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역 >
냐나띨로까 스님의 생애 (2)
번역 / 김재성
능인대학교 대학원 대학교 명상심리학과 조교수
본지는 5.6월호 부터 냐나띨로까 스님의 생애에 대한 글을 소개한 책 ‘THE LIFE OF NYANATILOKA THERA, THE BIOGRAPHY OF A WESTERN BUDDHIST PIONEER’을 번역 소개한다. 번역자는 서울에 있는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 심리학과 김재성 조교수이다.
Nyanatiloka 스님(1878~1957)은 현대 세계에서 불교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이자 최초의 유럽대륙 출신의 불교 승려였다. 본명은 안톤(Anton Walther Florus Gueth)이며, 음악을 전공하던 소년 시절부터 영성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프랑스에서 작곡가가 되기 위한 공부를 마친 후, 1902년에 불교 승려가 되기 위해 인도를 거쳐 스리랑카로 가게 되었다. 25세가 되던 1903년, 스리랑카에 도착했지만 영국인 불교 승려인 아난다 메떼야 비구를 만나가 위해 버마(미얀마)로 가서 그해 가을 출가하여 사미가 되었다. 그리고 1904년 초에 비구계를 받았고 법명을 ‘삼계(三界)를 아는 자’라는 의미의 냐나띨로까Nyanatiloka로 받았다. 버마에서 빨리어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빨리어와 빨리 문헌에 대한 공부를 더 하기 위해서 1905년에 스리랑카로 갔다. 2년 가까이 스리랑카에 머물면서 빨리어 공부와 부정관, 죽음명상을 수행했다. 1906년 말에 앙굿따라 니까야의 번역을 위해서 버마로 가게된다. 그리고 1906년에 첫 번째 저작인 <붓다의 말씀>을 독일어로 출판하였다. 1907년에 빨리어로 버마 사람들에게 사성제를 법문했고, 버마어와 빨리어에 능통한 통역자가 버마말로 통역하였다. 이후,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등지를 다니며 불교를 전하였고, 1911년에 스리랑카로 돌아와서 도단두와의 호수 한가운데 있는 버려진 섬에 Island Hermitage를 만들어 지내게 된다. 이후 이곳을 중심을 스님은 많은 서양인 제자들을 양성했다,
이 책은 원래 스리랑카 캔디에 있는 ‘불자출판협회-Buddhist Publication Society Inc. 에서 출판되었다. 그런데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의 출판물에 대한 모든 책의 한국어 출판권은 ‘고요한 소리’에 있다. 본지는 ‘고요한소리’와 한국어 번역에 대한 저작권 계약을 맺었는데 ‘고요한 소리’ 회주 활성 스님께서는 무료로 계약을 해 주셨다.
서양인으로 120년 전인 1903년에 출가하였지만 냐나띨로까 스님은 세계 1차 대전 2차 대전을 겪으면서 단지 독일 출신이라는 이유로 영국정부에 의해서 스리랑카에서 추방되기도 하고, 수용소 생활을 하기도 했지만, 교도소에 수감되었던 때에도 그는 경전 번역을 했다고 한다. 서양인 스님으로 교통이 불편하던 시절에 유럽과 스리랑카와 미얀마 등에서 고단한 삶을 살면서도 수행과 경전 번역을 하고, 제자들을 길러낸 감동적인 내용이 가득한 이 책을 독자들의 많은 애독을 바란다. ---편집자 주
서문
최초의 독일 불교 승려인 냐나띨로까 스님에 대한 이 저술은 성인(聖人)의 전기가 아니라 진솔한 역사 기록이다. 이 책의 목적은 유럽대륙 출신의 근대 최초 비구인 서양 불교의 선구자의 삶을 소개하는 것이다. 영적 탐구에서 엄청난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구자, 교사, 신뢰할 수 있는 불교 경전 번역가, 수도원의 설립자 등 불교 승려의 다음 세대들을 위한 기초를 만드는 데 성공한 한 남성의 이야기를 제시한다.
