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홀리스틱자연치유

Facilitated Segment(활성화된 분절) = 경막관 당기기

작성자수한|작성시간20.08.09|조회수85 목록 댓글 1
활성화된 분절(Facilitated Segment)


FS는 CST 10 스탭 프로토콜 중의 경막관 당기기에 해당됩니다.


FS(Facilitated Segment) 활성화된 분절

- Facilitated라는 뜻은 촉진한다 라는 뜻인데, 여기서 촉진한다 는 뜻은 "유발(촉발)한다" 라는 뜻을 내포합니다.

위벽에 지속적인 자극을 가하면, 활성화된 부위가 생김으로써, 위벽이 과민해지고, 작은 자극에도 위장장애를 초래하여,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해도 소화장애로 이어지게 되는 결과를 야기시킵니다.

활성화된 부위는 매우 작은 자극에 의해, 광범위한 범위까지 영향을 주게 되며, 이러한 연쇄반응은 척수의 분절에 연결된 장기와 신경절까지 영향을 주게되어, 종국에는 자율신경계까지 연결됩니다.

연결된 활성화 부위는 자율신경계 반응을 촉진하는데, 특히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촉진하고, 전신에 영향을 미쳐, 관상동맥과 관련된 심장질환이나 위궤양, 만성피로 등의 반응을 유발하여, 면역기능저하와 교감-비교감 신경계의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활성화된 부위의 Side-Effect

- 과민반응(역치가 낮아짐으로써, 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

- 과활동성(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 큰 통증 유발)

- 자율신경계 장애(교감신경절은 복신경근에 의해 전기적 자극이 늦어지게 되고, 이는 신경세포의 노화도 촉진하게 되며, 이는 결국 관상동맥질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 말단장기의 이영양증(영양실조, 말단 장기에 영양실조 현상이 생기게 되고, 이는 척추 후만증, 근막염, 심장질환, 만성기관지염, 폐질환 등으로 이어집니다)

FS(Facilitated Segment) 해결 방법

- 횡경막 릴리즈(5가지 ) 이후 경막관 당기기

경미한 문제일 때 사용합니다(편두통/두통, 위장 장애부터, 신경말단까지)

- Direction of Energy(에너지 전송)

- 경막관 Rock/Glide


------------------------------------------------------------------------------

FS는 Diaphragm 5개를 모두 이완시키고, Canio-Sacral의 Rock&Glide까지 완료한 뒤, 머리를 잡고, 천천히 당긴다 생각하면서, 에너지로 머리를 잡아당기면(경고: 힘으로 잡아당기면 안됨, 맞을수도 있음), 머리근막이 뽑히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이때, 머리부터 시작되는 근막의 움직임을 따라가면, 클라이언트가 편두통이 있는지, 골반통이 있는지, 소화불량인지, 변비인지, 허기가 아픈지, 등등 신체에서 발생된 모든 이상 현상을 파악 할 수 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수한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0.09.26 1.CSR로 기본 리듬을 체크하는게 첫번째 방법이고
    2.아킹, 확실성 탐지기, 밸런스 체크 로 에너지 시스트를 찾는것이 두번째 방법이며
    3.FS는 가로막 이완이후 실시하는, 신체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리포팅을 완성하는 방법입니다.

    FS를 실시하면, 어느 부위에서 두통이 오는지, 어깨가 아픈지, 가슴이 답답한지, 위장관 상태, 골반의 정렬 상태 등을 한번에 읽어 낼 수 있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