힘:이타심의 마음을 갖게 하소서.
*마지막 떠날때는 몸에 대한 집착을 해서는 않된다.
5.마음 닦는 수행의 경계(마음 닦음 기준)
-모든 가르침의 목적은 단 하나뿐이니(이기심과 아집.법집을 없애는 것)
-주로 두 증인의 면에서 수행을 증명해야 한다.(자신과 타인이 보는 입장에서):남이 증명보다 자기가자신이 증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상 편안한 마음을 유지해야 한다.
-닦음의 기준은 없어잔 것이니.(예전보다 이기심이 약간 없어짐)
-로종 수행의 증거로 위대한 다섯 분이 있다:
a.고통을 참아내는 대고행자
  b.남을 귀하게 여기는 대보살
c.법을 행하는 데서 한시도 벗어나지 않는 대수행자(나쁜 업을 짖지 않는자)
d.작은 죄와 허물조차도 멀리하는 대지계자
e.진실한 마음으로 보리심을 수행하는 대요가행자
-주의하지 않아도 중심을 잃지 않는다면 로종 수행이 된 것이다.
6.마음 닦는 수행의 서언(18가지)
-항상 보편적인 세 가지 실천을 해야한다.
a.로종 수행의 약속과 어긋나지 않게 한다.(작은 악업도 짓지 않게 하는것.)
b.로종 수행을 한다고 해서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다.(땅이나 귀신 사는곳과 어떤 나무등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
c.로종 수행을 치우침 없이 해야 한다.(삼독심,자비심,모든 번뇌에 치우치지 않는다.)
-취하고 버리는 것을 엄하게 다스려야 한다.(취사의 대상은 사람과 사람 아닌 아집과 이기심)
-마음을 바꾸고 겉으로 티는 내지 말아야 한다.
-다른 이의 허물을 말하지 말아야 한다.
-다른 이의 어떠한 허물도 따지지 말아야 한다.
-먼저 큰 번뇌부터 다스러야 한다.
-결과에 대한 기대를 모두 버려야 한다.
-독이 든 음식을 버려야 한다.(이기심이나 세속팔풍世俗八風으로 하는 문사수聞思受의 수행):문사수는 좋은 음식이고 세속팔풍은 독이 든 음식이 다
-양심을 품지 말아야 한다.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
-원한을 갚으려고 때를 기다리지 말아야 한다.
-남의 약점을 잡아서 해치지 말아야 한다.
-조(티벳의 야크)에게 지울 짐을 소에게 지우지 말아야 한다.(허물이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지 않는다.)
-로종수행을 헛된 곳에 쓰지 말아야 한다.:악마나 헤침을 없애는 것이나 먹고 사는데(돈버는데) 쓰지 말아야 한다.
-남보다 공()을 먼저 차지하려고 들지 말아야 한다.
-신을 악마로 전락시키지 말아야 한다.(로종 수행으로 아집이 줄기는커녕 더 늘어나게 해서는 안 된다.)
-내 행복을 위해 남에게 고통을 주거나 불행하기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
7.마음 닦는 수행의 학처(22가지)
-모든 수행은 오직 로종 수행만을 위해 행해야 한다.
-오직 로종 수행만으로 모든 역연을 정복해야 한다.
-처음과 마지막에 두 가지를 행해야 한다.(1.보리심의 마음동기와 회향, 2.하루의 시작과 끝에 해야 할 두 가지):선업의 시작은 보리심으로 하고 보리도로 회향하고,오늘 하루를 헛되게 보내지 않겠습니다 하고 저녁에는 확인 하고 참회와 새로운 각오를 다진다.
-수행은 쉬운 것부터 배워야 한다.
-좋고 나쁜 모든 상황을 견뎌내야 한다.(즐거우나 괴로우나 로종수행을 버리지 마세~)
-목숨 다해 이 두 가지를 지켜내야 한다.(수지한 계율과 로종의 서언)
-세 가지 면에서 다스리기 어려운 번뇌를 정복해야 한다.(처음에 번뇌의 대치법을 기억하기 어렵고, 중간에 번뇌를 쫒아내기 어렵고, 마지막에 번뇌의 상속을 끊기 어렵다.)
-모두 대승의 수행은 로종수행으로 바꾸어야 한다.
-세 가지 주된 원인을 실천해야 한다.(1).내부적인 원인-유가구족, 믿음, 지혜, 정진 (2).외부적인 원인-선지식을 만나서 자신을 기쁘게 받아주심
(3).수행이 가능하도록 의식주를 적당히 갖출 수 있는 원인):세가지를 잘 실천 하면 상현달 처럼 밝게 된다.
