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이름운명 · [천]

불용한자는 권장한자

작성자김허택|작성시간13.05.03|조회수2,992 목록 댓글 2

불용문자(不用文字)는 이름에 쓰지 말아야할 한자로 공포산업의 극치이다. 그 사상의 뿌리는 전염병 때문이다. 옛날 호환, 마마, 역질, 염병, 흑사병 등이 돌면 통치자들은 흉흉한 민심에 전전긍긍하기 일쑤였다. 전염병이 얼마나 무서웠으면 역신(疫神 : 전염병 관장 신)을 신격화하고 역신의 노여움을 달래기 위해 다양한 주술적 처방과 행사가 세시풍속으로 남아있다. 전염병이 돌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영유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아이가 너무 잘 생겨서, 너무 예뻐서 역신이 시샘하여 데려갔다고 믿었다.

 

흉년 보릿고개에 영양상태가 부실하여 면역력이 약해진 아이를 먼저 보내는 부모는 얼마나 가슴이 미어졌을까? 그래서 전염병이 돌면 아이 얼굴에 숯검댕을 칠하고 일부러 밉게 보이기 위해 애를 썼다. 이름도 너무 예쁘고 좋으면 역신이 먼저 데려갈 것 같아 일부로 험하게 지어 불렀다. 악명위복(惡名爲福)사상이다. 나쁘고 험한 이름일수록 복을 가져준다는 의미인데, 전염병 예방법이 전혀 없던 시절의 주술적 의미가 ‘불용한자’로 고착되었다. 고종황제의 어릴 적 이름이 ‘이개동’ 즉 ‘개똥이’였다. 대부분 ‘도야지’ ‘상년이’ ‘칠뜨기’ ‘쇠똥이’ ‘세돌이’ ‘동개’ ‘방개’ 등 험하고 천한 이름을 붙여주었다. 역신의 관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불용문자는 확실한 근거도 없다. 예를 들면 밝고, 화려하며, 순하고, 착하며, 진실된 기운의 글자가 들어가면 안 된다. 밝을 明, 빛 光, 빛날 熙, 빛날 煥, 여름 夏, 착할 善, 꽃부리 英, 순할 順, 맑을 淑, 아름다울 美, 참 眞, 구슬 玉, 가운데 中, 아들 子, 一 二 三… 숫자 전부 등 128자이다. 이런 한자를 이름에 쓰면 “어둡고, 악하며, 정숙하지 않고, 거짓말을 잘하며, 파경을 맞이하고, 구슬처럼 평생 굴러다니며 죽도록 일만 하게 되고, 추하게 먼저 꼬리를 쳐 인생말로가 비참하다는데, 모두 본래 뜻과 반대되는 해석을 한다. 바로 이것이 ‘악명위복사상’의 근거다. 너무 어처구니 없는 이론이다.


대통령 : 김九, 윤보善, 박정熙, 최규夏, 전斗煥, 노泰우, 김영三, 김대中, 노武현, 이明박,

영부인 : 육英수, 홍基, 이順子, 김玉淑, 손命順, 이姬鎬, 권양淑, 김윤玉.


