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인문학의 결정판

작성자새벽하늘|작성시간23.04.21|조회수98 목록 댓글 0

 

 

 

 

 

 

 

 

 

 

 

 

 

 

 

 

 

 

 

인간과 만물은 천지 부모로부터 태어났다.

 

 

 

천지(天地)는 음양 짝으로서 하늘은 아버지이고, 땅은 어머니이다. 그래서 천지 부모라고 한다. “만물은 천지 부모로부터 태어났다.” “천지는 인간과 만물의 큰 부모다.”” 하늘도 조물주요, 땅도 조물주다.  "천지는 생명의 근원, 진리의 원형이다. 

 

진리라는 건 하늘과 땅에서 시작해서 하늘과 땅으로 끝난다. 따라서 인간의 삶은 하늘땅 공부로 시작해서 하늘땅 공부로 끝나는 것이다. 

 

진리에 대한, 생명에 대한, 인간의 시원 역사에 대한 깨달음은 곧 하늘과 땅에 대한 깨달음에서 온다. ‘이것은 진리의 틀을 보는, 진리의 틀을 깨치는 핵심 과제인 것이다. 이것이 인류의 깨달음 가운데 특히 우리 동양 문화에서 우주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보는 가장 중요한 관점이다. 그런데 그동안 수많은 인류가 하늘땅이 뭔지도 모르고 죽어갔다.

 

 

 

 

 

 

 

 

 

 

 

 

우주의 본성이 대광명이다. 

 

 

수행공부가 어느 경계로 들어가면 눈을 감고 있는데도 해가 뜬 것처럼 밝다. 생명의 본성, 인간 마음의 본성은 광명이다. 삼신(三神)이 바로 대우주 광명의 실체다. 동양에서는 이 삼신(三神)이 스스로 현현(顯顯)해서 하늘과 땅과 인간이 나왔다고 한다.

 

『천부경』에서는 이 하늘과 땅과 인간을, 천일天一, 지일地一, 인일人一이라고 한다. 천지인(天地人) 모두가 하나(一)의 자리에서 나왔으며, 도의 본원이 같다는 말이다. 이렇듯 삼신三神이 자기 현현하여 하늘과 땅과 인간이 되었기 때문에, 천지인 모두가 조물주 삼신의 생명과 신성과 지혜와 광명을 가지고 있다.

 

 

삼신의 생명, 지혜, 숨결은 우리 몸속에도 다 들어있는 것이다. 이 우주만유 속에 삼신의 숨결이 살아 있고, 온 우주를 채우고 있는 이 삼신의 생명은 우리 몸속에 그대로 들어 있다. 이걸 생각해 볼 때, 인간의 창조적 신성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궁무진한가!

 

또 진리를 제대로 깨친다는 것이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 ‘인간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제대로 알기만 하고 살아도 인간의 품격이 전혀 달라진다. 

 

 

 

 

 

 

그러면 삼신三神은 우리 몸에 들어와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인간 몸속에 깃든 삼신(三神)의 3가지 손길은 하늘의 조화(造化), 땅의 교화(敎化), 인간의 치화(治化)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삼신은 만물을 낳는 조화신(造化神), 만물을 깨우치고 기르는 교화신(敎化神), 그리고 만물의 질서를 잡아나가는 치화신(治化神)으로 자신을 드러낸다.

 

하늘의 조화신, 교화신, 치화신의 삼신(三神)이 인간의 몸에 내려와 성性,명命,정精 삼진( 三眞)이 되었다. 

 

내 몸속에 있는 조물주의 마음과 생명을 회복하는 것이 종교의 1차 사명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천지, 조물주의 신성이 내 몸 속의 생명 속에서 실제 작용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즘은 이런 내용을 모르고 마음만 닦으라고 한다. 그러나 그것만 갖고 되는 게 아니다. 조물주의 마음(性)과 생명(命)을 함께 닦아야 한다.

 

 

 

 

 

 

 

 

 

그러면 마음과 생명을 어떻게 닦는다는 말인가?

 

 

 

그 모든 의혹을 푸는, 진리의 관문을 통과하는 열쇠가 바로 性命精에서 셋째, 정精이다. 조물주의 마음과 생명은 실제로는 내 몸속의 정(精)에서 이루어진다.

 

내 몸에 있는 모든 기관, 머리털 하나에서 손톱 끝에 이르기까지 다 정精을 끌어다 쓴다.

 

정精에서 조물주의 신성이 발동되고, 생명이 확보된다. 따라서 현실적인 인간의 문제, 즉 나의 마음을 닦고 내 몸 속의 생명을 닦는 것은 실제로는 생활 속에서 정精을 확보하는 것, 精을 수렴하여 간직하는 것이다.

