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조주택의 공간별 Key Point

작성자도담채주택|작성시간16.12.28|조회수99 목록 댓글 0

 주택의 공간별 특성은 그 지역의 자연조건이나 생활습성에 따라 차이가 많다.

따라서 한국인의 주거에 대한 의식 구조나 입지적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의 주거용 주택은 목구조였고, 온돌방, 대청마루, 마당공간, 기와 지붕선, 창호지 문 등 자연과의 합일의

개념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개방화에 따른서구의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주택이 우리생활에 들어오면서 주택에 대한 공간별 특성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특히 아파트의 구조가 합리성과 편리성을 전제로 보급되었다면 단독주택의 다양성을 어떻게 접목시킬것인가가

우리의 과제라고 본다.

 

평면구성

 

주택의 평면구성은 대지의 조건 주택의 규모 및 동선 계획에 의해 결정되는데 기본형으로 매스형, L형, T형, U형 등이 있다 평면계획에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점은 평면이나 지붕 형태를 지나치게 변화를 주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같은 면적의 주택이라면 네 모서리를 갖는 사각형 평면이 가장 경제적이고 모서리가 늘어날수록 공사비는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형태는 단순구조로 하고 현관, 포치, 차고, 발코니 등의 부가적 요소를 첨가시키면 형태의 변화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지붕구성

 

목구조주택의 지붕형태는 경사지붕이 주종을 이루는데, 그 이유는 다양한 지붕형태를 만들 수 있고 누수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경사지붕의 종류로는 박공 지붕, 모임 지붕 및 한방향 경사지붕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

경사지붕에서는 경사지붕 속을 다락방으로 활용하거나 실내천장을 경사 천장으로 계획하여 공간의 변화를 줄수도 있다.

지붕의 경사각은 보통 30도 이하를 낮은 경사지붕, 30∼45도를 표준 경사지붕, 그리고 45도 이상을 높은 경사지붕으로 분류하는데, 그 배가 1:3 이상이 되어야 누수방지가가능하다.

 

지붕의 마감재로는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슁글과 기와가 있고 목재 슁글이나 금속제품 등이 고급 주택에서 사응되고 있다. 지붕 속의 환기를 위한 구조는 단열효과에 도움이 되므로 필히 설치토록 한다. 우리 기후조건으로는 지붕의 처마를 가능한 길게함으로써 비틀어짐이나 직사광선의 차단효과를 얻을수 있다.

 

외벽 마감재

 

목재널(Wood Siding)이 가장오래된 목구조주택의 외벽재로 사용되며, 적삼목 사이딩이 가장 좋은 제품이다. 최근에는 합성목제품이나 합판 및 보드류의 사이딩 제품이 개발되어 있어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이딩의 크기는 폭 6인치와 5인치를 주로 사용하고 수평 붙임과 수직 붙임이 있다. 목재 사이딩 이외의 목재 외벽재로 우드 쉐이크(Wood Siding)가 있는데 이는 자연의 맛이 더 있다 .목재널에는 오일스테인 칠을 하여 목재를 보호하도록 하고 건축주의 개성과 주변 주택과의 조화를 감안하여 페인트 색을선정하도록한다.

특히 지붕색과 조화를 감안하여 페인트 색을 선정하도록 한다. 그 외의 외벽 마감재로는 알미늄이나 비닐 제품의 사이딩이 있으며 이것은 유지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벽돌이나 벽돌 타일을 외벽재로 사용하면 집 분위기가 중후한 멋이나고 스타코 마감은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주택형태에 따라 벽난로 굴뚝, 현관포치 혹은 저층부 외벽 등에 벽돌이나 돌을 부분적으로 섞어 쓰면 색다른 입면의 변화를줄 수 있을것이다.

 

창문 · 문

창의 기능은 주택 실내에서의 채광. 환기 그리고 조망이다. 따라서 이런 기능을 충족시기기 위해서는 창의 개폐가 원활하여야 하고 기밀성이 높아야 한다.

목구조주택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 창은 기능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미관이 수려한 장점을 갖고 있다.

창틀에 유리까지 끼워있고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후레싱까지 부착되어 있어 창틀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종류로는 미서기창(Sliding)와 오르내리창(Double or Single Hung) 및 여닫이 창이 주로 사용 되고 있고 피봇창(Plvot) , 호퍼창(Hopper), 고정창(Flxed), 루바(Louver) 등이 있다.

 

목구조주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창은 목재창인데 실내에서의 목재 질감을 느낄 수 있어서 좋다. 실용성을 생각하면 비닐창이 경제적이다. 창의 역할이 물리적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 이외에도 주택 외관 계획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창의 모양, 형태의 조합 및 창 주위 몰딩, 격차특. 덛창 등의 디테일까지 세심한 고려가 필요 하다. 장틀의 색상은 일반적으로 백색이 많이 사용되며 커튼이나 브라인드의 색상과 조화가 되도록 하여야한다.

 

주택의 고급스러움은 창문에서 좌우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택의 주현관 문은 주택의 첫 인상을 좌우하기 때문에 고급 제품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현관문의 재질은 목재문, 화이버문, 철문 등이 있고 현관문 양편에 옆창(Sidelite)을 설치하거나 비나 직사광선을 차단 시켜주는 포치를 설치하면 현관의 고급화와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관문의 기능중 장금장치와 기밀성이 중요하며 현관문의 개폐방향은 우리의 습성에 맞는 밖으로 열리는(Out Swing) 것이 좋다.