 역대 대통령과 영부인 이름엔 거의 ‘불용한자’가 있다. 출세한 대부분의 이름에 불용한자가 들어 있다. 그렇다면 ‘불용한자’는 ‘권장한자’라 해야 한다. 옛날 권력자들이 역학자들에게 압력을 넣어 ‘불용한자’를 만들었을까? 우리나라 여성 이름의 60% 이상이 淑, 順, 美, 玉, 眞, 子, 英 등인데…. 대한민국 인명사전의 사회 지도층 중 48%가 ‘불용한자’가 들어 있다. 그런데 지금도 성명학, 주역, 역학, 운세, 꿈풀이 사이트에 ‘불용문자’로 겁주고 있다. 자기 철학이 없으니 허무맹랑한 사술을 부리고 있다. 사회 지도층 중 50% 가까이 불용한자가 들어 있다면 오히려 권장하여 서민들이 사회 지도층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이름에 피해야 할 글자가 있다. 우선 성명학적으로 이름 총 획수가 10의 배수일 경우 길흉이 좋지 않다. 그리고 자신의 분수에 맞지 않게 고귀하거나 강력한 이름일 경우 앞으로의 삶이 순탄치 않다. 어떤 사람의 이름이 강하면 그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이 이름을 불리는 사람을 강한 성질을 가졌다고 생각하기에 그 사람을 공격하게 된다. 예전 우리 조상들이 자식 이름을 지을 때 오래 살라고 일부러 천한 이름을 붙인 까닭도 그것이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천한 이름을 가진 사람은 시샘을 받지 않고 순탄한 삶을 살 것이기 때문이다. 이름은 '이르다(謂·云)'의 명사다. 이름(名)은 밝힘(明)이다. 夕+口은 어두워 볼 수 없을 때 입으로 밝히기에 길흉화복을 창출한다. 사주팔자가 선천적 숙명이라면 이름은 후천적 운명이기에…. 첫째, 부르기 좋고 듣기 좋아야 한다. 남여가 뒤바뀐 듯한 인상을 주지 않고, 선고후저(先高後低)·선탁후청(先濁後淸)의 음이 좋다. 둘째, 품위가 있어야 한다. 개그적 인상이 면 재능·지식·능력을 퇴보시킨다. 셋째, 직역·의역했을 때 뜻이 진취적·생산적이고 강한 메시지가 담겨 있어야 좋다. 넷째, 이름 석자가 林種喆처럼 분파되면 복이 반으로 줄게 되고 재능이 피기도 전에 꺾이며 불구·파산·형살·단명한다. 다섯째, 알기 힘든 벽자(僻字)나  글자를 쓰면 인덕이 없고 그늘진 생활 속에 운이 불규칙하다. 여섯째, 획수의 음양 배치가 좋아야 한다. 이름 석자가 모두 양수나 모두 음수이면 실패·좌절이 많고 한 가지 일도 제대로 성취하지 못하며 자식이 속 썩히고 부부운도 없다. 일곱째, 사주와 음양오행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여덟째, 통계적으로 이름에 써서는 안될 한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아홉째, 길한 획수를 써야 한다. 열째, 음오행(陰五行)이 길해야 한다. 성명학은 후천적 개명이다. 생년월일시가 기준인 4주8자는 어쩔 수 없지만 성명학은 후천적 개운법이다. 산 사람은 물론 죽은 사람과 땅 이름도 이름의 영향하에 있다. 좋은 이름은 귀신도 두려워한다. 지명도 마찬가지이다. 금속성인 '종로'에는 금은방이 번성한다. 종소리 요란하듯 분주다사하다. 전차나 지하철도 시작되는 곳이다. '을지로'는 나무가 움트는 지명 답게 건축자재 상가가 번성한다. '서울'은 화려함·술집여성·연예인, 도덕성 상실, 근친 교접의 의미를 품고 있다. 광주는 시위가 많고, '송탄'*'화곡동'은 벼락이 잦다. 골프 치다가 벼락 맞아 죽는 것도 죄값이 아닌 이름이 전기를 끌어들였기 때문이다. 성명학은 기를 조화시켜 최선으로 응용한다. 주역 원리를 응용한 첨단 과학이다. 누구나 고유번호가 두 개 있다. 선천적인 생년월일과 후천적인 이름이다. 한글이름에서 그 사람의 지위, 가치관, 도량을 알 수 있는데. 수리학상 한글 자음과 모음의 획수는 다음과 같다. 

 

●이름에 피해야할 글자 

甲(갑옷갑): 성질이 화급해 매사 실속이 없고 재물에 고통이 따르며 부부궁이 불길하다. 사주에 용신이 나무(木)인 경우 쓰면 출세한다. 

庚(별경): 인덕이 없고 앞길에 막힘이 많고 신체 허약·교통사고·수술 등의 흉터를 지니고 가정에 어려움이 많다. 군인·경찰·법률·의학 계통에 종사하면 흉을 면할 수 있다. 

光(빛광): 두뇌는 명석하나 체질·시력이 약하고 단명·불구가 된다. 명예는 있으나 재운에 풍파가 많다. 

鑛(쇳덩이광): 과격하고 신체 허약. 일의 막힘이 많고 재운이 유동적이라 생활이 결여된다.

國(나라국): 정신과 육체에 기가 약해 매사 쇠약해지며 관재구설 많고 조난·박명하기 쉽다. 

菊(국화국): 몸과 성품이 나약하여 일시적 성공은 있으나 곧 수포로 돌아가 고독·불운하다. 

貴(귀할귀): 부모·형제의 덕이 없고 천박하다. 부부간에 이별수가 있고 부귀영화와 수명이 한순간에 흩어져 조난·객사·단명한다. 

