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행문 >
몽골불교탐방기 (3)
칭기즈칸의 종교관,
도사 장춘자 만나 장생불사 물어
살생 금하고 동물을 애호,
섭생 권하면서 무위자연 가르쳐 감동받아
글 | 이치란 박사 (원 응 보검)
지금은 몽골의 종교라고 하면, 티베트에서 전해진 불교를 들 수 있다. 티베트 불교는 4대 종파가 있는데, 몽골에 겔룩빠(종파)가 집중적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현상은 몽골 제국 특히 중국에 세워졌던 원(元) 제국이 멸망하고 북쪽인 몽골고원으로 쫓겨 간 다음, 북원(北元)을 세운 16세기 중후반 때이다. 겔룩빠는 쫑까빠(Tsongkhapa1357-1419)란 티베트의 고승이 세운 일종의 개혁종파이다. 인도로부터 티베트에 불교가 전해진 것은 8세기지만, 겔룩빠는 14기에 창종되었고, 16세기 말 북원의 알탄 칸 황제의 후원으로 이 종파(일명 황모파)가 몽골 고원에 확실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인도에 망명 중인 14세 달라이 라마 역시 겔룩빠 소속이다. 그러면 몽골인들은 티베트의 라마불교가 전해기전에는 어떤 종교를 가졌는가. 칭기즈칸이 몽골제국을 세우기 전에는 샤머니즘과 텡그리즘(Tengrism)이 주류종교였다. 텡그리즘이란 샤머니즘, 애니미즘, 토테미즘, 다신교 또는 일신교, 조상 숭배 등의 특징이 나타나는 중앙아시아 특유의 종교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튀르크, 몽골, 헝가리, 흉노 민족의 전통 종교였다. ‘텡그리’란 ‘하늘’이라는 뜻이다. 텡그리즘의 사상가운데는 주위 세계와 조화롭게 살면서 하늘을 숭배하는 것이 주된 원리이다.
이런 종교적 전통을 가진 몽골인들은 다른 종교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용적이었다. 칭기즈칸만 하더라도 샤머니즘과 텡그리즘의 영향을 받고 성장했고, 대칸이 되어 천하를 호령하면서 유라시아를 누볐지만, 그의 종교관은 일관되게 샤머니즘과 텡그리즘의 영향아래에 있었다. 하지만, 그는 다른 종교에 대해서 관용적이었고, 불교의 고승과 도교의 신선을 만나서 대담을 나눈 기록이 전하고 있다. 칭기즈칸이 몽골초원에서 중국을 비롯한 유라시아를 정복하고 나서 자연스럽게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을 보게 되고, 전쟁 중이었지만, 그는 다른 종교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하기도 하고, 1214년에는 해운(海雲)이란 고승에 대해 듣고서 만나기도 했지만, 크게 마음이 움직이지는 안했던 것 같다. 칭기즈칸은 고승 해운에게 머리를 기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했지만, 고승 해운은 이를 거절하자 칭기즈칸은 그대로 허용했다고 하며, 1219년에 한차례 더 만나서는 후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고승 해운은 칭기즈칸에게는 큰 감동을 주지 못했지만, 그의 손자인 원 제국 황제 쿠빌라이 칸에게는 점수를 많이 따서 그의 왕사가 되었다고 한다. 칭기즈칸은 이슬람의 지도자도 만났다고 했지만, 그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킨 사람은 도교의 장춘(長春)이라는 도교의 지도자였다. 칭기즈칸은 불교고승과 유교의 지도자에게도 관심을 갖기는 했으나 칭기즈칸은 그가 죽기 전에 도교의 신선 장춘을 만나고자 해서 장춘은 칭기즈칸의 서정(西征)의 전장에서 만나기도 했다.
