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법문 >
불교와 호랑이
글/ 성향스님
2022년 ‘임인년(壬寅年)’은 호랑이 해이다.
국토의 4분의 3이 산으로 이루어진 한국은 일찍부터 호랑이가 많이 서식하여‘호랑이의 나라’로 불렸다. 한민족 문명의 시작을 알리는 단군신화(檀君神話)는 곰과 호랑이로부터 시작한다. 또한 우리 민족은‘호랑이를 부리는 군자의 나라’의 사람들로 일컬어지고 해마다 호랑이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전해질 만큼 호랑이와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불교에서의 호랑이는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이 타고 다닌다. 문수보살이 중생에게 지혜를 전할 때 호랑이와 함께 나타난다. 불교에서 호랑이는 위엄과 용맹함·지혜를 수호하는 영물로 인식된다.
한국사찰의 전각 가운데 하나인 산신각(山神閣)은 호랑이와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산신이 탱화(幀畫)로 봉안되어 있다. 호랑이를 산신이거나 산신을 보좌하는 영물로 그려졌다. 선풍도골의 노인이 호랑이를 옆에 거느리고 소나무 아래 앉아 있는 모습의 산신도가 예이다. 이것은 한국불교가 우리민족의 신앙에 토착화된 것을 보여준다. 산신도 말고도 사찰 벽화에서 호랑이가 단독으로 그려진 그림을 종종 찾을 수 있다. 양산 통도사 명부전·부산 범어사 대웅전·파주 보광사 대웅전·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등 많은 사찰에는 정면을 응시하는 호랑이 모습이 그려져 있다. 또한 선가에서는 선지식이 말이나 글로 나타낼 수 없는 불교의 이치를 나타내 보이는 할(喝)을 호랑이의 포효에 빗댔다.
호랑이는 여러 경전에서 용맹성을 지닌 수호신으로 비유하고 있고 때로는 자비심을 가진 동물로 등장시키기도 한다.「비유경」에는 숲을 지키는 수호신에 비유된다.「금광명경」에는 호랑이의 자비가 설해져 있다.「중아함경」·「법화경」에도 여러 가지 다양하게 등장한다.
위풍당당한 호랑이의 모습과 기백은「삼국유사」로 부터「조선왕조실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헌 속에 나타나는데 우리민족의 자긍심으로 상징되어 역사 속에 면면히 살아 숨 쉬고 있다. 각종 민담 민화에도 단골로 등장며 우리 전통문화 속에 효와 보은의 수호자며 용맹함과 날렵함을 상징하고 절대적인 권위와 힘과 함께 포악 사나움 어리석음의 상징으로 보았다. 조선시대 민화와 같은 회화 속에서도 표범, 까치와 함께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위험한 맹수로 무서움의 상징이나 인간의 말을 알아듣는 영물, 의리를 아는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우리 민속에서 호랑이는 산신령 및 산군자(山君子)로 통하는 신앙의 대상이자 중국의 용, 인도의 코끼리처럼 한국을 대표하는 동물이다. 호랑이는 사악한 잡귀들을 물리치는 용맹스런 영물이며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예의바른 동물에 비유된다. 그래서 호랑이를 백수의 왕으로 불렀으며 중국에서는 호랑이를 북두칠성의 첫 번째 별로 보기도 했다. 또 조선시대 무관 관복의 흉배에 수놓아진 호랑이는 당시 관리들이 깔고 앉았던 호랑이 가죽과 함께 부귀와 권세를 상징했다.
또한 사람에게 해를 가져오는 화재·수재·풍재 등 삼재를 막아주고 병난·질병·기근 등 액난을 물리치게 하는 신비로운 힘을 지니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정초 집안에 호랑이 그림을 두면 삼재가 물러간다는 뜻에서‘호측삼재(虎逐三災)’라 하여 대문에 호랑이 그림을 붙여주거나 집안에 자수를 놓은 수예품을 걸어 두기도 하였다. 호랑이 입이 출입문 쪽으로 향하게 하여 걸어두면 모든 액운이 호랑이의 기세에 눌려 들어오지 못한다고 믿어온 우리 조상들의 강한 믿음이 신앙심으로 발전하여 산왕대신 또는 산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옛 부터 불교·유교·기독교·민간신앙 등을 비롯하여 샤머니즘까지 어우러져 함께 공존하는 독특한 종교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종교가 자신들의 고유한 영역을 가지며 서로 혼합을 이루는 현상을 습합(習合)이라 하고 이것을 종교혼합주의(Syncretism)라고 한다.
『예기』권3에‘천자가 악사에게 명하여 예악을 습합하라(乃命樂師習 合禮樂)’는 내용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습합을‘조절’·‘조화’의 의미로 썼다. 그러나 현재‘습합’이란 두 문화가 절충하여 서로 변모하고, 다른 문화를 만들어가는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결국 습합을 통해 외래문화와 전통문화가 만나서 새롭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철학이나 종교 등에서, 서로 다른 학설이나 교리 문화를 절충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고유 신앙이라 할 수 있는 민간신앙과 인도에서 발생하여 전해진 한국 불교에 다른 나라에 없는 칠성각과 산신각을 모시고 북두칠성과 산신(호랑이)이라는 민속신앙과 불교가 조화롭게 융화되어있다. 이와 같은 모습을 불교에서는 훈습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좋은 향을 배게 하면 그 향기가 스며들게 되는 것처럼 몸과 말 · 마음으로 노력하면 그것이 마음에 잔류하게 됨을 이르는 뜻으로 불법을 들어서 마음을 닦아 나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불교와 민간신앙의 융화된 시기를 대체적으로 삼국시대인 5-6세기 이후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원인은 이때부터 자연스럽게 외래문화를 받아들이고 한국적인 새로운 불교의 대중화가 싹트기 시작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산신각에서 보듯이 외래종교인 불교가 한국에 들어와 기존의 토속 신앙과 종교적 사상체계 더 나아가 당시 사람들과 조화롭게 상호 교류하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져 지금까지 훌륭하고 아름다운 한국불교와 문화가 될 수 있었다.
2022년 임인년 새해 우리 모두 사찰을 수호하는 산신각 호랑이처럼 불법을 수호하고 기도 수행하며 부처님 가르침 열심히 공부하고 실천하는 불자가 되면 좋겠다. 모두가 힘든 시절 호랑이처럼 자신 있게 포효하고, 지혜롭게 난국을 극복하며 뜻 깊은 한 해가 되길 기도 축원한다.
모두 성불하세요.
뉴저지 원적사 성향스님은 가야산 해인사, 조계산 송광사에서 행자 생활을 하고 영축산 통도사에서 수계를 받았습니다. 북한산 화계사 백상원에 지내며 동국대 학사ㆍ석사ㆍ박사 수료(논문:「한국불교 의식연구(韓國佛敎 儀式硏究)」, 동국대 대학원, 2011.) 하였고 문경 희양산 봉암사 태고선원 하안거 동안거 등 성만 했습니다.
현재 뉴저지 원적사 주지 소임을 맡고 있으며 지난2021년 11월14일 오전 11시, 기도, 불사, 포교, 수행을 위한 2차 천일관음성취기도를 입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