龜(거북귀): 인품은 중후하나 성공이 지체되고 단명하며 재물에 풍파가 많다. 사주에 용신이 水일 때 쓰면 대길하다. 

錦(비단금): 운세 흐름이 박약하고 자손이 불길하며 번민과 빈곤으로 말년에 고생이 심하다. 

吉(길할길): 다정다감하나 매사 말 뿐이며 육친의 덕이 없고 가정운이 쇠약하며 주색·조난·교통사고·형액을 조심해야 한다. 

極(지극할극): 부모 덕이 없고 매사 극단적이며 생활이 안정되지 못하고 두통·정신질환이 있다. 여성은 남편을 극한다. 

男(사내남): 열(十)+입(口)을 먹이기 위해 눈코 뜰 새 없이 바쁘지만 소득이 적고 고독하다. 부부간에 갈등이 많고 자손에 근심이 많다. 

南(남녘남): 여자가 쓰게 되면 무의무탁하여 과부를 면치 못한다. 

大(큰대): 마음 고통 심하고 성공까지 가시밭길을 걷는다. 인덕이 약하고 조난·형액 있다.

德(큰덕): 육친의 덕이 없고 매사 성과가 미진하다. 여성은 부부간에 생리사별할 수 있고 자손에 근심이 따르며 조난·단명을 암시한다. 

挑(복숭아도): 끈기 없고 허영이 심해 되는 일이 없어 고되고 방랑생활로 말년이 고독하다. 

乭(돌돌): 의협심은 있으나 분별력이 약하고 천박하며 덕이 없어 불우하고 빈곤하다. 

童(아이동): 일시적 성공은 있으나 끝내 무산되고 심적 갈등으로 곤고함이 많다. 

冬(겨울동): 한겨울 초목처럼 자신감 결여로 실패가 많고 가정에도 냉기가 흐른다. 여성은 생식기 질환을 앓을 수 있다. 

蘭(난초란): 부부·자녀운이 쇠약해 고독하며 병을 앓거나 단명한다. 

萬(일만만): 매사에 결과가 무산된다. 남자는 정력이 약하고 여자는 난산하기 쉽다. 

末(끝말): 덕이 없고 고독하며 신체가 허약하고 재물이 모이지 않으며 부부간에 반목한다. 

梅(매화매): 장애가 많고 배우자·육친의 덕이 없고 고독하다. 

明(밝을명): 두뇌회전이 빠르고 온순하나 운세에 굴곡이 심하고 금전이 잘 모아지지 않으며 풍파가 많다. 부부운·시력·심장도 약하다. 

命(목숨명): 평생 고독·재액이 따라 불우하며 신체병약·단명한다. 여성은 재혼수가 있고 자식이 속을 썩이며 돈벌이에 신역이 많다. 

美(아름다울미): 온순·다정하나 초년이 불우하며 일생에 한번 큰 파란곡절을 당하고 부부운도 좋지 않다. 연예계에 종사하면 좋다. 

未(양미): 부모·형제의 덕이 없고 고독·불행을 초래하며 소띠·소날, 개띠·개날 생이 쓰면 흉이 증폭된다. 

敏(민첩할민): 예민하여 인덕이 없고 노력만큼 결과가 적고 정상 일보 직전에 물러선다. 

法(법법): 성품이 편협하고 재해와 곤고가 많다. 흐르는 물처럼 생활이 빈약하고 박명하다. 

福(복복): 천박·곤궁한 가운데 금전적 실패가 많고 남편덕도 없다. 

鳳(새봉): 교만해서 고독하며 성공하기까지 고생이 심하다. 가정불화하며 여성은 남편을 극하고 자손을 파하여 독수공방하기 십상이다. 

富(부자부): 빈천하기 쉬우며 항상 마(魔)가 끼어 복이 깨진다. 뜻밖의 재앙으로 말년이 쓸쓸하며 경제적 고충이 많다. 

分(나눌분): 복이 반으로 감소·소멸되어 객지에서 고생하며 육친·배우자 복이 없어 이별수가 있고 금전마저 흩어진다. 

粉(가루분): 마음에 중심이 없고 애정에 파란이 많아 결혼생활이 순탄치 못하며 경제적 고충으로 삶이 고달프다. 

山(뫼산): 자기 주장이 너무 강해 융화를 못하고 험준한 산을 넘듯 일에 고통이 심하며 부부간에 정이 없고 자식이 속을 썩힌다. 