장춘은 본명이 구처기(丘處機 1148-1227)로서 도교 종파인 전진교(全眞敎)의 도사(道士)였다. 자는 통밀(通密)이며, 장춘자(長春子)는 전진교에서 받은 도호이며 장춘진인(長春眞人)은 그 존칭이다. 산둥 성 서하(棲霞) 출신이라고 한다. 그는 전진교의 개조 왕중양의 제자 북칠진(北七眞) 중의 한 명이며, 왕중양, 마옥, 담처단, 유처현에 이어 전진교의 5대 장문이었다. 전진교 용문파(龍門派)의 개조이기도 하다. 원나라 때 전진교를 융성시킨 것은 구처기의 공적이 크다고 하겠다. 1222년에 서아시아 원정 중이었던 칭기즈칸의 초청을 받아 고령에도 불구하고, 제자인 이지상 등과 함께 멀리 서역까지 여행을 하여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칭기즈칸을 만났다. 불로장수의 비결을 묻는 칭기즈칸에게 전진교의 가르침을 설명하였고, 칭기즈칸은 이에 보답하여 장춘진인에게 몽골 제국의 점령지 어디서라도 전진교를 보호하는 특혜를 베풀어 주도록 약속했다. 제자 이지상이 정리한 《장춘진인서유기(長春眞人西遊記)》 및 《현풍경회록(玄風慶會錄)》은 그 서역 여행 때의 기록이고, 장춘진인 일행이 거쳐 간 당시의 몽골고원 및 중앙아시아에 대한 귀중한 자료로 현재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 장춘은 서역에서 귀국 후 연경(북경)에 있는 장춘궁(천진관)에 살면서 폭넓게 대중의 신앙을 모으고, 칭기즈칸이 죽던 해에 생을 마쳤다.
이상의 스토리에서 알 수 있듯이 칭기즈칸이 관심을 가졌던 것은 불로장생(不老長生)이었던 것 같다. 칭기즈칸이 60세가 넘어서 장춘자(長春子)를 전장에서 만나기를 원했던 것은 아마도 인생무상을 느끼고 뭔가 정신적인 공허를 메워보려는 인간적인 욕망이 아니었겠는가. 하지만, 도사인 장춘자도 칭기즈칸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무위자연의 도리로서 무욕밖에 더 설명했겠는가. 여행기를 읽어보면 장춘자는 칭기즈칸에게 살생을 금하고 동물을 애호하고, 섭생을 권했다. 장춘자 자신은 철저한 채식주의자이였기에 육식을 하지 않고 뭔가 고상한 풍모로 감동을 주었던 것 같다. 칭기즈칸이 장춘자로부터 다소의 감명을 받아서 마음에 위안을 느꼈던 것만은 사실이었던 것 같다.
칭기즈칸 이후의 몽골 황제들은 공중 앞에서 종교 간의 교리적 경쟁을 시켰던 것으로 기록은 전하고 있다. 칭기즈칸은 유목생활의 특성상 몇 군데에 공공 예배 장소를 설치해서 몽골인들이 고유 신앙행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그의 후계자 3남 어거데이 칸은 제국의 수도 카라코람(Karakorum)에 불교 이슬람교 도교 기독교 등 각 종교의 건물을 지어서 각자의 성향대로 신앙생활을 하도록 했다. 그 당시의 지배적인 종교는 샤머니즘과 텡그리즘이었고, 어거데이 칸 또한 몽골의 전통 종교를 신봉했으나 그의 부인은 경교를 믿었다고 한다. 13세기 칭기즈칸 시대에 칭기즈칸의 종교적 관용에 의해서 많은 몽골인들이 전통종교에서 개종을 했다고는 하지만, 원 제국이 들어서면서 티베트 불교를 수용했다. 칭기즈칸은 비록 그의 당대에 불교의 고승과 도교의 도사를 만나서 뭔가 정신적인 것을 얻으려고 했지만, 그는 몽골인들의 전통 종교적 관념을 떠날 수는 없었던 것 같다. 야수성을 지닌 그가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도시들을 파괴했지만, 말년에 이르러서는 무엇인가 인생의 허무를 느끼고 참회하는 마음에서 불교의 고승과 도교의 도사에게 정신적으로 의지하려는 심정이 아니었을까.
