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언론보도 ㅣ 기고글

케이블카 동향을 한 눈에_ 박근혜 탄핵 가결 그 후.....

작성자NO CABLECAR!|작성시간16.12.16|조회수309 목록 댓글 0



1. [대통령 탄핵안 가결]`올림픽 붐업·산악 관광·오색케이블카' 동력 상실 우려_강원일보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9일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도내 현안 사업의 원활한 추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황교안 총리 대행체제가 국정 마비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역할에만 그칠 경우 일부 현안 사업 추진이 중지되거나 상당 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8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과 진입도로 건설은 내년도 관련 예산이 100% 반영되면서 차질은 없을 전망이다. 대부분 계속사업이었던데다 경기장은 내년 2월 중으로 대부분 공사가 마무리된다.


■기사원문보기:http://www.kwnews.co.kr/nview.asp?s=101&aid=216120900061



2. <탄핵가결> 강원 현안 '요동'…평창올림픽 차질 우려된다_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 '탄핵가결'로 강원 현안이 요동치고 있다. 박 대통령 탄핵안이 9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직무정지에 들어감에 따라 도 각종 현안이 난관에 봉착했다. 특히 400여 일 남은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최대 위기이다. 평창올림픽 외에 도내에는 춘천∼속초 동서고속철도, 양양 오색케이블카, 규제프리존, DMZ세계평화공원 등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한 국책사업들이 즐비하다.


■ 기사원문: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09/0200000000AKR20161209144600062.HTML?input=1195m



3.'자괴감'은 대통령 몫이 아니다 _프레시안
설악산 정상으로 향하는 케이블카는 이제까지 보전된 수려한 경관과 생태계를 짓밟을 수밖에 없다. 많은 전문가들은 그 부당성을 강조하지만, 어찌 된 영문인지 취소되지 않는다. 전문가의 연구보다 정권의 '비선실세'의 요구에 부응하려 한다는 소문이 돈다. 설악산에 케이블카가 허가되면 기다렸다는 듯 지리산을 비롯해 많은 국립공원에 케이블카 설치 요구가 빗발칠 것이고 불허할 명분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전문성이 없는 비선실세의 사적 이해에 발맞춰 정부가 정책을 펼친다면, 대통령이 아니라 국책사업의 공공성을 연구해 온 전문가들은 자괴감이 든다. 이러려고 그렇게 힘들게 공부해서 국책연구소에 들어왔는지, 지기 자신이 한심하고 부끄러울 것이다.그런 정책을 남발하는 정권에 표를 던진 유권자들도 자괴감이 들어 괴로워할 게 틀림없다.


■기사원문: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45874



4.탄핵·직무정지 '박근혜 정부'…환경분야 정책추진도 실효성 의문_환경TV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박 대통령이 추진하던 이른바 '박근혜 표' 정책들에 제동이 걸렸다. 야권은 이번 탄핵안 가결을 계기로 국정교과서와 한일 위안부 합의 등 주요 정부 정책들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과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앞서 국회는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최순실 관련 예산을 대거 삭감, 사실상 박 대통령의 공약은 더 이상 이행되기 어렵게 됐다는 것이 중론이다. 


■기사원문보기: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html?no=70583



5.“오색케이블카 정당성 왜곡 최순실 게이트와 연관 안돼”_강원일보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의 정당성을 `최순실 게이트' 등과 연관지어 왜곡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석삼(새누리·양양) 의원은 14일 도의회 제260회 정례회 5분발언에서 “최근 모 국회의원이 오색케이블카 설치사업이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는데 이는 근거 없는 개인의 주장에 불과하다”며 “1995년부터 공론화됐고, 2007년 이명박 정부 당시 규제개혁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한 명백한 국가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상적인 법과 절차에 따라 이뤄지고 있음에도 `억지춘향' 격으로 본질을 왜곡하는 것은 우리사회를 또 한 번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고 비판했다.


■기사원문: http://www.kwnews.co.kr/nview.asp?s=101&aid=216121400068



6.한라산 입장료 내년부터 ‘2만원’ _한국일보
내년 하반기부터 제주 한라산 입장료가 신설되고 성산일출봉의 입장료도 대폭 인상된다. 이는 급증하는 탐방객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한라산과 성산일출봉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제주 자연가치 보전과 관광문화 품격 향상을 위한 제주도ㆍ제주도의회ㆍ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연구모임은 15일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지역 관광지 입장료 현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 기사원문: http://hankookilbo.com/m/v/ee04c96380184d80ac87fc9fa60a6670



7.한라산국립공원 입장료가 2만원?..."누가 가겠나"_제주일보|
한라산과 성산일출봉 입장료를 각각 2만원과 1만원 수준으로 부과하는 기준이 제시됐다.하지만 이 같은 입장료는 현실과 동떨어지게 높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등 적정성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실제 적용까지는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 기사원문: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38111



8. 서부대개발사업, 경남 미래의 새 성장동력(지리산케이블카 연내 재신청 계획)_경남일보
경남도는 민선 6기 홍준표 도정의 지표를 ‘서부경남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도 전체의 균형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실현할 성장동력이 서부청사의 서부대개발 사업이다. 서부대개발 컨트롤 타워 서부청사가 개청 1주년을 맞았다. 서부청사는 지난 1년동안 단위사업별 기본골격을 완성하고 우선추진이 필요한 사업을 실행해왔다.


1주년을 맞아 서부대개발사업의 추진 성과와 과제를 살펴본다. 핵심사업은 △남부내륙철도건설 △지리산케이블카 설치 △경남항공 국가산업단지 조성 및 항공 MRO 등 항공산업 해안권 발전 거점 조성 △서부경남산업단지 조성 △항노화 산업육성 △혁신도시 활성화 등이다.


■ 기사원문: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6408



9. '마이산 케이블카' 자문위원 집단 사퇴 "들러리 될 수 없어"_노컷뉴스
전북 진안군이 마이산에 설치하려는 케이블카 사업이 논란을 빚는 가운데 자문위원들이 공정성을 문제 삼으며 집단 사퇴했다.
마이산케이블카 타당성용역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온 이은순, 한승우, 김재병 씨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독선적인 진안군수의 들러리 역할을 할 수 없어 자문위원직을 사퇴한다"고 밝혔다.


환경단체에 속해 있는 등 사업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여 온 이들은 "진안군이 타당성 조사를 요식행위로 여기고 이항로 진안군수는 TV방송에서 자문위원회 논의 내용을 거짓으로 왜곡했다"고 사퇴 이유를 설명했다.


■ 원문보기: http://www.nocutnews.co.kr/news/4701931#csidx7ef2d46c111faa295bf80ea7203242b


10.[양양]오색정비사업 지역업계는 시큰둥_강원일보
양양 오색케이블카 사업과 오색지구 정비사업이 추진되면서 내년부터 2년간 총 820억여원이 집중 투입될 예정이지만 정작 지역의 관련 업계는 특수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양양군은 오색케이블카 사업에 총 520억여원, 오색지구 정비사업에 300억원을 내년부터 2018년까지 투입해 공사를 마무리한다.


하지만 개별사업 전부가 일정 규모 이상이어서 국내 또는 도내입찰이 불가피한 실정.


이에 따라 최근 건설경기 악화로 공사를 수주한 업체들이 직접 시공에 나서는 경우가 많은 점을 감안하면 지역업체 하도급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 기사원문: http://www.kwnews.co.kr/nview.asp?s=501&aid=216121400030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