-먼저 거친 것부터 닦아야 한다.
-보리심의 큰 뜻을 닦아야 한다.:보시 지ㅖ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순으로 처음의 보시 보다는지혜를 닦는것이 어렵다.
-쇠퇴하지 말아야 할 세 가지를 닦아야 한다.(스승에 대한 믿음과 존경, 로종수행의 학처, 로종수행의 기쁨이 쇠퇴하지 않게 한다.)
-떨어짐 없는 세 가지를 갖추어야 한다.(항상 몸은 스승과 삼보의 시중을 들고 절하고 탑돌이를 하는 것과, 입은 삼귀의하고 기도하고 염불하는 것과, 마음은 보리심과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장애를 대치로 삼아 닦아야 한다.(로종수행을 하면서 장애가 생기면 그로 인해 다른 장애들도 모두 소멸될 수 있도록 마음을 낸다.)
-누구에게도 치우치지 않는 평등심을 닦아야 한다.
-모든대상과 행동에 진심을 다해 로종을 닦아야 한다.
-로종수행을 하기 어려운 대상들에게 늘 마음을 닦아야 한다.(친지, 원수, 배신자, 싫어하는 사람 , 부모)
-외적인 조건에 따라 로종수행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먹고 마시는 등의 외부적인 조건)
-지금은 가장 중요한 수행에 힘써야 할 때다.:로종수행 을 중심으로 해야한다.
-앞으로도 늘 보리심의 갑옷은 입어야 한다.
-여섯 가지 뒤바뀐 행을 하지 말아야 한다.(뒤바뀐 인내, 맛, 자비, 인도, 의지, 수희):세간의 일에 대해 보다는 수행의 인내심을 가지고 해야한디.
-하다 말다 하지 말아야 한다.:꾸준히 해야 한다.
-끝까지 온 힘을 다해 닦아야 한다.
-항상 살피고 따져서 번뇌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자신의 공을 내세우지 말아야 한다.
-사소한 이유로 쉽게 화내지 말아야 한다.
-봄철 날씨처럼 변덕을 부리지 말아야 한다.
-보답과 명예를 바라지 말아야 한다
*정진의 뜻은 첫번째 정진의 대상은 선.악 . 무기 중 무조건 선이 되어야 하고, 두번째는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니고 기뻐하면서 하는 것이다.

-(까담스승 체카와께서 보리심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얻어 마무리하신 게송)-
"과거에 지었던 선연과
자신의 큰 믿음으로
고통과 비난에 무심하여
아집을 다스리는 법을 배우고 닦았으니
이제는 죽어도 후회가 없네."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 안내)
A.(소남스님 법문 음성파일 안내)
소남스님 법문은 음성,영상파일로 광성사 홈페이지와 아래 자료실에  현교,밀교,교법과 증법의 깊고 광대한 법문이 열려 있습니다.
1).홈페이지주소:
2).You Tube주소:
  (You Tube에서는"광성사 한국티벳불교사원 "를 한글로 치시면 됩니다.)
3)Face book주소(  ‘광성사 한국티벳불교사원’ 페이지를 찾지 못하시면 010-8672-2012 연락 주세요 )
(Face book에서는"광성사 한국티벳불교사원 "를 한글로 치시면 됩니다.)
3).'광성사한국티벳불교사원'밴드초대주소:
http://band.us/n/a2a4U7M1S7Q2q  밴드로 초대합니다.
밴드명을 검색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4).광성사 한국티벳불교사원Cafe주소 :  
http://cafe.daum.net/koreatibetcenter Cafe에 초대합니다.
B.(법회안내)
-토요일(매주) 람림오후2시~5시30분. 쫑카빠대사님의"보리도차제 광론"강의 .
-일요일(매주) 오후2시~5시30분. "월칭보살의 입중론"강의 .
-매월에 한번 1박2일캠프(중론,보만론.보리심석,등 주로 논서 위주로 13시간 강의및 대승포살 수계의식)
-기타 큰스님초청법회(린포체)
C.(기도법회)
-따라보살기도,밀교의식기도(수호존 공양기도)는 매월 월,화오전10시이며 그외,바르도49재바르도기도,천도기도,백중기도,지장전 인등기도축원
-후원개좌:농협 923-01-353560
주소;부산광역시 서구 해돋이로250
연락처:051-243-2468 석소남스님 010-8909-1166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넘어가자 | 작성시간 18.05.02 고맙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