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기도 및 불공 안내

108참회 대발원문

작성자자비심|작성시간12.04.13|조회수40 목록 댓글 0

108참회 발원문

 

예불문

 

[다 게 (茶偈)] *아침 예부시 독송*

아금청정수 변위감로다 봉헌삼보전 원수애납수 원수애납수 원수자비애납수

 

[오분향례 (五分香禮)] *저녁예불시 독송*

계향 정향 혜향 혜탈향 해탈지견향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불법승

 

헌향진언(獻香眞言)

『옴 바아라 도비야 훔』(3번)

 

[칠정례(七頂禮)]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제대아라한 무량자비 성중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 제중생 자타일시 성불도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 오온 개공도 일체 고액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공중 무색 무 수상행식 무 안이비설신의 무 색성향미촉법 무 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 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보리살타의 반야바라밀다 고심 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 전도몽상 구경열반 삼세제불의 반야바라밀다 고득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고지 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아제아제바라아제바라승아제모지사바하](세번)

 

                               나를 깨우는 백팔배

 

          시방삼세 제불보살님과 역대 조사님들께 지극한 마음으로

                     이몸 다 던져 참회하고발원합니다.

 

                  지난세월 지은 공덕이 적어 부처님, 참된 진리 등지고

                               살아 왔음을 참회합니다.

 

          작은 인연이지만 오늘부터 크게 키워 참된 불자가 되고자 발심하여

 

               불. 법. 승. 삼보에 귀의하오며 정성으로 절을 올립니다.

 

1.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 합니다.

부처님 이외의 어떠한 외도에도 귀의하지 않겠습니다.

2.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 그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부처님 제자 이외의 어떠한 외도의 제자에게도 귀의하지 않겠습니다.

4. 제가 이제 발심하여 예배하옴은, 제 스스로 복 얻거나 천상에 나며, 성무 연각 보살지위 구함 아니요 다만 오직 최상승을 의지하옵고, 위가 없는 보리심을 냄이오이다. 원하오니 시방세계 모든 중생이 함께 같이 무상보리 얻어 지이다.

5. 자성 상에 탐욕 일으킨 것을  제가 이제 모두 참회합니다.

6. 자성 상에 성냄 일으킨 것을 제가 이제모두 참회합니다.

7. 자성 상에 어리석음 일으킨 것을 제가 이제모두 참회합니다.

   까마득한 옛적부처 내가 지은 모든 악업

   크고 작은 모든 것이 탐진치로 생기었고

   몸과 입과 뜻을 따라 무명으로 지었기에

   제가 이제 진심으로 참회하며 비옵니다.


8. 살생하온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방생하겠습니다.

9.도둑질한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보시하겠습니다.

10. 삿된 음행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청정한 행을 닦겠습니다.

11. 거짓말한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진실하게 말하겠습니다.

12. 꾸밈 말한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있는 그대로 말하겠습니다.

13. 이간질한 무거운 죄 지금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화합하게 말하겠습니다.

14. 나쁜 말한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온화하게 말하겠습니다.

15. 탐착하온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베푸는 마음을 갖겠습니다.

16. 성질내온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너그러운 마음을 갖겠습니다.

17. 어리석은 무거운 죄 지금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는 낮추는 마음을 갖겠습니다.   

18. 백겁 동안 쌓인 죄업 한 생각에 사라져서 마른 풀잎 타버리듯 흔적조차 없어지네.

19. 죄업에는 자성 없어 마음 따라 일어나니 마음 만약 멸한다면 죄업 또한 사라지네. 죄업 없고 마음 멸해 둘이 함께 공해지니 이것이 곧 이름 하여 진정하온 참회라네.

20. 참회하여 비운 심신 발원으로 채우나니 거룩하신 불보살님 중명하여 부옵소서.

21. 삼악도를 길이여의겠습니다.

22. 탐진치를 속히 끊겠습니다.

23. 불법승을 항상 듣겠습니다.

24. 계정혜를 힘껏 닦겠습니다.

25. 부처님법 항상 따르겠습니다.

26. 보리심을 물러서지 않겠습니다.

27. 안양국에 반드시 태어나겠습니다.

28. 아미타불 속히 만나보겠습니다.

29. 나툰 몸을 티끌 국토에 두루 펴겠습니다.

30. 모든 중생 널리 제도하겠습니다.

31. 모든 부처님께 예경하겠습니다.

32. 여래를 찬탄하겠습니다.

33. 공양을 널리 닦겠습니다.

34. 업장을 참회하겠습니다.

35. 공덕을 함께 기뻐하겠습니다.

36. 법륜 굴리시기를 청하겠습니다.

37. 부처님께서 항상 세상에 머무시기를 청하겠습니다.

38. 항상 부처님을 따라 배우겠습니다.

39. 항상 중생을 수순하겠습니다.

40. 모두 회향하겠습니다.


4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42.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세상살이에 곤란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겠습니다. 

43. 공부하는 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마음에 장애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겠습니다.

44. 수행하는 데 마장 없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45. 일을 도모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일이 쉬게 되면 뜻을 경솔한 데 두게 되나니, 어려움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겠습니다.

