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람림 공부방

소남스님-심왕,51심소에 대한 불교심리학 7강(2018년6월24일) "마음의 비밀은 자비심(慈悲心) 입니다"

작성자김의석(Tanzin Canrap)|작성시간18.06.24|조회수69 목록 댓글 1
소남스님-심왕,51심소에 대한 불교심리학 7강(2018년6월24일) "마음의 비밀은 자비심(慈悲心) 입니다" -로쫑,마음닦기,람림은 동의 입니다. -모든 허물은 하나 입니다 '나'라는 나의 것 이라는 '이기심' 입니다. -부처님법의 핵심은 '자비심'(慈悲心)입니다. -믿음의세가지:1)환희심의 믿음.2)확신하는 믿음,3)혜탈,성불,이루고자하는 믿음. -51가지 심소는 서로가 모순 입니다.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근본번뇌를 생기게 하거나 증장시키기 때문에'수번뇌심소'라 한다.] 隨煩惱 20종은 다시 小隨惑, 中隨惑, 大隨惑으로 분류되는데, 1~10은 소수혹, 11~12는 중수혹, 13~20은 대수혹이다. 소수혹 10종은 근본번뇌에 의하여 발생되는 번뇌 가운데서 가장 작은 번뇌이며 정화되기 쉬운 지말적인 번뇌이다 1. 분(忿) : 때리고 싶을 만큼 성내는 마음. 6번뇌 중 '嗔'에 속하며, 공격을 받을 때 상대방을 타도하려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 것과 같은 분노이다. 2. 한(恨) : 복수하려는 마음. 앞의 '忿'이 있고 나서 적의를 버리지 않고 지속하는 것이므로, 이것도 '嗔'에 속한다. 즉 공격을 받고 이에 대한 분노가 일어난 후, 그것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됨으로써 복수를 꾀하게 되는 마음이다. 3.복(覆) : 허물을 감추는 마음. 6번뇌 중 '痴에 속하며, 자신의 부끄러운 행위를 은폐하는 것이다. 즉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솔직하게 반성하지 않고 감추려고 하는 마음이다. 이렇게 감추는 이유가 이익이나 명예를 잃을까봐 두려워하기 때문이라는 점에서는 '탐'과 '치'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허물을 감추려는 것.) 4. 뇌(惱) : 신경질 부리는 마음. '분'과 '한'이 있고나서 일어나는 마음의 흥분이며, 6번뇌 중 '진'에 속한다. 분노로 인해 거친 말을 내뱉어 상대방의 급소를 찌르고자 하는 행위를 취하게 되는 것, 즉 폭언으로 상대방에게 대드는 것이다. 5. 질투(嫉妬) : 시샘하는 마음, 질투심과 같은 것으로서 '진'에 속한다. 이것은 타인이 自己보다 성공한 것을 참지 못하는 감정을 가리킨다. 즉 이익과 명예에 집착하는 자가 타인의 뛰어난 번영에 대해 참지 못하고 노여워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낙담하고 마음이 불편하게 된다. 6. 인색(吝嗇): 인색한 마음. 6번뇌 중 '탐'에 속하며. 자신이 얻은 재물과 정보를 베풀지 않고 비장하는 것이다. 즉 베풀 생각은 전혀 없이 생활의 물질적 기반을 확충하는 데만 열중할 뿐만 아니라, 습득한 기술이나 지식 등의 가르침도 혼자서만 간직하려는 마음이다. 7. 광(誑) : 허세 부리는 마음. '탐'과 '치'에 속하며, 이익과 명예에 집착하는 자가 自身의 부실한 덕을 그렇지 않은 것처럼 과시하는 것이다. 즉 자기에게 덕이 없음에도 수행으로 정말 덕을 갖춘 듯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8. 첨(諂) : 거짓으로 아첨하는 마음. 이것도 '탐'과 '치'에 속하며, 자신의 과실을 감추기 위해 거짓 방편(특히 거짓말)으로 타인을 교묘하게 설복하여 속이는 것이다. 먼저 소개한 '부‘가 시치미 떼는 것으로 자신의 잘못을 확실히 감추는 것과는 달리, 이것은 말소리를 바꾸는 등으로 자신의 잘못을 얼버무리려고 하는 것이다. 9. 해(害) : 해치는 마음. '진'에 속하며. '불해'의 반대이다. 사람들을 해치고자 하는 비정하고 냉혹한 마음이다. 10. 교(憍 ): 자신의 번영에 깊이 염착을 일으켜 도취하고 취오함으로써 성을 삼고, 불교를 방해하여 오염에 의지함으로써 업을 삼는다.”교는 자신의 성공에 우쭐하여 아주 만족해하고 도취해 자랑하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남을 멸시하는 마음도 있지만, 특히 자아도취가 심한 상태이다. 이 심소에 의하여 자칫 야호선에 빠질 위험이 있다. 작은 깨달음을 가지고 큰 깨달음이라도 이룬 것처럼 우쭐하기가 쉬운 것이다. 이 심소는 근본번뇌 중에 치의 계열이면서 악견의 일부이기도 하다. 중수혹 2종 : 無慙 無愧 두 가지이다.*憍(높을 교) 11. 무참(無慙) : 나에게 부끄러워하지 않는 마음. '삼독'에 속하며, '참'의 반대이다. 非難받을 만한 자신의 과오나 죄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악을 자행하여 번뇌를 조장하는 것이다. 다음의 '무괴'도 이와 마찬가지이지만, 이것은 자기에게 부끄러워하지 않고 선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무괴와는 다르다.*慙(부끄러울 참) 12. 무괴(無愧) : 남에게 부끄러워하지 않는 마음. 삼독에 속하며 괴의 반대이다. 위의 '무참'과 똑같이 작용하는 심리이지만, 이것은 타인에게 부끄러워하지 않고 악을 받든다는 점에서 무참과는 다르다.*愧(부끄러워할 괴) 大隨惑은 不信, 懈怠, 放逸, 昏沈, 掉擧, 失念, 不正知, 散亂 8種 13. 해태(懈怠) : 악을 끊고 선을 닦는 일에 게을러지는 마음. 