 

정精은 조물주의 창조의 원질이요, 내 몸의 생명의 진액(essence)이다. 우리 몸의 오장에서는 신장(腎腸)의 수기(水氣)가 바로 정(精)이다. 여성들이 아이 낳고 생리하고 하는 모든 생명 운동이 정精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호르몬 작용, 생리 작용, 의식 작용, 사물에 대한 인식 등 인간 삶의 모든 활동 에너지가 신장腎腸의 수기水氣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신장의 수기가 약해지면 피부가 금세 노화되고 주름살이 생기며, 머리털도 뻣뻣해지고 허옇게 세고 쉽게 빠져 버린다. 또한 몸의 근기가 쇠약해지고 천 가지, 만 가지의 병이 신장의 수기가 고갈되는 데서 비롯된다.

 

 

 

 

 

 

 

 

수행은 성(性)과 명(命) 자체를 닦는 것이 아니라 우리몸의 정(精)을 관리하는 문제다.

 

 

 

 

정(精)을 근본으로 해서 닦아야 한다. 그런데 지금의 음란문화는 인간의 정(精)을 파괴하고 분열시킨다. 수행의 근본은 정(精)을 굳히고 맑히는 가의 문제로 떨어진다. 정(精)을 순화해야만 공부가 된다.

 

천지일월이 나를 만들어주고나에게 생명을 내주는 그 모든 열매가 정(精)이다. 정기를 잘 간직해야 여기서 힘도 나오고, 생명력도, 지혜도 나온다. 모든 것을 극복하는 힘의 원천이 정(精)이다. 수행을 통해서 본래의 성(性)과 명(命)이 하나였던 그 경계 자리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

 

내 생명력이 우주와 더불어 하나인 영원의 경계, 그 자리는 무한의 광명 그 자체요, 성(性)과 명(命)이 하나인 상태다.

 

 

 

 

 

 

 

 

그럼 성(性)과 명(命)은 무엇이 다른가?

 

 

밝은 모습 자체는 성(性)이고,  모습이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한 것, 그것을 하나의 생명력으로 표현할 때 명(命)이라고 한다. 수행이 아니면 내 생명의 본래 모습을 회복할 수 없다. 내 생명의 근원으로 돌아갈 수 없다.

 

수행은 내 몸과 마음을 닦는 것이다. 유형의 정(精)과 무형의 마음(心)을 닦아 생명의 본래 자리로 들어서는 것이 바로 수행이다. 결국 모든 것이 마음 닦는 공부로 떨어진다. 마음을 바르게 가짐으로써 정(精)이 변화된다. 정(精)이 굳어지고 맑아지고 승화된다. 그러면 그만큼 높은 성(性)과 명(命)의 세계로 진입해 들어가는 것이다. 수행의 궁극은 생명의 본성인 성(性)과 명(命)을 회복하는 것이다.

 

생명(生命)의 원래 말이 성(性)과 명(命)이다. 

 

 

 

 

 

 

 

 

 

 

 

 

 

 

 

 

 

 

 

 

 

 

 

 

 

 

 

 

 

 

 

 

 

 

인간은 왜 사는가?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인간은 본래 내 생명의 밝은 모습(性),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한 생명력(命)을 회복하기 위해 사는 것이다. 나의 생명을 회복하는 과정, 이것이 우리들 삶의 목적이다.

 

인간에 깃들어 있는 생명의 본래 모습, 성(性)과 명(命)은 하늘땅과 같다. 어머니 뱃속에서 천지와 더불어 호흡할 때는 성(性)과 명(命)이 하나이다. 그런데 세상에 나와 탯줄을 끊는 순간 인간적인 호흡을 시작하게 되고, 본래 우주와 하나인 성(性)과 명(命)이 분리된다.

 

눈을 뜨고도 예측할 수 없는 거대한 우주적인 어둠에 휩싸여 그 이면의 세계를 전혀 못 보게 된다. 우주를 비추고도 남을 만큼 밝은 내 생명의 본래 모습내 마음의 근원인 성(性)이 후천적인 성(性)으로 바뀌면서 어둠의 세계로 떨어진다.

 

또한 하늘같은 무한의 생명력인 내 명(命)이 불과 몇 십 년 살다가 병들어 죽는 유한의 명(命) 자리로 떨어진다. 온갖 인생의 시련과 역경, 고난의 파도를 만나 고통과 슬픔 속에서 살다가 죽음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다. 그런데 수행을 함으로써 어머니 뱃속에서 가지고 있던 본래의 성(性)과 명(命)을 회복한다. 천지와 같은 내 본래의 생명력을 회복하는 것이다.

