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장엄정토//(정토학)

[스크랩] 『憨山大師 淨土法門(감산대사 정토법문 )』 제 1 법문 선(禪)과 정토(淨土) - [ 2 ]

작성자자비심|작성시간18.12.12|조회수12 목록 댓글 0

    
    
        제 1 법문 선(禪)과 정토(淨土) (대각 연화회 법문) [ 2 ] 부처란 깨달은 사람을 말한다. 모든 중생이 똑같은 불성을 갖고 있으므로 누구나 다 깨달음을 이룰 수 있다. 불성을 깨닫지 못한 사람이 중생이고, 불성을 깨달은 사람을 부처라 부른다. 우리가 부처님의 이름을 부를 때, 아미타 부처님이 우리의 자성(自性)이고, 정토는 우리의 마음이다. 누구라도 생각생각 일심으로 부처님의 이름을 부르며 깊이깊이 집중할 수 있다면, 아미타 부처님이 항상 그의 마음속에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아미타 부처님을 십만억 불토 밖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마음이 청정하면, 국토가 청정하다. 만일 마음이 청정하지 않으면 국토가 청정하지 않다. 만일 사악한 생각이 마음에 오면, 온갖 장애(障碍)가 나타난다. 만일 착한 생각이 떠오르면, 모든 곳에 평화가 있다. 그러므로, 천국과 지옥은 모두 마음속에 있다. 모든 선남자 선여인 들은 자신의 장래와 생사의 큰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시간은 빠르게 흐르고, 한번 사람의 몸을 잃으면 만겁이 지나도 다시 얻을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베틀 위의 베 짜는 사람의 손가락처럼 해와 달이 창공을 빨리 움직이는 것과 같다. 시간은 여러분을 기다리지 않는다. 만일 사람 몸을 잃으면, (오랫동안)그것을 되 얻을 수 없다. 마지막 순간이 오면, 후회하기에는 너무 늦다. 모든 것들이 여러분에게 아무 소용없다. 따라서 여러분 모두는 이 불행한 상황을 면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경에 이르기를 보통 사람이나, 현명한 사람 그리고 성스러운 사람들이 모두 똑 같다고 한다. (이들의 불성에는)차이가 없다. 오직 마음의 청정하느냐 않느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마음과 부처 그리고 중생이 서로 다르지 않다.”라고 한다. 청정한 마음이 부처이고, 청정하지 않은 마음이 중생이다. 부처와 중생은 오직 (바르거나 미혹한)마음들이 일어나느냐 안 나느냐 에서 차이가 난다. 마음은 본래 깨끗하고 순수하나, 탐욕, 진애, 어리석음, 오만, 다섯 가지 욕망과 여러 가지 미혹으로 오염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오염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을 중생이라 부른다. 만일 이러한 마음의 때들이 씻겨지고, 마음이 청정해진다면 이를 부처라 한다. 다른 사람들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모든 중생들은 무시겁(無始劫) 이래로 무거운 악업을 지어 왔으므로 오염된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 오염된 마음을 청정하게 하기 위 하여는 대부분 화두 참구나 일심염불 등의 수행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여러분들이 많은 수행법들을 보지만, 이들은 모두 마음의 병들을 고치기 위한 약방문이다. 예로서, 거울이 본래 밝지만, 만일 먼지로 덮여 있으면 아무 것도 비추지 못한다. 그것을 깨끗하게 하자면 세제(洗劑)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 세제가 비록 다른 먼지를 씻어내어도, 역시 일종의 또 하나의 먼지에 불과하다. 거울이 한번 밝아지면, 다시는 다른 세제가 필요 없게 된다. 이것은 마치 흙, 모래 가루와 돌 맹이로 더렵혀진 금광과 같다. 그것이 일단 제련되어 순수한 금이 나타나면, 더 이상 제련할 필요가 없다. 중생의 특성인 오염된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열심히만 수행하면 이일을 이룰 수 있다. 이일이 성취되면 밝고 청정한 마음이 나타난다. 이런 까닭에 모든 중생이 본래 부처라 한다. 오염된 마음으로 가득 찬 사람을 부처라 부르는 것은 옳지 않다. 선 수행과 화두 참구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중요한 방법 들이나, 불행이도 오늘 날 참으로 열심히 수행하는 사람들은 매우 드물다. 그 이유는 그들의 선근이 얕고, 수행에 집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나, 그들을 지도할 훌륭한 스승을 만나지 못 하면, 쉽게 바른 길에서 벗어나게 된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가장 행복한 공부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