유식에서는 20수번뇌 중의 하나로 보며, 구사론에서는 육대번뇌 중의 하나로 본다. 14. 도거(掉擧) : 대번뇌지법 중의 하나. 마음이 들뜨고 안정되지 않는 것. 15. 산란(散亂) : 외계의 대상으로 인해서 마음이 어지러워지는 것. 유식에서 수번뇌 중의 하나로 봄. 16. 혼침(昏沈) : 무겁게 가라앉는 마음. '치'에 속하며, '신'의 반대이다. 소중하고 훌륭한 것을 믿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마음을 흐리게 하여 다음 심소인 해태로 이끈다 17. 불신(不信) : 믿지 않는 번뇌는 진리에 대한 소신이 없고 불타의 덕성과 인과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한 번뇌이다. 그러므로 불신은 진리적인 확신이 없기 때문에 게으름만 피고 시간을 낭비하는 행동만 하게 된다. 18. 방일(放逸): 산만하고 태만한 마음. '불방일'의 반대이며, 번뇌 등으로부터 마음을 수호하지 않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악을 방지하고 선을 실행하는데 게을리 하는 마음이므로 앞의 해태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것은 악을 방지하지 않는 게으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해태와 '탐, 진, 치에 의거하여 발동한다. 19. 실념(失念) : 망각하는 마음. 번뇌로 오염된 기억이므로, 결국 기억력을 發揮하지 못 하는 마음이다. 이로 인해 '산란'의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것은 '치' 또는 '염(기억)' 혹은 그 둘에 속한 것으로 간주된다. 20. 不正知(부정지) : 어긋나게 아는 마음. 어떤 것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또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 지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바른 판단이 서지 않으므로 해탈에 장애가 되는 악업을 짓게 된다. 이것은 '치' 또는 '혜' 혹은 그 둘에 속한 것으로도 간주된다. [부정심소(不正心所):마음동기나 오평등으로 선,불선,무기로 변하기 때문에 '부정심'라 한다.] 대상에 대한 바른 지견을 방해하는 것으로 다섯 가지 어디에도 포함시키기 곤난한 심소들을 가리킨다. 1. 면(眠) : 졸음에 빠지는 마음, 수면이라고도 한다. 이것도 '치'에 속한다. 마음을 잠재우고 몸을 둔중하게 하여 심심의 활동을 방해하는 것이다. 특히 좌선 중에 관조를 방해한다. *眠(쉴 면) 2. 회(悔) : 후회하는 마음. 악작이라고도 한다. '치'에 속하며, 악행을 저질렀다든가 선행을 실천하지 않았다든가 하는 식으로 후회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고뇌가 일어나면, 마음은 불안정하 게 된다. [俱舍論]에서는 악한 일만을 후회한다고 보기 때문에 이것을 악작이라고 읽는다.*悔(뉘우칠 회) 3. 심(尋): 얼추 헤아리는 마음. 말을 이용하여 대강 헤아리는 마음이다. 지혜에 의해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언어 활동인 점은 '심'과 '伺'가 동일하다. 다만 '심'은 이것은 무엇일까 하고 탐색하여 개략적인 표현을 구하는 언어활동이다.*尋(찾을 심) 4.사(伺):어떤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분석하는 작용을 하는 식.*伺(엿볼 사)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 안내) A.(소남스님 법문 안내)소남스님 법문은 음성,영상파일로 광성사 홈페이지 와 아래 자료실에 현교,밀교,교법과 증법의 깊고 광대한 법문이 열려 있습니다. 1).홈페이지주소:http://www.koreatibetcenter.com/main/... 2).You Tube주소:https://youtu.be/kgyLdp2fTXQ 3)Face book주소:https://www.facebook.com/pg/sukkang19... 4).'광성사한국티벳불교 사원'밴드초대주소:http://band.us/n/a2a4U7M1S7Q2q 5).광성사 한국티벳불교사원Cafe주소 : http://cafe.daum.net/koreatibetcenter B.(법회안내): 1)토요일(매주) 람림오후2시~5시30분. 쫑카빠대사님의"보리도차제 광론"강의 . 2)일요일(매주) 오후2시~5시30분. "월칭보살의 입중론"강의 . 3)매월에 한번 1박2일캠프(중론,보만론.보리심석,등 주로 논서 위주로 13시간 강의 및 대승포살 수계의식) 4)기타 큰스님초청법회(린포체) C.기도법회: 1)따라보살기도,티벳 대장경 천일기도 입재일~2018년5월29일,밀교의식기도(수호존 공양기도)는 매월 월,화오전10시이며 그외,바르도49재바르도기도,천도기도,백중기도,지장전 인등기도축원 2)후원개좌:농협 923-01-353560 D.주소및 연락처 주소;부산광역시 서구 해돋이로250 연락처:051-243-2468 석소남스님 010-8909-1166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 KOREA TIBET CENTER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넘어가자 | 작성시간 18.06.26 고맙습니다 ㅡ()ㅡ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