몽골제국은 모든 종교에 대해서 관용적이었음이 역사를 통해서 나타난다. 칭기즈칸 시대에 이미 불교, 기독교(경교), 마니교, 이슬람교 등이 중국 땅에 존재하고 있었는데, 개종 또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풍조가 유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칭기즈칸 자신은 샤머니즘에 젖어있었다고 한다. 칭기즈칸이 서정(西征)길에 도사 장춘자(長春子)를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설산(雪山)에서 만나 인간의 근본문제에 대해서 알고자 대담을 나누었지만, 크게 감동은 못했던 것 같다. 그래도 뭔가 탈속(脫俗)한 도사 장춘자의 모습을 보고, 상대의 진지함은 인정 했던지 몽골제국권내에서 도교의 홍포는 용인했다. 하지만 칭기즈칸의 종교관은 각 종교 간의 반목과 갈등을 원치 않아서 종교에 관해서는 관용의 자세를 취했다. 중국역사를 통해 본 종교사에서 이미 한나라 때부터 서역을 통해서 불교가 들어왔고, 몽골 제국 이전에 경교(기독교) 마니교 심지어 이슬람교까지 들어와 있었다. 칭기즈칸에게는 공식적으로 4명의 아들과 다섯 명의 딸이 있었지만, 여러 명의 부인들로부터 낳은 서자와 딸도 여러 명이었지만, 기록상으로 이들은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다.
장자는 주치(몽골어:Зүчи, 한자:朮赤 11811227)이다. 칭기즈칸이 사망하기 전 분봉(分封)
받을 때, 그는 투르가이와 우랄스크를 물려받았으나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하지는 않았다., 차남은 차가타이(Цагада,察合台, 11831242)이다. 그에게는 위구르 지방에서 서쪽으로 부하라와 사마르칸트에 이르는 옛 카라키타이(西遼) 제국의 초원 지역인 일리, 이식쿨 호, 추 강 상류, 그리고 탈라스 지역을 몫으로 물려받았다. 삼남은 어거데이 칸 또는 오고타이 칸(Өгөдэй хаан, 1186-1241)이다. 그는 몽골 제국의 제2대 대칸으로 등극한 인물이다. 휘는 보르지긴 우구데이(孛兒只斤 窩闊臺)인데, 일찍부터 아버지를 도와 부족 전쟁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영토를 나누어 받아 오고타이 한국을 열었다. 1229년 칭기즈 칸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어 개혁과 제도의 정비에 힘썼다. 4남은 툴루이(Толуй хаан, 拖雷, 1192-1232)이고, 제국의 임시 대칸(재위:1227-1229)이었고, 칭기즈칸의 아들로서 그의 어머니는 보르테이며 원나라를 통치한 세조 쿠빌라이의 아버지이다. 몽골족의 전통에 따라 가장 가까운 땅인 몽골의 원래 거주지를 물려받았다. 칭기즈 칸의 사후에 형 오고타이가 대칸에 오르기 전까지 감국으로 통치하였다.
그는 아버지와 함께 금나라와 화레즘 정복에 늘 함께 하였다.칭기즈 칸의 후계자로 내정되었으나 그의 뒤를 잇지 못하였다. 사후 아들 쿠빌라이에 의해 예종(睿宗)으로 추존되었고, 쿠빌라이가 나중에 대칸 경쟁에서 승리하고 원(元)나라를 세움으로써 몽골제국은 툴루이 家가 지배하게 된다. 툴루이의 네 아들로 이루어진 툴루이 가문사람들은 몽골 제국의 운명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의 아들은 몽케와 쿠빌라이, 아라 부가, 훌라구였다. 몽케는 4대 몽골 황제가 되었고, 쿠빌라이는 5대 황제가 되었다. 송나라를 정복한 쿠빌라이 칸은 중국을 거점으로 원나라를 세웠고, 훌라구 칸은 바그다드와 다마스쿠스를 정복한 일한국을 세웠다.
이제 몽골 제국과 대칸들의 종교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몽골제국에는 어떤 종교들이 있었는가를 살펴보자. 경교(景敎)는 네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 또는 콘스탄티노플의 네스토리우스(?∼451?)총 주교를 시조로 하는 기독교의 일파를 말하는데, 이 파는 아시리아 동방교회로 소급된다. 이 기독교의 일파가 중아아시아를 거쳐서 중국 땅에도 일찍 전해졌다. 네스토리우스의 이론은 424년경부터 이집트, 시리아, 팔레스티나 지방 및 인도까지도 전파되었다. 또 당 태종 때인 7세기에는 중국 대륙에서 경교(景敎)라 불렸고, 그 교회를 파사사(波斯寺)라 불렀다. 당 현종(玄宗) 때에는 대진사(大秦寺)라 개칭하고, 각지에 이를 건립하여 교세를 제법 떨쳤다고 전해진다. 그 후 200년간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무종 때 박해를 받아 쇠퇴하였다. 그러나 몽골의 원나라 치하(治下)에서는 그 신앙이 허락되어 신자와 교회가 증가하였고 그때는 예르게운(야리가온)이라 불리었다.