46. 친구를 사귀되 이롭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재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되나니, 순결로써 사귐을 길게 하겠습니다.

47. 남 이내 뜻대로 순종해주기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지나니,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서 울타리를 삼겠습니다.

48. 덕을 베풀면서 과보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뜻을 가지게 되나니, 덕 베푼 것을 헌신짝처럼 버리겠습니다.

49. 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않겠습니다.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기나니,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되겠습니다.

50. 억울함을 당해서 밝히려 하지 않겠습니다.

억울함을 밝히면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되나니,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써 수행의 문을 삼겠습니다. 


51. 나는 내가 창조합니다. 지금 이 모습도 나의 작품일 뿐!

52.이 시기에 이 나라에 살아가는 것도 내 작품입니다.

53. 좋은 부모 만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54. 어려운 가정 만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55. 내가 잘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56. 재가 못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57. 훌륭한 배우자 만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58. 신통찮은  배우자만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59. 효성스런 자식 만난 것도 재 작품입니다.

60. 사고무치 아이 만난 것도 내 작품입니다.

61. 감사합니다. 행복하겠습니다.

62. 무조건 감사합니다. 그냥 행복하겠습니다.

63. 바로 지금 행복하겠습니다.

64. 여기에서 행복하겠습니다.

65. 이대로 행복하겠습니다.

66. 나는 나인 것이 좋습니다.

67. 부처님께 감사드립니다.

68. 가족에게 감사드립니다.

69. 주위 인연에 감사드립니다.

70. 저 스스로에게 감사드립니다.


71. 과거는 이미 지나 갔습니다. 지나간 과거에 집착하지 않겠습니다.

72. 미래는 아직 오지 않습니다.

73. 현재는 잠시도 머무르지 않습니다. 현재에 머무러지 않겠습니다.

74. 가장 중요한 시간은 바로 지금 뿐입니다.

75. 가장 확실한 공간은 여기뿐입니다.

76. 부처의 행, 그것은 머무러지 않는 삶이며, 바로 기금 여기에서 더불어 행동하는 삶입니다. 

77. 바로 지금 여기에서 참회할 뿐!

78. 바로지금 여기에서 발원할 뿐!

79. 바로 지금 여기에서 기도할 뿐!

80. 바로 지금 여기에서 참선할 뿐!

81. 바로 지금여기에서 행복할 뿐!

82. 바로 지금 여기에서 밥 먹을 뿐!

83. 바로 지금 여기에서 옷 입을 뿐!

84. 바로 지금 여기에서 잠잘 뿐!

85. 바로 지금 여기에서 말할 뿐!

86. 바로 지금 여기에서 들을 뿐!

87. 바로 지금 여기에서 일할 뿐!

88. 바로 지금 여기에서 살아갈 뿐!

89. 바로 지금 여기에서 죽을 뿐!


90. 남의 허물이 보이면 그게 곧 내 허물인 줄 알겠습니다.

91. 모든 사람을 부처님으로 보겠습니다.

92. 남을 대할 때는 주는 마음으로 대하겠습니다.

93. 올라오는 마음을 부처님께 맡겨버리겠습니다.

94. 마음이 먼저요, 현실이 나중입니다.

95. 몸속에 마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 몸이 있습니다.

96. 마음속에 성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성품 속에 마음이 있습니다.

97. 부처님의 행을 하겠습니다.


98.  모든 세계 이와 같은 제불 세존은 , 어느 때나 중생들과 함께 하시니 저희들을 이제 다시 살펴주소서.

저희들의 지난날을 생각하오면, 이생에서 저생으로 그 먼 생을, 시작 없는 옛적부터 내려오면서, 가지가지 지은 죄가 한량없으니, 제 스스로 혼자서 짓기도 하고, 다른 이를 시켜서 짓게도 하며, 남이 하는 나쁜 짓 좋아하였고, 탑전이나 삼보도량 갖춘 물건도, 승물이나 사방 승불 가림이 없이, 제 것 인양 함부로 갖기도 하고, 다른 이를 시켜서 훔치었으며, 상주물건 훔치기를 좋아하였고, 무간지옥 떨어질 오역중죄도제 스스로 혼자서 직기도하고, 다른 이를 시켜서 짓게도 하며, 남이 짓는 오역죄 좋아하였고, 삼악도에 떨어질 십악죄행도, 제 스스로 혼자서 짓고도 하고, 다른 이를 시켜서 짓게도 하며, 남이 짓는 십불선을 좋아했으니, 이와 같은 모든 죄가 태산 갔으되, 어떤 것은 지금에도 생각에 남고, 어떤 것은 아득하여 알 수 없으나, 알든 말든 지은 죄에 오는 과보는 지옥 아귀 축생도나 다른  악취나, 불법 없는 변방지역 떨어지니, 제가 이제 지성 다해 부처님 전에 이와 같은 모든 죄장 참회합니다. 


99. 이 자리를 함께 하신 제불 세존은, 저희들의 온갖 일을 다 아시오니, 대자대비 베푸시어 살펴주소서.

