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염불소리

[스크랩] 반야심경독경 (김성공스님)

작성자자비심|작성시간17.07.19|조회수111 목록 댓글 0



경봉스님 반야심경 주해 1. 서문 

반야심경(般若心經) 註解(주해)에 붙여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詞般若波羅蜜多心經)과 
육백부반야경(六百部般若經)과 내지 
팔만사천경전을 번역하며 
또 헤아일 수 없이 많은 경전을 번역하여 
주해(註解)를 달더라도 다만 말과 글 뿐인 것이다. 

어찌 교법(敎法)밖에 별로히 전한 소식을 
말과 글로 드러내 보이며 맛보게 할 수 있으리오. 

그러므로 부처님이 사십구년동안 설법을 하셨지만 
구경(究竟)에는 다자탑(多者塔) 앞에서 
가섭존자(迦葉尊者)와 좌(座)를 나누어 앉았고,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꽃을 들어 보이니 
가섭이 미소하였으며, 

니련하칙(尼連河側)에서 곽 밖으로 두 발을 내보여서 
소분(小分)의 법을 드러내 보였으며, 

유마거사(維摩居士)도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불이법(不二法)을 문답할 때 
묵언으로 끝을 마쳤으며, 

옛 조사와 역대 선지식(善知識)들도 법을 거량(擧揚)할 때 
잠시 묵묵히 있거나 방망이로 치거나 큰 소리로 꾸짖거나 
주장자로 선상(禪床)을 치거나 
불자(佛子)를 들어 보여 법을 거량하였다. 

그런데 이것도 부득이해서 하는 일이다. 

그 반야바라밀다심경을 간략히 주해를 달되 
옛 사람의 말도 인용하고 나의 말도 붙였으니 
이것도 또한 말과 글일 따름이다. 

마하반야는 취하지도 못하는 것이며 버릴 수도 없는 것이다. 

이 말은 그만 두고 오늘날은 따뜻하고 바람도 화창하며 
산은 층층하고 물은 잔잔한데 
산꽃은 웃고 들새는 노래하니 
시자야, 벽계수로 차 한잔 달여 오너라. 

칡넝쿨 달에 솔바람은 부는데, 
물소리를 들으며 산 빛을 바라보며 
차 한 잔 먹고 무생(無生)의 좋은 노래 
한 곡조 불러 보세. 
우습고 우습도다. 


今時此事知耶否 금시차사지야부 
辜負靑山綠水深 哂 고부청산녹수심 신 

지금의 이 일을 아는가 
청산녹수의 깊음마져 저버리네. 미소 


♤ 영축산(靈鷲山) 삼소굴(三笑窟) ♤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光明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