 

데크

우리의 전통주택에서도 내외부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중간 공간으로서 대청마루, 툇마루, 평상 등이 있는데 현대의 주택에서는 데크가 그기능을 대신 한다고 볼 수 있다.

거실이나 식당 혹은 가족실의 외부 공간에 데크를 설지함으로써 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생활공간으로 활용하는 예이다.

특히 지붕이 있는 데크나 포치의 설치는 주택의 형태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방충망까지 설치하면 밤에도 데크 공간을 생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데크는 방부처리된 목재를사용 하는데 건물 본채와 분리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전하다. 벤치, 화분대, 바베큐 시설 등을 데크와 연결해서 계획하도록한다 .

 

거실

생활공간의 중심인 거실은 식당공간과 연결해서 넓게 사용하기 원하는 추세이다.또 1.2층을 한 공간으로 해서 층간 유대감을 높이고 실내공간의 변화를 주려고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더운 공기가 2층 상부에 모이므로 난방 균형을 잡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거실의 바닥은 온돌마루를 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온돌공사는 습식과 건식 2가지 방법이 모두 가능하나 가급적이면 건식 난방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목구조주택이란 집전체가 구조에서 마감까지 건식공법이기 때문이다.

온돌 마루재의 선정은 고가품이므로 하자에 대한 면도 고려하여 신중히 선정하여야 한다. 거실 천장마감은 페인트 마감과 목재 마감이 주종을 이루는데 목재널을 붙일수도 있고 구조보를 노출할 수도 있다. 기등-보 구조 는 실내에서 기등-보를 노출함므로써 목구조의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보여준다.

 

식당 · 주방

식당은 주방과 더불어 가족의 중심 공간이 된다. 따라서 독립된 정원을 바라보는 위치에 데크와 연결해서 식당을 위치하도록 한다.

주방은 주부의 주활동 공간으로 대형화,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주방의 위치는 식당과의 연계성이 좋아야 하며 우리나라 음식의 냄새를 고려하면 너무 개방형으로 하는 것도 문제가있다.

따라서 주방 환기시설에 각별한 고려가 있어야 하며 주방상부에 천장등을 설치하면 환기에 매우효과적이다. 주방상판의 높이는 한국인 체형을 감안하여 85~90cm가 적정하며 미국제품을 주문할때는 높이 확인이 필요하다.

주방의 캐비넷 및 수납공간도 우리의 식생활에 맞게 계획하되 다용도실을 활용하여 세탁 및 수납기능을 하도록 한다. 다용도실의 환경을 청결하게 하기 위해서는 바닦에 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청소용 씽크, 수납장, 작업대 등의 시설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도록한다.다용도실의 난방은 식품보관등을 고려해서 최소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침실

침실의 주기능은 수면 휴식 등을 위한 정적인 공간으로 프라이버시가 필요하다. 한국의 침실은 좌식 생활과 입식 생활이 병행함으로 온들 및 도배를 선호한다. 안방(주인용 침실)은 거실과 같은 1층에 있기를 원하고, 2층에는 아이들방 및 손님방이 위치한다.

따라서 1층 방에서의 창 높이는 바닦에 앉아서 마당을 바라볼 수 있도록 50cm정도로 낮추는 것이 비람직하다. 침실 출입문은 Flush 문(Flush Door)을 사용하는데 문턱이 없어야 사용에 편리하다. 침실의 수납공간은 붙박이장이나 별도의 옷장실을 두어서 실내공간을 최대로 활용하고 침실공간을 적당한 크기로 줄이고 거실, 식당 등 생활공간을 크게 계획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욕실

아파트의 욕실 바닥은 습기가 항상 있어서 쾌적한 환경이 되지 못했다.

하지만 목구조주택의 욕실은 욕조나 샤워 등 물을 사용하는 곳은 유리문 등으로 구획하고 그 외는 건식으로 하여 욕실도 휴식공간의 개념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환기시설을 완벽하게 하고 별도 히팅 설비를 하고 세면대 하부장은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고 벽에는 매립형 수납장을 설치할 수도 있다.

안방 욕실은 보다 화려하게 꾸미기 위해서는 외부창이나 천창을 이용한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면 효과적이다.

 

계단

계단은 주택의 내부에서 중요한 장식요소가 되는데 계단의 형태와 재질이 중요하다. 직선계단은 공간을 최소로 차지하고 원형계단은 형태미가 좋은 반면 기능상 불편함이 있고, 꺽인 계단은 안정감이 있다. 목재 계단은 오크와 햄륵(Hemlock)을 주로 사용하는데 공장에서 가공된 완제품을 사용하면 품질도 보증되고 경제적이다. 카다로그에 의한 다양한 디자인 중에서 취향에 맞는 것을선택할때 마감을 위한 세부자재가 누락되지 않도록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벽난로

벽난로는 보조난방의 기능과 실내장식의 효과가있다.

현장에서 만드는 방법이 있으나 요즘은 기성품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벽난로 주변의 마감은 금속. 대리석, 벽돌 등을 주로 사용한다.

벽난로의 위치는 주로 거실이나가족실에 있으나 식당, 인방 혹은 욕실 등에도 설치할수 있다. 벽난로는사용연료에 따라 나무전용, 가스와 나무겸용, 가스전용으로 구분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