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알림판

2018 이병주국제문학제 개최 안내

작성자분다리카|작성시간18.08.20|조회수117 목록 댓글 0


2018 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 개요

 

1. 일자 : 2018928()~930()

 

2. 장소 : 경상남도 하동군 이병주문학관 서울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401, 412

  

3. 주제 : 이병주 문학의 역사적체험적실존적 공간의식

 

4. 주최 : ()이병주기념사업회 KBS진주방송국

 

5. 후원 : 하동군, 경상남도

 

6. 행사내용

 

정기행사

 

. 이병주문학 학술세미나

이병주문학 학술세미나를 통한 이병주 문학 연구와 국내 저명 문인을 중심으로 한 강연회를 개최함으로써 이병주 문학을 재조명하고 그 의의를 광범위하게 확산한다.

 

. 이병주 선생 추모식

문학제 행사시에 섬진강변 오룡정 앞 추모비에서 거행되던 추모식을 확대하여, 국내외의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이병주 선생을 추모할 수 있도록 국제문학제의 정기행사로 치른다. 추모식 장소도 문학관 문학비로 한다.

 

. 전국 학생백일장 및 논술대회

매년 전국의 초 고교생을 대상으로 시행해 오던 학생백일장을 지속적으로 개최하되, 이후 점차 대학생 및 일반인에까지 그 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계획을 수립한다. 대상은 문화관광체육부 장관상을 수여한다.

 

. 해외작가 초청강연회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및 유수 문학상을 수상한 작가들을 초청해 강연을 듣는다. 각국의 문학이 가진 독창적 시각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활용한다.

 

. 국제문학 심포지엄 및 라운드테이블 토론회

세계 각국의 작가들을 초청해 국제문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 행사를 통해 문학제의 위상을 높이고, 21세기 한국문학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해 나가는데 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가 주도적인 역할을 맡도록 한다.

 

. 이병주국제문학상 시상식

이병주국제문학상은 매년 기 발표된 장편소설 가운데서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병주기념사업회에서 위촉한 심사위원들이 당선작을 추천 및 결정하고, 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 때 시상한다.

 

. 이병주문학연구상 및 특별상 시상식

이병주문학연구상 및 특별상은 세계 각국의 언어로 이병주 문학을 동서양에 널리 소개한 번역가와 참신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전시킨 신진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한다. 이병주기념사업회에서 위촉한 심사위원들이 수상자를 결정하고, 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 때 시상한다.

 

. 이병주 영상 다큐멘터리 제작 및 상영

󰡔지리산󰡕, 󰡔태백산맥󰡕, 󰡔남부군󰡕 등 여러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지리산에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제작, 상영함으로써 지리산이 지닌 민족적 상징성을 부각시킨다. 또한 이병주 소설과 인간을 보여주는 영상물을 제작, 상영함으로써 시대 현실을 반영한 문학작품이 갖는 의의에 대해 되새겨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특별행사

 

. 이병주 문학 출판 및 보급

이병주 문학이 갖는 가치와 현대적 의미에 대해 확대 홍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도서 출판 및 보급을 추진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이병주 문학의 재평가와 전집 추가 발간 등을 추진한다.

 

. 이병주 소장도서 특별전

3만여 권에 달하는 이병주 선생의 장서는 현재 주로 진주 경상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체계적인 정리 작업을 통해 이를 분류한 다음, 이병주 소설의 사상적 토양이 된 책들 위주로 전시하는 행사를 갖는다.

 

. 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 디카시공모전

이병주기념사업회외 디카시연구소가 공동 주체로 하동과 지리산, 작가 이병주를 테마로 디카시공모전을 실시하고,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전시회 및 낭송회를 개최한다. 수상작을 선정하여 이병주기국제문학제 때 시상한다.

 

 


2018 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 프로그램

 

 

 

928일 금요일(첫째 날,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401)

 

 

1. 개회식(14:30~15:15)

식 순

개회인사 : 정구영(기념사업회 공동대표)

5

내빈소개 및 이병주 영상 상영

10

기조발제 : 김윤식(기념사업회 공동대표)

15

기조발제 : 김종회(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15

 

 

 

2. 국제문학 라운드 테이블(15:25~16:35)

주제

문학에 있어서의 체험과 상상력

좌장

김종회(경희대 교수)

기조강연(20)

임헌영(문학평론가,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참가자(40)

박상우(소설가), 마치다 고(아쿠다카와상 수상 소설가), 중국: 권혁률(길림대 교수, 문학연구자), 정영훈(경상대), 한성례(세종사이버대 교수), 김언종(고려대 명예교수), 송재학(시인), 김용희(평택대 교수), 김인환(고려대 명예교수), Za’chary Joel Westbrook(셰익스피어 연극배우), 카밀라 박(상트 페테르스부르크 대학, 한국소설 번역가), Raimon Blancafort(언어·역서 연구자), 전수용(이화여대 교수), 피사레바(중앙대 교수), 김한상(경희대 교수), 이재복(한양대 교수), 임정연(안양대 교수), 안경환(서울대 명예교수)

종합강평(10)

김홍신(소설가)

 

 

 

 

 


첨부파일 2018이병주하동국제문학제보도자료.hwp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