마니교(摩尼教)인 매니키이즘(Manichaeism)은 사산 왕조(226~651) 시대에 성립된 주요한 페르시아 나스티시즘 종교들 중의 하나로, 현존하지 않는 고대 및 중세의 종교이다. 마니교의 창시자인 예언자 마니(摩尼) 또는 마네스(Manes 216~276)가 저술한 원래의 저작은 대부분이 상실되었지만 다수의 번역서와 단편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마니교에서는 선하고 영적인 빛의 세계와 악하고 물질적인 어둠의 세계 간의 투쟁에 대해 설명하는 정교한 우주론을 가르쳤다. 이 우주론에 의하면, 인간의 역사에서는 선과 악 또는 영성과 물질성의 투쟁이 계속하여 발생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선 또는 영성이 그 대립물인 악 또는 물질성을 극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빛(영 또는 영혼의 에센스)이 물질의 세계로부터 점차적으로 철수할 수 있게 되고 마침내 그 자신이 발출되어 나왔던 본래의 원천인 빛의 세계(world of light)로 되돌아가게 된다.
마니교는 기원후 3세기에서 7세기 동안 융성하는데, 그 절정기에는 가장 널리 퍼진 세계 종교들 중의 하나였다. 마니교는 동쪽으로는 중국까지, 서쪽으로는 로마 제국까지 전파되어 이들 지역에 마니교 교회와 경전이 있었다. 서양에서는 마니교가 비교적 빨리 사라졌지만 동양의 경우 중국 남부에서는 14세기 이후에야 최종적으로 사라졌다. 이는 경교(景敎) 또는 네스토리우스교라고도 불리는 동방의 교회(Church of the East)가 중국에서 쇠퇴하여 사라진 것과 동시대의 일이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하는 단일신 종교로, 기독교·불교와 함께 세계 3대 종교의 하나이다. ‘이슬람’이란 뜻은 ‘복종·순종’이란 뜻이다. 이슬람을 믿는 신자는 남자일 경우에는 무슬림이라고 하고 여자일 경우에는 무슬리마라고 한다. 이슬람교의 경전은 쿠란(코란)이며, 이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천사 지브릴로 부터 받은 알라의 말을 기록한 것이라고 한다. 이슬람의 대표적인 종파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표하는 수니파와 이란이 대표하는 시아파가 있다. 수니파는 전체 무슬림 인구의 80〜90%를 차지하며 시아파는 10〜20%를 차지한다. 발칸 반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무슬림들은 수피 무슬림들이 많다. 수니파 내에서 무슬림 모두는 동질 의식을 가지나, 타 종파 간에는 보이지 않는 불신이 있다.
이슬람교의 역사를 추적해 보면, 10세기에 들어서자 921년 이후 볼가강 중류의 불가르족(族)이, 이어서 960년 이래 천산 산맥 남북로의 투르크족이 다 같이 대량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그때까지 아랍족, 이어서 이란인이 중심이었던 이슬람 세계는 이 무렵부터 투르크의 패권 밑으로 옮겨지는 경향이 생겨, 10세기 말부터는 투르크계 가즈나 왕조의 마호무드왕은 자주 인도에 침입하여 이 지방의 이슬람화가 확고한 기반에 놓였다.
한편 동아프리카에는 740년 무렵부터 이슬람교가 퍼지기 시작하여 1010년경에는 사하라 사막을 넘어 나이저 강변의 서 수단 지방에 있는 흑인 왕국에까지 이슬람의 세력이 미쳤다. 1071년 아르메니아의 만지케르트 싸움에서 셀주크 투르크군은 비잔틴군을 격파하였다. 이 때부터 서아시아의 이슬람화 ·투르크화가 시작되었고, 그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것이 11세기 말~13세기 말의 거의 2세기에 걸친 십자군 전쟁이다. 한편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기독교도의 역정복이 진행되어 1492년에는 무어인의 최후 거점인 그라나다가 함락되고 마침내 이슬람은 북아프리카로 후퇴하였다.