제가 다시 제불 전에 아뢰옵니다. 저희들의 지나온 모든 생 중에, 보시 공덕 지었거나 정계를 갖되, 축생에게 먹이 한 입 준 일로부터, 청정범행 닦고 익힌 정행 공덕과, 중생들을 성취시킨 선근공덕도, 무상보리 수행하온 수행 공덕과, 위없는 큰 지혜의 모든 공덕도, 일체를 함께 모아 요량하여서, 남김없이 보리도에 회향하옵되, 과거 미래 현재의 부처님께서,  지으신바 온갖 공덕 회향하듯이, 저도 또한 그와 같이 회향합니다.


100. 가이없는 시방세계 그 가운데에, 과거 현재 미래의 부처님들께 맑고 맑은 몸과 말과 뜻을 기우려, 빠짐없이 두루두루 예경하옵되, 보현보살 행과 원의 위신력으로, 널리 일체여래 전에 몸을 나투고, 한 몸 다시 찰진수효 몸을 나투어 찰진수불 빠짐없이 예경합니다.

101. 일미진중 미진수효 부처님 계셔, 곳곳마다 많은 보살 모이시었고, 무진법계 미진에도 또한 그 같이, 부처님이 충만하심 깊이 믿으며, 몸마다 한량없는 음성으로써, 다함없는 묘한 말씀 모두 내어서, 오는 세상 일체 겁이 다할 때까지 부처님의 깊은 공덕 찬탄합니다.

102. 아름답기 으뜸가는 여러 꽃 타래, 좋은 풍류 좋은 향수 좋은 일산들, 이와 같은 가장 좋은 장엄구로써, 시방 삼세부처님께 공양하오며, 으뜸가는 좋은 의복 좋은 향들과 가루 향과 꽂는 향과 등과 촛불의 낱낱 것을 수미산의 높이로 모아,

일체여래 빠짐없이 공양하오며, 넓고 크고 수승하온 이내 슬기로, 시방삼세부처님을  깊이 믿삽고, 보현보살 행원력을 모두 기울여, 일체제불 빠짐없이 공양합니다.

103. 지난 세상 제가 지은 모둔 악업은, 무시이래 탐심 진심 어리석음이, 몸과 말과 뜻으로 지었음이라, 제가 이제 남김없이 참회합니다.

104. 시방세계 여러 종류 모든 중생과 성문 연각 유학 무학 여러 이승과, 일체의 부처님과 모든 보살의, 지니옵신 온갖 공덕 기뻐합니다.

105. 시방세계 계시옵는 세간 등불과, 가장 처음 보리도를 이루신 님께 위없는  묘한 법을 설하시기를, 제가이제 지성 다해 권청합니다.

106. 부처님이 반열반에 들려 하시면, 찰진겁을  이 세상에 계시 오면서, 일체중생 이락하게 살펴주시길, 있는 지성 기울여서 권청합니다.

107. 부처님을 예찬하고 공양한 복덕, 오래 계셔 법문하심 청하온 공덕, 기뻐하고 참회하온 온갖 선근을 중생들과 보리도에 회향합니다.

108. 원하오니 수승하온 이 공덕으로, 위가 없는 진법계에 회향하오며, 이치에도 일에도 막힘이 없고, 불법이고 세간이고 걸림이 없는, 삼보님과 삼매인의 공덕바다를 제가 이제 남김없이 회향하오니, 모든 중생 신어의로 지은 업장들, 잘못 보고 트집 잡고 비방도하고 나와 법을 집착하여 망견을 내던, 모든 업장 남김없이 소멸되어서 생각 생각 큰 지혜가 법계에 펴져, 모든 중생 빠짐없이 건져지이다.

허공계가 다하고 중생 다하고, 중생 업이 다하고 번뇌 다함은 넓고 크고 가없어 한량없으니, 저희들의 회향도 이러하이다.  

  

var flashVersion = parent.swfobject.getFlashPlayerVersion(); if(typeof flashVersion != "undefined" && typeof flashVersion.major != "undefined" && flashVersion.major >= 10 && typeof ExifViewer != "undefined"){ var getTxImages = function () { var result, txImages, images, i, len, img; result = []; images = []; txImages = document.body.getElementsByTagName("img"); len = txImages.length; for (i = 0; i < len; i += 1) { img = txImages[i]; if (/tx\-daum\-image|txc\-image/.test(img.className)) { images.push(img); } } return result; }; var txImages = getTxImages(); ExifViewer.load({ serviceName: "blog", images: txImages, showAllItem: false, imageViewer: { templateVal‎ue: { blogid: encodeURIComponent(BLOGID), articleurl: encodeURIComponent("http://blog.daum.net/01193704043/10256256") }, photoList: { photoListProtocol: "blogphotolistselect", photoListDataFromUrl: "http://blog.daum.net/_blog/api/PhotoListSelectImageViewer.do?blogid={blogid}&articleurl={articleurl}&imageurl={imageurl}" }, groupList: { groupListProtocol: "blogcatelist", groupListDataFromUrl: "http://blog.daum.net/_blog/api/CategoryList.do?blogid={blogid}" }, data: { count: txImages.length, getViewingUrl: function (index) { return txImages[index].src; } } } });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