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홀리스틱자연치유

Describe the anatomy of the intra-cranial and dural tube membrane system

작성자수한|작성시간20.11.04|조회수84 목록 댓글 1

두개천막 시스템은 3개의 막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뇌의 중간에는 지주막이 두개골에 부착되는 경막과 경막을 둘러싼 연막이 있다.경막은 골막층과 뇌막층 두겹으로 구성된다.

 

3개의 막층 

1. 경막

2. 지주막(거미막)

3. 연막

 

뇌척수액은 영양과 화학 전달자를 뇌로 전달하고, 노퍠물을 제거하고, 신경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화학적 변화로 부터 신경조직을 보호한다. 마지막으로 노폐물과 잉여 뇌척수액은 정맥 순환으로 흡수된다.

 

뇌척수액의 형성

뇌척수액은 뇌실마다 존재하는 특수한 조직인 맥락얼기에서 만들어진다. 맥락얼기는 한겹의 뇌식막 세포 층과 연질막 속의 모세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뇌척수액은 혈장에서 비롯되며, 뇌실막 세포에서 분비된다. 뇌척수액은 거미막 밑 공간으로 들어간 후, 모세혈관 교환 때, 혈액에서 뇌로 걸러진 액체가 뇌척수액에 추가된다.

 

뇌척수액의 순환

뇌는 하루에 약 500ml 가량의 뇌척수액을 생성한다. 뇌척수액은 뇌실을 수노한후 거미막 밑 공간으로 들어가며, 이때 뇌척수액의 부피는 100~160ml 가량이다. 뇌척수액이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거미막밑 공간에서 흡수되므로, 뇌척수액이 누적 생성되어 신경조직을 누르거나,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거미막에서 손가락 처럼 생긴 돌출부가 경질막을 통해, 경질막정맥동으로 들어가 거미막 융모를 구성한다. 거미막 융모가 응집되면, 거미막과립(지주막과립)이 된다. 잉여 뇌척수액은 거미막 융모를 지나 경질막 정맥동 속의 혈액으로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경질막 정맥동 속으로 뻗은 거미막융모는 과도하게 생성된 뇌척수액이 경질막 정맥동을 통해 혈액으로 흡수되는 일방통행 통로가 된다. 

 

 

비정상적인 경막 긴장이 불러오는 잠재적 결과의 임상적 고려사항

1. 정맥동의 정맥 배출문제

2. 뇌척수액 감소

3. 뇌조직의 혈관 장애

4. CSF 변동 장애

5. 안구 뒤 통증/두통/CN5, CN10, C1, C2, C3 감정상적인 긴장

7. 뇌신경의 기능장애

8.두개골/천골/미골의 움직임 제한

9. 척수 신경의 기능적 제한

10. 뇌하수체 기능 장애

 

 

CST-T 시험중, 에세이 문제 입니다. 제가 쓴 내용은  A4 용지로 13장 분량입니다만, 대략 이런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려드리고자 기술하였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한별 | 작성시간 20.11.29 수한~ 감사합니다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