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미현불연재물

[미주현대불교 2024. 4월호] 현대 세계불교㉓ 실론의 신 불교학파

작성자파란연꽃|작성시간24.06.24|조회수13 목록 댓글 0

 

시방세계 Ⅰ

현대 세계불교㉓
실론의 신 불교학파

섬 암자와 숲 속 암자 불교학파’와 내 수행에의 영향
語文史哲의 균형에다 어학에 비중을 둔

 

 

 

 

 

글 이치란 박사 (원응 보검)

세계불교네트워크 코리아 대표
아시아불교평화회의(ABCP 본부 몽골) 한국회장
국제불교연맹 이사(IBC 본부 인도)
동방불교대학 전 총장
한국불교신문 전 주필
현: 해동불교대학장 / 강원불교대학장
(사) 종정협 부설 / 국제불교전법대학 총장
WFB 태국본부 전 집행이사 / 일붕신문 상임논설위원
매일종교신문 기고가 / 땅끝 어룡도 해수관세음보살 도량 당제산 여의암 회주
다나TV 영어경전 강의 / 세계불교 TV에서 ‘세계불교를 가다’ 소개

(http://www.haedongacademy.org)

 

 

 

부처님 치아사리가 봉안된 캔디 불치사 전경 / 신 불교학파의 리더, 비구 보디

 

유태계였지만, 불교에 매력을 느끼고 불교에 귀의한 냐나포니카 비구는 냐나티로카 장로비구의 뒤를 이어서 실론에서 신 불교학파의 수장으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그에게 닥친 시련은 너무나 가혹했다. 냐나포니카 비구는 섬 암자에서 수행을 한 지 얼마가지 않아서 냐나티로카 장로와 함께 독일국적이라는 이유로 1939년부터 브리티시에 의해서 수용소 생활을 하게 되는데, 수용소에서도 그는 《숫따 니빠따(the Sutta Nipata 經集)》를 독일어로 번역하였고, 《아미담마삐따카(Abhidhamma Pitaka 論藏)》의 첫째권인《담마상가니 (Dhammasangani法集论》를 번역하고 《싸띠빠따나 명상(Satipatthana Meditation 사념처》을 완성했다. 인도 북부의 데라둔 교도소에 수감되었던 비(非) 브리티시 비구들은 1946년 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석방되어 실론의 섬 암자로 귀환하게 되는데, 그의 스승인 냐나티로카 대장로에게 어떤 신심 깊은 불자가 캔디 근처에 있는 숲 지역 땅을 보시하게 된다. 그래서 이들에게 제2라운드인 숲 속 암자 시대가 전개된다. 이들 비구들에게도 나이가 들어가자 덥고 숨 막히는 섬의 기후가 어려웠던 모양이다. 캔디의 숲 속 암자는 시원한 지역이다.

 

1952년 냐나티로카 대장로와 냐나포니카 장로는 버마 정부로부터 1954년에 개최하게 될 제 6차 경전 결집회의(the Sixth Buddhist Council)에 참가하도록 초청을 받았다. 냐나티로카 대장로와 냐나포니카 장로는 1954년 제6차 경전결집대회 개회식에 참가하여 냐나티로카 대장로는 축하 메시지를 낭독하였다. 냐나티로카 대장로는 이후 실론으로 귀환하고, 냐 나 포 니 카 장 로 는 마 하 시 사 야 도 (Mahasi Sayadaw)장로 문하에서 명상 수업을 받고 1956년 제6차 경전결집대회 폐회식에서 냐나티로카 대장로의 축하 메시지를 대독했다. 냐나포니카 장로는 명상 경험을 하고 난 다음, 그의 마스터 피스인《불교명상의 핵심》을 저술하게 될 동기가 부여된다.