霜(서리상): 매사 결과가 없고 속성속패, 재난이 많다. 부부간에 구설풍파로 화합치 못한다.

石(돌석): 좌절이 많고 재물 모으기가 힘들며 고집이 세어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다. 자식·부부운이 허약하여 가정에 찬 기류가 흐른다. 

仙(신선선): 신선처럼 고독하고 재물이 따르지 않아 갖은 고생을 하며 부부 이별수가 있다. 

특히 여성은 흉이 증폭된다. 

雪(눈설): 육친덕이 없고 매사 눈녹듯이 완결됨이 없으며 금전이 잘 모아지지 않는다. 여성은 이별수가 있고 말년이 고독하다. 

星(별성): 매사 불운에 빠져 회복하지 못하며 고독한 과부를 면키 어렵다. 

笑(웃을소): 뜻하지 않는 재난이 오므로 만사 이루지 못한다. 

松(솔송): 투지는 강하나 매사 허무, 운세 박약, 금전적 갈등을 겪으며 건강에 애로가 많다. 

壽(목숨수): 단명하거나 덕이 없어 심한 생활고에 번민이 많고 부부간에 고충이 많다. 고혈압·당뇨·간 기능에 유의해야 한다. 

淑(맑을숙): 천품은 고결하나 고집이 세며 육친의 덕이 없고 애정문제로 번민하며 부부간에 의견대립으로 이별수가 있고 풍파가 겹친다. 

順(순할순): 일시적 성공은 있으나 곧 실패가 따르고 부부간에 공방수가 있다. 중년 말부터 불운 속에 곤궁하게 지낸다. 

勝(이길승): 하극상을 저질러 인덕과 출세에 손상을 입는다. 재앙이 잇달아 닥쳐와 고배를 마시게 된다. 스포츠계로 가면 승승장구할 수 있다. 

新(새신): 온순하고 사리가 밝으나 고난이 많고 중상모략·풍파가 따르며 고독하다. 유두무미하고 신체가 허약하다. 

伸(펼신): 인덕이 없고 노력만큼 대가가 불충분하며 자손을 극하고 고독하다. 

實(열매실): 성품이 고상하지만 일이 막히고 재물이 흩어지며 고독하다. 조난이 우려되고 불길함이 연속된다. 

心(마음심): 마음에 고통이 따르고 신체가 허약하다. 부부 이별수가 있고 매사 실패가 속출해 재물이 흩어지며 말년이 고독하다. 

岳(산악): 인생살이가 고달프고 몰인정·잔혹하며 부부간에 정이 없고 이별수가 있다. 변란·형액·풍파가 염려된다. 

愛(사랑애); 여성에게 불길한 글자로 부정·음란을 암시하며 부부 이별 및 부모·형제와도 인연이 박하게 된다. 

良(어질양): 배짱은 크나 실속·발전이 없다. 여성은 고독, 이성간 갈등으로 가정이 적막하다. 

女(계집여): 육친·배우자 덕이 없고 천박·고독하며 불의의 재난을 당한다. 늦게 결혼하고 결혼 후에 직업을 갖는게 좋다. 

英(꽃부리영): 남자는 영화가 있고 출세할 수 있으나 여자는 자존심이 강해 팔자가 세고 부부운·자녀운·재운이 적어 늘 고달프다. 

榮(꽃영): 수심이 끊이지 않고 고배를 마시게 되며 매사 이루지 못한다. 

禮(예도예): 성품은 영민하나 육친의 덕이 없고 금전적 애로가 많다. 부부간에 정이 없고 이별수가 있으며 조난·형액·수술을 암시한다. 

玉(구슬옥): 두뇌는 명석하나 건강 문제, 부부 불화 및 근심이 떠나지 않는다. 조난·객사·단명을 초래하고 여자는 과부수가 많다. 

完(완전완): 가정에 불협화읍이 속출하고 자식 근심이 따르며 교통사고·신체허약·부상 등을 초래한다. 

王(임금왕): 언제나 외롭고 구설·모함을 받아 쇠패·산재 속에 일생 곤란한 일이 많다. 

龍(용용): 주위로부터 경쟁·시샘·구설이 많다. 크게 성공하는 장점도 있으나 성공하기까지 많은 시련을 겪으며 대부분 중도 좌절한다. 개띠·개일(戌日) 생이 쓰면 흉이 증폭된다. 