 

 

 

 

 

 

 

마음을 닦는다는 것은 내 생명의 기반인 성명정(性命精) 3가지 요소를 닦는 것이다. 이것을 구체적인 작용 요소로 보면 심기신(心氣身)이다. 마음(心)과 기(氣)와 몸(身)을 닦는 것이다. 내 몸(身)을 닦는 것은 구체적으로 정(精)을 닦는 것이고, 마음(心)을 닦는다는 것은 원래의 생명력(性)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 몸의 기(氣)를 닦는다는 것은 하늘땅의 무한의 생명력(命)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天一, 地一, 太一 이것은 태고시대 인류가 천지인을 어떻게 인식 했는지 보여주는 소중하고 경이로운 진리 주제어이다.

 

 

 

 

 

 

 

 

 

 

그러면 성(性)이란 무엇인가?

 

 

성性은 마음의 본래 실상, 내 마음의 본래 모습을 말한다. 세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마음은 변화막측하다. 수시로 바뀌고 변덕스러워서 도저히 측량할 수가 없다. 그런데 마음의 본래 모습은 가을 하늘의 순수한 모습처럼 불변지체(不變之體)다.

 

성性은 심心방 변 옆에 낳을 생生 자를 쓴다. 문자 그대로 만물을 낳는 마음이다. 하늘땅과 인간과 만물을 낳아 주는 조물주의 마음, 대자연의 마음이 바로 성性이다.

 

성性은 마음의 본체, 마음의 본래 모습, 본마음이요, 다른 말로 도심(道心), 천심(天心)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마음은 인간의 총체적인 의식 현상을 뜻한다. 그런데 불가나 도가에서 말하는 마음은 본래의 마음(本心), 진리의 마음, 도심道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불가에서 수행의 핵심으로 말하는 ‘명심견성(明心見性)’도 궁극으로 내 마음을 밝혀서 성性을 본다는 것이다. 命은 내 몸에 들어와 있는 삼신의 생명을 말한다. 명命은 목숨이요, 생명이요, 천명天命이며, 궁극으로는 조물주의 생명이다. 그것은 영원한 생명이다.

 

인간의 육체는 얼마 살다 땅속으로 들어가 썩어 버리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삼신의 성령의 생명은 영원하다. 그 불멸의 생명력이 내 몸에 그대로 들어 있는 것이다. 그 불멸의 생명력을 회복하는 게 수행이다. 하늘에서 인간을 내보낼 때 내려 준 명이 천명(天命)이다.

 

천명天命에는 삼신의 마음과 생명과 지혜와 신성 등 모든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쉽게 설명하면 인간의 몸은 삼신의 모든 신성과 지혜와 생명이 한순간에 전달되는 일종의 광케이블로서 거대한 우주 생명의 도로다. 이를 통해서 모든 기운이 내려오고, 지혜가 열리고 사명이 주어지는 것이다.

 

 

 

 

 

 

 

 

 

 

 

 

성性과 명命!

 

 

사실 모든 종교의 결론도 성명학(性命學)이다. 유교도 성과 명을 닦는 것이 목적이다. 중용에 이런 구절이 있다.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이요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요 수도지위교(修道之謂敎)니라.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며, 그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이른다.(『중용(中庸)』)

 

조화신(三神)이 나에게 내려 주신 가장 위대한 선물이 바로 삼신의 본래 마음. 性이다. 내 마음이 곧 하느님의 마음이요, 천지의 마음이다. 하늘로부터 천명으로 받은 위대한 신성神聖!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생명의 길(道)이요, 인간이 가야 할 궁극의 길이다.

 

 

 

 

 

 

 

 

 

하늘의 조화신(造化神)이 내려와서 바로 나의 본래 마음, 인간의 본성이 됐다.

 

 

 

 

이 성性이라는 것은 심心방 변 옆에 날 생生자를 썼는데. 우리 마음이 생하는, 태동하는 그 바탕, 우리 마음의 본체, 심체, 우리 마음의 본원은 수행을 통해 내가 자연과 하나가 되었을 때 나라고 하는 이 색신色身, 몸은 사라지고 이 우주 자체 법신法身이 된다. 그게 바로 성性이다.

 

불가에서 말하는 자성自性, 법성法性, 불성佛性과 같은 경계이다. 따라서 인간은 천지와 그 생명성, 신성이 동일한 존재인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 가장 체계적인 해석을 한 인물이 고려 공민왕 때 행촌 이암선생이다. 그는 ‘신神의 세 가지 본성이 바로 조화신,교화신, 치화신, 조교치(造敎治) 삼신이다.’라고 했다.

