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어긋난 행동을 할때는 그의 목적과 욕구를 이해하라

작성자나사랑|작성시간15.08.13|조회수198 목록 댓글 0



이런 뉴스 자막이 화면에 떠오른다. 
'아이들은 손해나는 짓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
만약 당신의 자녀가 끊임없이 엇나간 행동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 이유는 엇나간 행동을 함으로써 무엇인가 이득을 얻기 때문이다. 
즉, 어떤 '보상'이 있으니까 그런 행동을 계속하는 것이다. 

그런데 누가 자녀에게 보상을 주고 있는가?
그것은 바로 당신이다. 
즉, 당신이 자녀에게 보상을 주고 있다. 
어린이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은 과거의 심리적 상처나 사건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하려고 동기화되기보다는,
미래에 얻게 될 어떤 목적 내지 심리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동기화된다.
그러므로 자녀가 원하는 것(행동 목적 또는 욕구)이 무엇인지를 
미리 헤아릴 수만 있다면,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강화하거나 보상해 줄만한 소지가 줄어든다. 

청소년에게는 다섯 가지 주요한 행동 목적이 있다. 
그들은 긍정적인 행동(접근) 혹은 부정적인 행동(접근)을 통해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다. 
부모는 자녀의 그릇된 행동에 보상을 주지 않으면서, 
자녀들의 목적 내지 심리적 욕구를 긍정적인 방식으로 충족하도록
방향을 전화시켜 주어야 한다. 다음의 정보가 도움이 될 것이다. 

* 소속감의 욕구(또는 행동 목적)를 달성하기 위한 부정적인 접근 : 부당한 괌심 끌기
  - 부모의 강화(또는 보상) 잔소리 하기, 일일이 지시하기, 설교하기
  - 대안 : 말은 적게 하고 행동으로 보여 주라. 그리고 논리적 결과를 체험시켜라.

* 힘의 욕구(또는 행동 목적)를 달성하기 위한 부정적인 접근: 반항하기
  - 부모의 강화(또는 보상) 자녀와 언쟁하거나 자녀에게 양보한다.
  - 대안 : 힘겨루기에서 물러나 있어라. 마음을 진정시킨 다음에 그 문제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하라.

* 보호의 욕구(또는 행동 목적)를 달성하기 위한 부정적인 접근 : 앙갚음하기
  - 부모의 강화(또는 보상) 심하게 처벌한다. 심한 처벌은 자녀의 보복 심리를 정당화시켜주는 효과(강화)가 있다.
  - 대안 : 자녀를 혼내려는 마음을 자제하라. 
            자녀가 무엇 때문에 상심해 있는지를 알아내라. 
            '느슨한 대결' 기법을 사용하라. 

* 물러서기의 욕구(또는 행동 목적)를 달성하기 위한 부정적인 접근 : 과도한 회피
  - 부모의 강화(또는 보상) 양보한다. 
  - 대안 : 계속 격려하라. 작은 단계로 나누어 지도하라. 필요할때는 도움을 구하라. 

* 도전과 모험의 욕구(또는 행동 목적)를 달성하기 위한 부정적인 접근 : 무모한 스릴의 추구
  - 부모의 강화(또는 보상) 무시하거나 심한 처벌을 한다. 
  - 대안 : 긍정적인 모험을 하도록 방향을 바꾸어 주어라. 
            '정중하게 부탁하기'와 같은 훈육 기법을 사용하라.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