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염불소리

[스크랩] 불교, 화청의식 복원에 관한 연구

작성자자비심|작성시간18.08.24|조회수88 목록 댓글 0

   
 
불교, 화청의식 복원에 관한 연구

전통 화청의식 복원에 관한 연구 보고서이다. 문헌자료를 통해 불교 의식에서 회심곡류 불교가요를 화청이란 명칭으로 설행하게 된 배경과 학설로 정립되어 전승된 과정을 설명한다. 의식 l속에 전하는 전통화청의 명확한 의미를 밝혀 현행 회심곡류 화청과 비교 정리함으로써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하였다.

노명열 / 10,000원 / 북랩전통화청(和請)의식 복원에 관한 연구 보고서

현행 불교 의식에서 과연 우린 화청의식(和請儀式)을 제대로 설행하고 있을까.
화청이란 특정한 목적을 갖고 진행하는 재 의식에서, 의식에 참여한 모든 이가 복과 수명이 늘고 고해(苦海)를 벗어나 정토에 나길 발원할 목적으로 다양한 불ㆍ보살과 일체 성현을 노래로서 청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화청은 예로부터 의식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 수많은 문헌에 전해지고 있지만 정작 현재에 이르러는 임으로 의식문을 생략하거나 불필요한 회심곡의 가사를 화청으로 오인하여 설행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해지는 전통의 화청을 외면한 채 회심곡류 불교가요를 화청이란 이름으로 종교의식에서 설행하는 작금의 현실은 심각하게 재고해야할 사안이 분명하다. 화청은 틀림없는 불교의 의식(儀式)이지만 회심곡은 말 그대로 불교의 가요(歌謠)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서는 문헌자료를 통해, 불교 의식에서 회심곡류 불교가요를 화청이란 명칭으로 설행하게 된 배경과 학설로 정립되어 전승된 과정을 설명하고, 의식 속에 전하는 전통화청의 명확한 의미를 밝혀 현행 회심곡류 화청과 비교 정리함으로써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했다.국문초록 ······················································4
영문초록 ······················································7

Ⅰ. 서론·····················································13

Ⅱ. 현행 불교 의식의 화청 ·····································19
1. 기존 성과물에서 전하는 화청의 정의와 내용 / 19
2.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65호 화청』바로보기 / 29
3. 새롭게 정립하는 화청의 정의와 내용 / 56
(1) 수륙재의 화청 / 66
(2) 운수단, 대례왕공문의 화청 / 74
(3) 예수재의 화청 / 90
(4) 화청의 정의와 범주 / 107
4. 전통적인 화청과 회심곡류 화청의 비교 / 125
(1) 전통적인 화청 / 126
(2) 현행 회심곡류 화청 / 128
5. 전통화청의 복원과 시연 / 132

Ⅲ. 결론····················································143

참고문헌 ····················································147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원효사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