이와는 달리 셀주크 제국과 교체된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로 진출하여 1453년에는 콘스탄티노플을 공략, 비잔틴 제국(330-1453)을 멸망시켰다. 또 인도에 세력을 부식한 이슬람 교도는 이곳을 기지로 하여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필리핀 방면에 선교를 하여 동남아시아의 이슬람화는 15~16세기에 광범한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중국에서의 이슬람의 역사는 당나라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2대 대칸인 오고타이는 카라코룸에 각 종교의 예배 건물을 세우게 해서, 불교 무슬림 기독교 도교의 각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지만, 주류 종교는 몽골인들의 고유 종교인 샤머니즘과 텡그리즘이었고, 불교가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고타이 칸의 부인은 경교를 믿었다고 한다. 나중에 4개의 주요 칸국은 이슬람을 신봉하게 된다. 쿠빌라이에 의해서 원 나라가 세워지고, 쿠빌라이가 대칸으로 등극하면서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여 이른바 장전불교(藏傳佛敎)가 석권하게 되고, 오늘날 몽골국은 물론 내몽골 중국의 청해성 감숙성 사천성 일부와 신강 지역의 몽골인들은 티베트 불교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역사적으로 중국불교를 보면, 불교가 인도의 갠지스 평원 지역에서 발생해서, 인도 전역은 물론 실론 동남아 등지의 남방으로 전해진 남전불교(南傳佛敎)와 인도 북부의 간다라를 경유하여 중앙아시아 그리고 카시미르를 경유하여 서역인 호탄 구차 투루판의 신강지역을 경유하여 돈황을 거쳐서 중국 장안(서안)과 낙양으로 전해졌는데, 이것을 북전불교(北傳佛敎)라고 부르는데, 중국에서는 한전불교(漢傳佛敎)라고 부른다. 한전불교란 한역(漢譯)에 의한 불교를 말한다.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경전이나 일부 서역어(西域語)로 된 경전에서 문어문(文語文)인 한문(漢文)으로 번역된 불교를 뜻한다. 티베트의 장전불교(藏傳佛敎)가 전해지면서, 중국에서는 한전불교 장전불교가 있게 되고, 남쪽의 운남성 등지에는 남방 불교인 상좌부 불교가 전해져서, 이 3대 불교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여기에 티베트에서 전해진 몽골불교 또한 내몽골을 비롯해서 중국 신강성 등의 몽골족 거주지에 퍼져 있고, 외몽골이나 브리야트 공화국 등지에 티베트 전통인 몽골 불교가 존재한다.
이렇게 중국지역의 몽골족들의 종교인 티베트 전통의 불교가 뿌리내리게 된 터전은 원나라 때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인 칭기즈칸 시대부터 다종교가 공존했고, 그 이후에도 다종교가 존속은 했으나 중국지역인 원나라 때부터는 티베트 전통인 장전불교가 석권하게 된다. 하지만 중국의 한족(漢族) 중심으로는 한전불교(漢傳佛敎)에 의한 13종파(宗派)가 형성되고, 원나라 때는 특히 선불교(禪佛敎)도 왕성하게 퍼져나갔다. 고려시대 태고보우 국사가 원나라 때, 중국(원나라)에 들어가서 석옥 청공선사로부터 선종불교(禪宗佛敎)의 법맥을 이어온 것도 이 때다. 삼국시대부터 한반도에 한전불교 즉 한역불교가 전래되었지만, 나말여초(羅末麗初)부터 시작된 선불교는 고려시대에 이르러서 한반도 전역에 광범위하게 퍼졌다. 다음 회에는 원 나라 시대의 불교를 더 천착해 보겠다.
이치란 박사 (원 응 보검)
세계불교네트워크 코리아 대표
아시아불교평화회의(ABCP 본부 몽골) 한국회장
국제불교연맹 이사(IBC 본부 인도)
동방불교대학 전 총장
한국불교신문 전 주필
현: 해동불교대학장
강원불교대학장
WFB 세계불교대학 집행이사
일붕신문 상임논설위원
다나TV 영어금강경 강의
(www.haedongacadem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