雲(구름운): 마음에 중심이 없고 재물이 흩어지며 색정(色情)에의 어려움이 따른다. 

遠(멀원): 덕이 없고 매사 의견대립으로 고립되며 좌절·실패 속에 일의 매듭이 없어 재물복도 없고 건강 문제가 생긴다. 

月(달월): 낭만·감성적이나 의지가 약하며 인덕이 없고 고독하다. 

義(옳을의): 매사에 장애가 끼고 배우자 덕도 없어 불행해 진다. 

銀(은은): 착하나 인덕이 없고 매사 장애가 많다. 

伊(저이): 고독하고 미천하게 된다. 

仁(어질인): 고집·편견이 심하고 인덕이 없어 많은 시련을 겪으며 건강이 좋지 않다. 가정에 적막감이 흐를 수 있다. 늦게 결혼하고 절대 동업하면 안된다. 

日(날일): 성품은 청수하나 육친의 덕이 없고 일에 장애가 많으며 부부운·재물운이 약하다. 

신체 고장으로 자유가 없으며 포부와 이상은 크지만 실현되지 않는다. 

子(아들자): 흥패(興敗)가 교차하여 재액이 많고 가정불화가 심하며 부부 이별수가 있다. 말띠·午日와 양띠·未日 생은 흉이 증폭된다. 

長(어른장): 모든 일이 중도에서 좌절된다. 

點(점점): 육친의 덕이 없고 건강이 약하다. 부부간의 갈등으로 출세길이 막히며 재난·관재·부상이 염려된다. 

竹(대죽): 겉은 화려하나 실속이 없고 가정에 수심이 가득하다. 

地(땅지): 노력만큼 성과가 돌아오지 않고 재화·조난을 당하기 쉽다. 성공운에 막대한 방해를 받는다. 

眞(참진): 모든 일이 허사로 돌아가기에 불행하다. 

珍(보배진): 모든 일이 중도에서 어긋나며 여자에게는 과부수가 허다하다. 

天(하늘천): 부모 덕이 없고 빈한하며 매사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자는 남편운이 없고 고독과 불행을 초래한다. 

千(일천천): 선친의 덕이 없어 타향에서 고생하며 관재구설·부상이 유도된다. 초혼에 실패하므로 늦게 결혼해야 하고 여성은 나이 차이가 많은 남성을 만나야 다소 안정이 된다. 

川(내천): 분산하는 글자 모양이라 모든 일이 흩어진다. 

鐵(쇠철): 영리하고 민첩하나 성질이 난폭하고 손재·재난이 따른다. 공부운이 약하고 생각 없이 처신해 화근을 자초한다. 

初(처음초): 성품이 단정하나 고난·고독을 면하기 어렵고 매사 결실이 없으며 불행·불운이 유도된다. 

秋(가을추): 일시적 성공은 있으나 곧 낙엽처럼 떨어지며 부부간에 정이 없고 고독하다. 

春(봄춘): 남성은 출세하는 자가 많으나 여성은 허영이 심하고 배우자 복이 없어 생활전선에 뛰어드는 고달픔이 있다. 

忠(충성충): 의리·박애정신이 있으나 일에 고초가 많고 생사의 큰 어려움을 몇 번 넘겨야 하며 조난·단명을 초래한다. 

平(편안평): 온순·다정하나 매사 경솔하여 중도 좌절로 재물에 실패가 많으며 잔병치레·위장·간 기능 저하 등을 겪는다. 

風(바람풍): 풍류·주색을 즐기고 마음이 약해 성취되는 일이 없다. 

夏(여름하): 파란곡절이 많고 뜻하지 않는 사고·주색에 빠지기 쉽고 매사 결실이 없다. 고통사고·손발을 다칠 수 있다. 

鶴(학학): 고독하고 난데없는 불행이 엄습하며 금전적 고통이 따른다. 배운 지식과 능력을 활용하지 못하며 여자는 홀로 되기도 한다. 

海(바다해): 파도치듯 고난·풍파가 반복되고 재물이 새어나간다. 여성은 애정운·자녀운이 쇠약하며 고단한 삶이 계속된다. 

幸(행복행): 시비가 많고 부상·수술 등의 횡액 속에 매사 물거품이 되기 싶고 천박해진다. 

好(좋을호): 바람기가 많고 매사 실속 없이 주거변동과 직장이동이 많아 생활이 불완전하다. 

