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목회서신

맥추감사절의 유래와 의미

작성자보산|작성시간13.07.03|조회수44 목록 댓글 0

 

맥추감사절의 유래와 의미

 

 

 맥추감사절은 구약의 3대절기의 하나인 맥추절을 계승한 절기이다.(34:18-26, 16:1-17)

 

 유대인들의 추수감사절이었던 맥추절은 히브리어로 '하그 하카츠르'(거두어 수확하는 절기)란 뜻을 가지고 있다.

 

 맥추절은 관련 명칭 중 가장 오래된 것이며,(23:16) 후대에는 '칠칠절', '오순절' 등으로 불려졌다.

 

 '칠칠절'(七七節)은 이때가 보리 수확의 첫 단을 하나님께 드린 '초실절'(初實節)로부터 시작하여 7주간의 곡물 추수기가 끝난 뒤의 시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오순절'(五旬節) 또한 추수기와 관계된 말로, 이 날이 초실절 다음날로부터 계산하여 50일째 되는 날에 해당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맥추절'은 한 해의 수확을 끝낸 기쁨 속에서 그 수확을 가능케 해주신 하나님께 기뻐하며 감사를 드린 축제였다.

 

 동시에 인생의 모든 것은 오직 여호와께로만 말미암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고백하는 심정으로 일상의 모든 생활을 잠시 중단하고 하나님을 향한 자신의 신앙을 재무장하는 날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 해의 전반기를 보내고 후반기가 시작하는 7월 첫 주일에 지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날은 전반기 동안 베풀어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한편, 후반기에도 인도하여 주시기를 바라는 기원을 담아 지키는 절기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