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풍요의 밥상

좋은 것 소개-인간은 초식동물

작성자기린|작성시간17.01.24|조회수180 목록 댓글 8

개와 고양이의 이빨을 보면 날카로운
앞이빨과 사나운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음식을 깨물어 으스러 뜨릴 수 있는 사람이
갖고 있는 어금니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개나 고양이는 쥐를 잡고 두더지를
잡을 수 있으며 토끼를 잡아 먹을 수 있다.
개와 고양이는 동물분류학상으로 볼때
육식동물에 속한다.

그러나 사슴과 양과 소와 토끼 등은
식물(植物)을 먹을 수 있게 디자인 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은 초식동물이라고 부른다.
물론 초식동물 일지라도 육식을 할 수 있다.

사람은 어떤가?
사람은 오랫동안 육식을 해왔다.
사람은 육식을 하도록 디자인 되었을까?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식동물은 사나운 발톱이 없고
날카로운 앞이도 없다.
사람 역시 초식동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둘째 육식동물의 입에서 나오는 침은 산성이다.
왜냐하면 동물을 잡아 먹을때 입속에서
빨리 소화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초식동물의 입에서 나오는 침은 알칼리성이다.
식물성 음식을 입에서 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사람의 입속에서 나오는 침은 PH 6.0 과
PH 7.0 사이에 있으므로 약한 산성과 중성 사이에 있다.

셋째 육식동물의 위속에서는
강한 산성 소화액이 분비된다.
초식동물의 위속에서 분비되는 산성소화액의
20 배 정도 더 강한 산성소화액을 분비한다.
육식동물은 위속에서 강한 염산을 분비해야 만
고깃덩이를 빨리 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의 위속에서 분비되는 위산은
초식동물과 비슷하다.

넷째 육식동물은 창자의 길이가 자기 키의
3 배 내지 6 배 정도된다.
창자의 길이가 너무 길면 고깃덩이가 창자속에서
썩기 때문에 조물주께서는 육식동물의 창자를
짧게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초식동물의 창자의 길이는
자기 키의 10 배 내지 12 배 정도 된다.
왜냐하면 초식동물이 섭취하는 식물을
천천히 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사람 역시 초식동물과 비슷한 비율의
창자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사람의 소화관의 길이는 입에서 부터 시작하여
항문까지 약 9 미터 정도 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육식동물의 창자의 안벽은 미끄러우며
흡사 수도 파이프 처럼 생겼다.
왜냐하면 고깃덩이를 빨리 소화시켜
빨리 체외로 내보내기 위하여 그렇게 디자인 되었다.
그러나 초식동물의 창자의 벽은 울퉁불퉁할 뿐만 아니라
자그마한 주머니가 수 없이 많이 창자의 벽에 있고
주름살도 많으며 꾸불꾸불 뒤틀려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이 창자를 천천히 통과하며
영양분을 흡수하도록 만들어졌다.
사람의 창자는 초식동물의 창자와 똑같이 생겼다.

여섯째 육식동물들은 음식속에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음식물 찌꺼기가 체외로 잘 빠져 나간다.
왜냐하면 창자속이 수도 파이프처럼 매끄럽게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식동물들의 창자는 구불꾸불하고 굴곡이 많아
섬유질이 포함된 음식을 먹지않으면 창자 안벽의
작은 주머니 속에 들어있는 음식 찌꺼기들을 씻어내기 힘들다.
사람의 창자도 초식동물의 창자와 똑같이 생겼으므로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여 매일 장청소를 해야 된다.

일곱째 육식동물들은 콜레스테롤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고깃덩이를 매일 먹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이 잘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초식동물들은 콜레스테롤이 없는 식물을
먹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때문에 발생되는
여러가지 부작용에 대하여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사람은 어떤가?
사람의 인체 구조도 초식동물과 마찬가지로
콜레스테롤이 없는 음식을 먹도록 만들어 졌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고기를 먹으면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 인간은 오랜 세월
육식을 해 왔기 때문에 우리 인간은 초식동물도 아니고
육식 동물도 아닌 잡식성 동물에 속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사람이 육식성 보다 잡식성에 가깝다고
하는 것은 조리에 맞지 않는 말이다.
고기를 많이 먹으면 먹을수록 생명을
감소시킨다고 생각하면 맞는 말이다.

하나님은 인간의 창자를 길게 만들고 꾸불꾸불하게
만들고 창자벽 안에 작은 주머니를 많이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어야 된다.
음식물 속에 들어있는 섬유질이 창자의 연동운동에
의하여 창자를 깨끗이 청소해 준다.
채소와 과일속에는 섬유질이 많이 들어있지만
고기속에는 섬유질이 전혀 없다.
우리가 고기만 먹을 경우 고기속에
섬유질이 없기 때문에
창자속에서 음식찌꺼기들이 천천히 움직인다.
채소와 과일은 30 분 내지 60 분이면 소화되며
창자속에 머무는 시간은 16 시간 내지 20 시간이다.
그러나 우리가 고깃덩이를 먹을 경우
이틀 내지 나흘 동안 창자안에 머물고 있다.
사람의 체온은 평균 섭씨 37 도 이다.
소고기 한 근을 식탁위에 놓아두고 방안 온도를
사람의 체온과 똑같은 섭씨 37 도로 올려보자.
3,4 일 후에 어떻게 변했는지 보면 알수 있다.
고기속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은
동맥경화를 일으키기 시작한다.

통계에 의하면 미국 사람 100 명 중 38 명은 심장병으로
사망하고 23 명은 암으로 죽고 나머지 39 명은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과 기타 질병으로 죽는다고 한다.
미국 사람들이 현재의 육식성 음식습관을 바꾸지 않는한
3 명이 모인곳에 한 명은 심장병으로 죽을 것이며
네명이 모인곳에 한 명은 암으로 죽을것이고
나머지는 기타 여러기지 질병으로 죽을 것이다는 통계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사냥꾼 | 작성시간 17.01.24 헐~~~
    사냥꾼 이제는 나물깨러 댕길께용
  • 작성자시루 | 작성시간 17.01.25 ....... '' 글에 포함된 스티커
  • 작성자나무행 | 작성시간 17.01.25 소상하게 알려주심
    감사합니다
  • 작성자찬란 | 작성시간 17.01.25 정말 정말 가슴에 와닿습니다.

    아무리 채식에 관련된 책을 봐도
    먹거리에 관한 영상을 봐도. .
    아직도 행동으로 완전히 옮기지 못하고 고기의 유혹에 넘어가는데. . .

    기린께서 나눠주신 것은 또 다르네요.
    강한 자극을 받으면서 또 다시 실천해보겠습니다.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작성자나우 | 작성시간 17.01.25 분명하게 들립니다
    먹거리에 주의가 갑니다
    알려주셔서 기뻐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