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좋은것소개

식혜이야기

작성자다해|작성시간16.12.16|조회수196 목록 댓글 12


12월코스.

세쨋날 생퐈때 나온 식혜.

마트에서 엿기름을 샀습니다.

미리 넣어버려서 빈봉투만 찍었습니다.

500g 2봉지


따뜻한물에 1시간정도 담가둡니다.

이것은 체에 받혀서 남은 엿질금.

양을 늘리기 위해서 다시 물을 부어서 받혀지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위의 받혀진 물입니다

                                         이것을 갈아앉혀서 윗물만 밥솥에 부어서 삭힙니다.





                                            이 작업은 세번째 그림의 엿질금을 물어 더 부어서 조물락 거려 체에 받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물이 되었습니다.

                    밥솥에서 엿질금과 밥이 삭혀지고 있을 때 이물은 상온에서 삭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모양으로! 뚜껑은 덮고,





이 물이 제일 중요합니다.

맨위의 첫번째 엿질금에서 나온물인데,

밥솥에서 밥이 될동안 갈아앉은 상태입니다.





                   밥이 다 되었죠!

                 찹쌀로 해야 깔끔하고 맛이 좋습니다.

                  10인용밥솥인데, 쌀양 보이시죠?(찹쌀밥이라 물을 많이 먹지 않았서 쌀양이나 밥이 다 지어졌을때와 비슷합니다)

              밥을 많이 넣으면 더 단맛이 난다고 하지만

                저는 적당히 했습니다.

                         

                    밥이 따뜻할 때(밥이 다 되었습니다. 쿠쿠~! 할 때) 중요한 물을 붓고 밥알이 펴지게 잘 저어서

                   5시간 이상 보온, 으로 둡니다.


                                                

                                                   이것은 위의 중요한 물을 따라붓고 밑에 남은 건더기(녹말?)인데,

                                                   이것을 다 넣으면 옛맛이 난다고 하는데, 색은 더 검어집니다.

                                                   저는 넣지 않고 버렸습니다.

                                                  

                                                       5시간 후~  이렇게 밥알이 동동 뜰 때,

                               찜솥에 받아둔 하얀물과 합쳐서 끊입니다.

                            부르르~  끊어넘치면  가스렌지주변이 야단이 나니깐,

                         끊을때가 되었다고 느껴지면 뚜껑을 미리 열어두면 방지할 수 있겠죠!

                       위로 끊어오르는 거품을 걷어줍니다.

                                             설탕은 , 각자의 취향대로 넣습니다.

                                    사실학교의 식혜는 저 찜솥에 보이는 설탕4컵을 넣었습니다.

                                    유기농설탕입니다.

                                  설탕을 넣어서 펄펄 끓을때 저렇게 거품을 걷어내면 식혜가 깔끔합니다.

                          펄펄 끓습니다.

                                              20분정도 끊였습니다.  푸카가 해놓은 편강(생강)과 고추장담고 남은 엿기름을 넣어서

                                                  더 고급진식혜가 되었는데,

                                              아쉽게도 사진은 못찍었네요.

                                          여러분의 온주의가 맛있는 식혜로 탄행했습니다.






이것은 제가 집에서 사용하는 시장표 엿질금입니다.

엿질금의 모양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마트표보다 시간이 적었는데도 더 빨리 삭아서 이리도 밥알이 후루룩 떠올랐습니다

                                           12/12일날, 시아버지기일에 집에서 만들었습니다.

                                              시장표엿질금은 삼천원하는 한봉지면 찜솥한 솥이 나옵니다.


집에서는 유기농설탕이 아니고, 노란설탕을 사용했습니다.

생각보다 식혜만들기가 참 쉽지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상은 | 작성시간 16.12.17 다해표 식혜 젤 좋아요~!!^^
  • 작성자스마일:) | 작성시간 16.12.17 아, 다해표 식혜!
    줄여서 '다혜'
    마법의 재료는 사실, '생강', 감정~ㅎㅎㅎ

    넘 맛있었어요!
  • 작성자기린 | 작성시간 16.12.17 다해표 식혜,
    이런 과정으로 만들어지는.
    넘나 맛있는 식혜.
    다해의 사랑이 담뿍 녹아든 맛,
    또 먹고 싶어요~^^
    나도 함 맹그러볼테다. 의 용기가 생기는
    자세한 과정샷,
    고맙습니다.
  • 작성자모모 | 작성시간 16.12.17 식혜는 다해표!!!
    정성과 맛의 집합체 !!!
    온주의의 맛임을 ~♡
  • 작성자구족 | 작성시간 16.12.20 다해표 식혜 맛있었겠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