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점이 모두 나쁜 것은 아니다

작성자나사랑|작성시간15.04.29|조회수114 목록 댓글 0

 

 

TV 드라마를 보면 끝없는 좌절과 혼란 속에 허우적거리는 가정의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런 가정과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행복한 가정과 불행한 가정이 다른 점은

그 가정에 문제점이 있느냐 혹은 없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사실 모든 가정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가정의 문제 여부와 가정의 행복 여부는 큰 상관이 없다.

두 가지 형태의 차이점을 들자면,

어떤 가족은 그들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지만,

다른 가족은 심슨가(미국 애니매이션)처럼 그들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고

오히려 끝없이 문젯거리를 만들어 악화시키는 것이다.

 

또 한가지 유념해야 할 사실은 문제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계기로 하여

부모는 자녀들에게 그것을 계기로 하여

부모는 자녀들에게 책임감, 협동심, 용기, 갈등 해결 및 협상과 같은 기술을

가르쳐 주는 귀중한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문제를 통해 자녀들에게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우리의 삶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그리고 그 문제를 통해서 동기 유바링 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저 멍하니 앉아서 해묵은 시트콤만 반복해서 시청하고 있을지 모른다.

 

 

<활동>

 

바윗돌의 가치를 인정하라

 

어린 소년이 동생의 손을 잡고 높은 산에 올라가서 아름다운 경치를 내려다보려고 하였다.

그런데 등산 도중에 갑자기 가파르고 울퉁불퉁한 길이 나타났다.

동생은 실망해서 "이런 곳을 어떻게 올라가지? 모두 바윗돌로 덮여 있잖아"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형이 어린 동생의 손을 잡고 나지막하게 설명해 주었다. "이 바윗돌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을 딛고서 산을 올라갈 수 있는거야" 이 말이 옳다. 형제는 더 이상 불평하지 않았다.

우리의 삶도 이와 다르지 않다. 바윗돌이 방해물이 아니라 디딤돌이 되어주었듯이,

인생에서 문젯거리는 우리에게 기회를 제공한닫. 그런 관점을 가지고,

이번 주간에는 당신 가정에서 풀어 나가야 할 문제점을 찾아보기로 하자.

만일 당신의 두 자녀가 성인의 보호를 받지 않고

자기들끼리 가파른 산을 등산하려고 한다면 한달 동안 그들을 단련시켜라.

이번 주간에는 가족 구성원을 관찰하면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적어보자.

문젯거리 때문에 화를 내거나 고통스러워하기보다는, 오히려 그 문제점을 활용하여

자녀가 지혜로운 교훈을 깨닫도록 하는 좋은 기회로 삼아 보자.

 

예시)

문제점 : 방안이 항상 어질러져 있다.

자녀에게 가르쳐 주어야 할 자질과 기술 : 정리 정돈의 중요성을 가르쳐 준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