냐나띨로까의 자서전은 많은 장애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불교 승려가 되겠다는 그의 결심을 보여준다. 독일 국민으로 서 냐나띨로까는 두 차례 세계대전 동안 포로 수용소에서 몇 년을 보내야 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그는 영국 식민지인 실론(현재의 스리랑카)에 다시 들어가는 것과 다른 불교 국가에 정착하는 것이 몇 년 동안 금지되었다. 유럽에서 최초의 불교 수도원을 세우려는 그의 시도는 실패했고, 그 결과 실론 남서부의 호수 가운데 있는 작은 섬에 위치한 최초의 서양인을 위한 수도원인 섬 암자Island Hermitage를 세우는 데 성공했다고 그는 설명한다.
냐나띨로까는 여권도 없고 대륙간 비행기 여행이 아직 없었던 세계로 들어가는 창문을 제공한다. 서구의 영적 구도자들이 배를 타고 아시아로 여행을 가야 하는 세계, 그곳에 가면 큰 불편과 고난, 말라리아 같은 당시 흔한 불치병에 걸려 그로 인해 죽을 수도 있었고, 냐나띨로까의 몇몇 서양 제자들도 겪었다. 그는 중국, 일본과 같은 아시아 국가와 문화에 대해 글을 썼다. 그는 1923년 도쿄 지역을 강타한 끔찍한 관통 대지진에 대해 직접 기록하였다. 그는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자신과 독일 제자들이 억류되었던 호주의 수용소 생활에 대해서도 기록하였다.
이 책은 여러 저자가 작성하고 다른 출처에서 얻은 여러 자료의 조합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모두 냐나띨로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독일 저널리스트이자 함부르크 불교회(BGH)의 공동 창립자이자 후에 독일 불교회(BGD)의 지도자인 발터 페르시안Walter Persian이 쓴 독일 불교의 초기 역사에 대해 쓴 에세이다. 2부는 자서전이다. 3부는 냐나띨로까의 제자들에 대한 간략한 전기와 얽혀 있는 후반부의 전기이다. 냐나뽀니까 스님의 전기가 포함된 부록과 냐나띨로까가 저술한 모든 작품에 대한 광범위한 참고 문헌이 포함된 부록이 있다.
독일 불교의 초기 역사에 대한 페르시안의 에세이는 일찍이 불교 저널에 실다. 냐나띨로까와 그의 문화적 배경을 소개하기 위해 1부에서 그것을 다시 사용했다. 2부를 구성하는 냐나띨로까의 자서전은 1878년 독일에서 태어난 이후, 유배 후 1926년 실론으로 돌아올 때까지 그의 생애 전체를 다루고 있다. 헥커 박사의 작업을 기반으로 한 3부의 전기는 1926년 이후 30년을 다루며 일부 냐나띨로까의 제자와 동시대인의 설명으로 보완된다.
냐나띨로까는 자서전을 끝내지 않았기 때문에 다소 다듬어지지 않았으며 여러 면에서 개선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그는 자신이 불교 승려로서 유럽에서 비불교인들에게 어떻게 대우받았는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냐나띨로까가 자서전의 맨 처음에 썼듯이, 그가 자서전을 쓴 목적은 단지 그의 삶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자서전은 불교의 초기 서구 수용에 대한 정보의 원천으로서 본질적으로 흥미롭고 가치가 있다.
자서전의 독일어본은 헬무스 헥커Hellmuth Hecker 박사가 편집한 최초의 독인인 비구 Der Erste Deutsche Bhikkhu(Konstanz, 1995, EDB로 약칭)에 처음 출판되었다. 이 책에 대한 인쇄본으로 나온 첫 번째 번역이 여기 실려있다. 콘스탄쯔Konstanz 판의 자서전 부분의 번역 초안은 안알라요Analayo가 준비했다. 여러 교정자의 제안으로 부분적으로 수정된 이 번역은 결국 나에게 전달되었다. 독일어 번역본과 비교하며 많은 수정과 개선을 했다. 3부에서 나는 1926년 이후 냐나띨로까의 생애에 대한 설명인 EDB의 두 번째 부분에서 발견된 전기 자료의 일부를 추가로 번역하고 추가했으며, 이 자료는 그의 제자 및 그를 아는 다른 사람들의 기록 및 전기와 얽혀 있다. 나는 또한 독일에서 번역한 아이들릿쯔Eidlitz와 빌쯔Wirz의 작품과 같이, 헥커의 작품에서 발견되지 않은 다른 자료와 불교 리뷰와 같은 오래된 불교 저널에서 찾은 일부 공지 사항 등을 추가했다. 이 자료 중 일부는 알로이스 페이여Alois Payer 박사의 광범위한 신불교Neobuddhismus 웹사이트(www.payer.de/neobuddhismus)에서도 찾을 수 있다.