 

1957년 냐나티로카 대장로는 연로한 관계로 건강이 악화되어서 입적하게 되고 수많은 국민들과 당시 반다라이케Bandaranaike) 수상과 정부의 요인들이 참가한 가운데 스리랑카 국장(國葬)으로 다비식을 치룰 정도로 냐나티로카 대장로는 국민적 존경을 받은 고승이었다. 냐나포니카 장로는 그의 스승인 냐나티로카 대장로가 입적한지 6개월 후에, 스리랑카의 명사들과 함께 1958년 1월 그 유명한 〈불교출판협회(Buddhist Publication Society, BPS)〉를 창립하였다.
불교출판협회는 전 세계 3천여 회원들에게 불교 문헌을 공급하고 있는데, 영어와 신할라어로 저술된 책들은,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 체코어, 힌디어와 중국어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창립회장은 냐나포니카 장로(Nyanaponika Thera, 재직기간1958-1988), 2대 회장은 비구 보디 Bhikkhu Bodhi, 재직기간1988-2010)스님이었고, 3대 회장은 프리마시리 교수(Prof. P.D. Premasiri, 2011-현재)가 맡고 있다. 냐나포니카 대장로는 남은 여생을 불교출판에 쏟았다. 그는 소책자 형태인 200여권의 바퀴(Wheel, 법륜)와 100권의 각엽(보리수 잎 Bodhi Leaves)에 많은 글을 남겼다. 1984년 불교출판협회의 편집책임자를 사임하고 1988년에는 회장직을 그만두고 명예회장으로 남았다. 그의 명성은 널리 알려졌으며, 빨리 불교대학교와 페라데니야 대학교에서 명박을 받고 아마라뿌라 종단으로부터 대종사 품계를 받았다.

 

1994년 7월 그의 제자와 도반들에 의해서 발간된 그의 전집이 봉증되고, 그해 10월19일 파란만장한 비구로서의 일생을 마감하고 입적에 들었다. 그의 대표작은 《아비담마 연구》, 《의식과 시간의 탐구》, 《부처님의 위대한 제자들》, 《불교명상의 핵심》, 《불법의 비전》을 저술하고 비구 보디와 공저로 《증지부》를 저술했다. 비구 보디는 냐나포니카 대장로의 후임으로 불교출판협회의 편집책임자와 회장직을 이어 받아서 2010년까지 그 직을 수행했다. 비구 보디(Bhikkhu Bodhi, 1944-)스님은 유태계 미국인으로 브루클린에서 태어났고, 1972년 클레어몬트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1967년 학생 때부터 미국의 월남 절에서 행자 생활을 하고, 1972년 스리랑카로 건너가서 비구계를 받고 상좌부 스님이 되어 수행과 경전연구를 하였다.
1984년에는 냐나포니카 대장로 후임으로 불교출판협회 편집책임자와 회장직을 맡아서 2010년까지 봉직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2002년부터 미국으로 옮겨가 보디 사원을 창건하여 현재까지 저술과 명상수행을 하면서 미국인들을 지도하고 있다.

 

 

필자와 함께 아시아불교평화회의에 참석한 스리랑카 출신의 위말라사라 비구(가운데). 오른쪽은 인도 부통령 자그딥 단카르.

 

비구 보디스님은 대학승으로서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저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중아함경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증지부 Numerical Discourses of the Buddha: An Anthology of Suttas from the Anguttara Nikaya(with Nyanaponika Thera, 2000, Altamira Press)》
《상응부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aya(2000, Wisdom Publications)》《증일아함경 The Numerical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Anguttara Nikaya (2012, Wisdom Publications)》《아비담마 입문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The Abhidhammattha Sangaha of ṣcariya Anuruddha (2000, BPS Pariyatti)》《빨리어 코스 A course in Pali Language (2003)》《중아함경 강의Majjhima Nikaya lectures (2003–2008)》등이다.
실론불교역사에서 이들 섬 암자에 이은 숲속 암자 불교학파는 큰 족적을 남기고 있다. 이 들 불교학파비구들의 저작은 영어권은 물론 타 유럽어로 번역되어 많은 영향을 끼쳤다. 물론 실론 자체 내에 신할라어로 저작된 저술이 많겠지만, 상좌부의 핵심 경전이나 주요 논전들을 영어나 독일어로 번역하여 세상에 내 놓은 것은, 전 세계의 많은 독자들로 하여금 상좌부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우리가 상좌부의 종가라고 할 수 있는 신할라어에 대한 구사능력이 없는 한, 영어 저작을 통해서 접근할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이 분들의 저술은 실로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그 분들의 공로가 지대하다고 하겠다.