虎(범호): 자만심이 강하여 좌충우돌하며 일에 매듭이 없고 병약해 단명하기 쉽다. 여자는 과부수이다. 원숭이띠·신일(申日)와 닭띠·유일(닭날) 생이 쓰면 세상을 원망하는 일이 생기고 매사 일장춘몽이다. 

紅(붉을홍): 단명수가 있고 매사 잘되지 않는다. 

孝(효도효): 성품은 충직하나 부모·형제덕이 없고 가정이 적막해운이 하락되어 고생한다. 

花(꽃화): 이성에 일찍 눈을 떠 사랑에 실패하기 쉬우며 재물복이 약하고 고독·구설·이별·허영·과소비 등을 유발시킨다. 

喜(기쁠희): 고독을 면치못하며 재산을 잃게 된다. 

姬(아가씨희): 남자를 도와주기만 하고 자기의 힘만 손상시킨다. 

*수복강령(壽福康寧)·행복(幸福) 부귀(富貴)의 글자는 불운을 야기하여 좌절을 불러들인다. 

*一(독신)·二(복이 분리됨)·三(기둥이 빠져 王이 못됨)·四(죽을 死가 연상됨)·五(주관이 없음)·六(財殺을 낳음)·七(칠칠함)·八(좌우로 갈라짐)·九(종말)·十(공망) 등의 숫자는 불길함이 많으므로 피해야 한다. 

*上下는 복을 감소시키고 東西南北의 글자도 피하는 게 좋다.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와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등은 역학의 지식 없이 함부로 쓰면 파산·단명·이별을 유도하고 운세를 그르친다. 

*甲(갑)·巨(거)·乾(건)·國(국)·大(대)·東(동)·斗(두)·上(상)·碩(석)·先(선)·始(시)·完(완)·元(원)·允(윤)·一(일)·長(장)·宗(종)·天(천)·初(초)·春(춘)·太(태)·泰(태)·弘(홍) 등은 장남·장녀만 사용한다. 차남·차녀에게 사용하면 형제 간에 덕이 없고 고초가 심하며 형과 언니의 운세가 하락하여 맏이 구실을 못하게 된다. 

*後(후)·末(말)·終(종)·小(소)·二(이)·中(중)·仲(중)·地(지)·坤(곤) 등은 차남·차녀가 사용한다. 장남·장녀가 사용하면 가운을 계승치 못하고 고생을 많이 한다. 

*태어난 해(年)·날(日)과 상충이 되는 글자는 피해야 한다. 그냥 쓰면 고통과 역경 속에 조실부모·애정불길·부상의 흉운을 맞게 된다. 

子日·쥐띠: 오…, 丑日·소띠: 미…, 寅日·범띠: 신…, 

卯日·토끼띠: 유…, 辰日·용띠: 술…, 巳日·뱀띠: 해…, 

午日·말띠: 자…, 未日·양띠: 축·자…, 申日·원숭이띠: 인…, 

酉日·닭띠: 묘…, 戌日·개띠: 진…, 亥日·돼지띠: 사… 

*맑은 느낌을 주는 글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운 느낌의 글자: 愛·夏·媛·煥·活·烈·盛·勳·丙·光… 

찬 느낌의 글자: 銀·淸·冬·純·鎭·雨·洙·庚·雪… 

맑은 느낌의 글자: 靑·明·生·玉·日·月… 

탁한 느낌의 글자: 雲·岩·植·默… 

파괴적인 느낌의 글자: 武·鐵·風·震… 

실한 느낌을 주는 글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강(强)의 글자: 光·成·義·龍·豪·勇·弘·泰·宰·美·建·動… 

약(弱)의 글자: 幸·年·平·草·少·空·露… 

허(虛)의 글자: 細·點·行·月·花·秋·伊·老·好·遠… 

실(實)의 글자: 益·昌·根·培·滿·世… 

그리고 이름의 획수를 보는데…. 그대 이름에 끄달리지 말고 초월하게나. 선행공덕을 쌓으면 절로 복된 삶을 누리리라. 그래도 이름에 끄달린다면 호를 받아 삶의 철학으로 삼게나. 만사형통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지솔기 | 작성시간 13.05.03 오늘도 공부하고 갑니다...
    선생님, 항상 건강하십시요... _()_
  • 작성자준연 | 작성시간 13.07.12 감사합니다 선생님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