3부 전기에서는 냐나띨로까에 덜 초점을 맞춘다. 그 이유는 이 기간 동안 냐나띨로까의 삶이 그렇게 다사다난하지 않았기 때문이고 냐나띨로까 자신의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더 흥미롭게 만들고 냐나띨로까의 교육 노력의 중요성과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아이들릿쯔Eidlitz와 빌쯔Wirz의 설명과 냐나몰리Nanamoli와 같은 냐나띨로까의 후기 제자들의 간략한 전기로 보충되었다.
비구 보리가 저술한 나나포니카 스님의 전기가 부록으로 추가되었다. 냐나뽀니까와 냐나띨로까가 오랫동안 함께 지냈고, 냐나뽀니까가 냐나띨로까의 지정된 글자 그대로의 상속인이기 때문에 냐나뽀니까의 전기를 포함시킬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냐나뽀니까는 불교출판협회의 공동 창립자이자 오랫동안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영향력 있는 불교 작가이자 출판인이 되었다. 부록2는 냐나뽀니까와 관련된 서지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자서전 전체를 출판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막막했다. 하지만 냐나띨로까가 쓴 이야기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상의한 끝에 빼지 않기로 했다.
독일어로 된 원본 자서전은 1995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 몇 년 동안 도단두와Dodanduva의 섬 암자Island Hermitage에 보관되어 있었고, 1948년에 활자화되었다. 그 후 냐나띨로까가 이사한 캔디의 숲속 암자Forest Hermitage에 보관되었다. 그 텍스트는 얇은 항공 편지지에 쓰여 있었고 바퀴벌레가 가장자리를 먹어버렸기 때문에 여러 페이지, 특히 처음 두 페이지에서 일부 단어가 손실되었다. 1990년에 비구 보리가 원고를 헥커 박사Dr. Hecker에게 보냈고 헥커 박사는 철저하고 세심한 방법으로 수집한 방대한 양의 추가적인 전기 정보와 함께 그것을 출판했다.
헥커 박사가 받은 원고에는 3-4페이지 및 46페이지가 부족했다. Hecker 박사는 해당 페이지를 본 마이클 캐리터스Michael Carriters가 스리랑카의 숲속 승려들Forest Monks에서 부분적으로 영어 번역을 독일어로 다시 번역하여 이 두 페이지를 보충했다. 헥커는 각주에서 누락된 세 번째 내용을 간단히 추측했다. 처음 두 페이지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도피한 것을 포함하여 냐나띨로까의 청소년기의 일부를 설명한다. 세 번째 누락된 페이지는 1919년 중국에서 독일로의 송환에 대해 설명한다.
나는 2006년 숲속 암자 기록보관소에 들려 두 가지를 발견했다. 먼저 나는 1956년 냐나뽀니까가 만든 냐나띨로까 자서전의 일부 영어 번역본을 찾았다. 이것은 원고의 첫 번째 장의 일부일 뿐이다.
이 페이지들은 냐틸로카가 불교에 대한 강의를 들은 후 인도에 가기로 결심한 때까지, 즉 헥커 박사가 쓴 독일판 10페이지의 두 번째 줄까지를 다루고 있다. 그러다가 얼마 후 숲속 암자 기록 보관소에서 세 장의 너덜너덜한 종이를 발견했다. 그들은 원고의 누락 된 페이지로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을 이용하여 나는 영어 번역을 나나포니카 번역과 비교하고 미번역 구절을 영어로 번역했다. 1907년 냐나띨로까의 버마에서 보낸 시간에 대한 두 개의 짧은 일화는 냐나뽀니까의 번역에 대한 주석으로 첨부되어 있다. 이 책에도 편입되었다.
숲속 암자, 섬 암자, 함부르크 불교회 등의 기록보관소에 보존된 냐나띨로까와 그의 제자들의 사진이 추가되었다.
BPS를 대신하여 교정, 번역 지원, 조사, 사진 스캔 등 어떤 식으로든 이 출판을 가능하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편집자로서 저는 남아 있는 모든 오류와 함께 이 작업에 대한 최종 책임자이다.
냐나뚜시따 비구 Bhikkhu Nanatusi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