 

나는 이분들을 섬 암자와 숲 속 암자 불교학파라고 부르고 싶다. 이 분들의 특징은 철저하게 상좌부 비구로서의 율장을 지키면서 수행과 학문을 병행했다는 점이다. 관념적이거나 너무 철학적인 내면의 심학(心學)에 기울여지지 않고, 인문학의 본령인 어문사철(語文史哲)의 균형을 이루면서 특히 어학(語學)에 비중을 크게 뒀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들 불교학파에게는 빨리어가 기본이다. 그리고 산쓰크리트어와 신할라어이다. 아시아의 전통적인 학문 연구 방법론보다는 유럽이나 미국의 근현대학문 방법론에 의했다는 점에서, 근현대불교학의 금자탑을 이뤘다고 할 것이다. 불교사에서 역경자들의 역할과 공로는 너무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중국의 경우에서도 이런 논리는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불교가 인도에서 서역을 거쳐 중국에 전해질 때, 서역이나 중앙아시아 인도 출신 역경승(譯經僧)들의 역할은 너무나 컸던 것이다. 한국불교는 중국어로 된 한문 경전을 접하게 되었는데, 한문을 모르면 불교경전의 진수 파악이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 한국의 역대 대다수의 스님들은 한문습득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대승경전을 접하기 위해서는 한문이라는 관문을 통과해야하고, 불교학연구 측면에서는 일본의 근대불교학 방법론에 입각하여 일본 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크게 의존해 온 것이 실상이다. 이에 반해서 상좌부 삼장에 대한 접근은 참으로 어려운 상항이었다. 이런 차원에서 실론의 불교학파의 저작들은 영어해독이 가능한 일부 극히 소수의 한국인들에게는 필수 통로였다. 그 가운데 나 같은 사람도 그 대열에 합류했다는 데에 자부심을 갖는다. 그것도 가장 초기에 접했다는 데에 긍지를 갖고 있다.
지나간 이야기지만, 실론의 불교학파들의 저작을 접하고, 또 실론 출신이나 영국 유럽 출신 학자들의 실론 불교나 상좌부 전반에 대한 저술을 접하면서, 당시 30대 초반인 나로서는 영어가 너무나 크게 다가왔다. 빨리어나 산스크리트어 보다 영어가 우선이었음을 절감했다. 영어가 능통해야 이런 저술에 접근하고 사전류의 참고서를 활용할 수 있었다.
결국 영국에서 5년간 유학을 하면서 영어에 몰입, 심화시켜서 영어로 인문학기초를 세우고 어느 정도 능통한 영어 실력을 쌓았던 것이 두고두고 자산이 되었다. 나의 상좌부 연수나 체험은 이렇게 영어를 통해서 인식할 수밖에 없었고, 이 과정에서 실론의 불교학파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았고, 지금도 이 분들에 대한 존경은 변함이 없다. 내가 실론에서 영향을 받은 것은 비단 외국인 출신들로 구성된 불교학파 뿐만이 아니다. 실론 출신 불교 운동가와 학승과 학자들로부터 받은 영향 또한 막대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불교학 연구에 있어서, 상좌부는 영어를 통한 빨리어 원전을 접하는 것이 지름길이다. 상좌부의 경전어(經典語)는 빨리어이다. 대승경전은 산스크리트어가 경전어지만, 한문 또한 경전어이다. 티베트 불교는 티베트어가 경전어이다. 한국인으로서 불교학을 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한문 일어 영어(불어)의 기본에다가 빨리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를 해야, 불교학자로서의 소양을 갖춘다고 보기 때문이다. 과연 이 조건에 부합하는 학자가 몇 명이나 되는지 모르겠다. 아마추어 세미(半)불교학 연구자인 나 같은 사람들에게는 실론의 불교학파는 참으로 본 받아야할 모델들이고, 서구의 근현대 학문 방법론에 의한 이분들의 저서를 통해서 체계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