 

즉 신神은 창조적 손길로 만물을 끊임없이 지어내는 하늘의 조화신(造化神)은 만물을 낳고, 만물을 기르는 땅의 교화신(敎化神)은 만물을 가르키고, 질서를 만들어나가는 인간의 치화신(治化神)은 만물을 다스리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변하다가 늙어서 땅속으로 들어가는 이 작은 몸뚱아리, 색신色身이 아니고, 이 우주 자체인 우리들의 본래 몸뚱아리 법신法身은 조화신이 우리 몸에 들어와서 우리의 본성(性)이 된 것이다. 그러니까 인간 마음의 본성자리는 바로 조물주 신성 그 자체다. 이건 엄청난 사실이다.

 

 

 

 

 

 

하늘天 아버지父의 신성이 우리 몸에 들어와서 성性이 되고, 조화지신(造化之神)은 강위아성(降爲我性)하고, 땅地 어머니母 지구의 신성, 교화지신(敎化之神)은 우리 몸에 들어와서 명命이 되었다. 이것은 영원한 생명, 불멸의 생명이다. 그래서 이 선사상(仙思想)이라는 것은 바로 성명정(性命精)에서 이 지구의 어머니의 신성을 근본으로 해서 선도仙道가 나왔다.

 

그다음에 만물을 다스리는 치화신(治化神)은 바로 인간의  몸에 들어와서 정(精)이 되었다. 이것을 성명정性命精. 하늘의 조화신, 땅의 교화신, 사람의 치화신. 사람은 우주만물을 다스리는 그런 사명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래서 우리 몸속에 있는 3가지의 참된 것. 이것을 하나님의 마음(性), 하나님의 영원한 생명(命), 그리고 만물을 다스리는 생명의 동력원 정기(精)를 서양 사람들은 essence로 번역하는데 우리가 의학으로 보면 신장腎腸의 정수精水를 말하는 것이다. 이 신장腎腸의 정수를 축적해서 그걸 굳히는 것이 우리가 영원히 사는 수도공부의 핵심인데, 지금은 남녀가 정(精)을 성을 즐기는데 쓰고 그러니까. 대부분 소멸당하는 것이다.

 

 

 

 

 

 

 

 

 

 

 

 

지금도 밤이 되면 보름달이 떠 있을 때 아, 낮처럼 환하네. 신수가 환하군요. 그 환(桓) 자를 쓴다.

 

 

 

 

『태백일사(太白逸史)』 신시본기(神市本紀)에 자천광명왈(自天光明曰) 환(桓)이요,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광명은 환(桓)이요, 자지광명왈(自地光明曰) 단(檀)이요. 땅 어머니 지구로부터 내려오는 광명은 단(檀)이다.

 

환단(桓檀)은 바로 천지 부모의 조화광명이다. 이 광명의 실체가 무엇인가? 바로 그게 신(神)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신(神)이 자기를 현상 우주에 드러낼 때 반드시 3수(三數) 원리로 사물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온 우주도 하늘(天)과 땅(地)과 인간(人)으로 자기를 드러낸다. 극미의 원자 소립자 세계로부터 극대우주 자체까지 모든 사물은 3수(三數)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몸도, 의식의 마음의 구조도, 三의 구조를 가지고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삼신(三神)은 조화,교화,치화의 신의 3대 본성을 얘기하는 것이다. ​

 

 

삼신(三神)의 덕성과 조화의 신성과 생명과 광명이 하늘에도 그대로 깃들어 있어서 천일(天一)이라고 한다. 그 때의 일(一)이란 우주를 낳아준 신성을 말한다. 또한 땅에도 그대로 깃들어 있기 때문에 지일(地一)이라고 한다. 그리고 천지의 열매, 천지의 꿈인 인간 속에도 이 우주 삼신의 신성, 조화 광명의 생명이 그대로 깃들어 있다.

 

그런데 인간은 온 우주의 거룩한 생명을 다 받아 나와서 천지부모의 뜻을, 우주의 뜻을 실현하는 진리의 중심적 존재다. 즉 천지의 모든 뜻을 이루는 존귀한 존재인 것이다. 때문에 인일(人一)이라 하지 않고 태일(太一)이라고 한다.

 

인간이 천지의 원대한 꿈을 이루는 주체이기 때문에, 하늘땅보다 더 큰 자리라는 진리의 소식을 담아서 태일太一이라고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생명 자리, 그 신성이 바로 태일太一이다.

 

인간의 몸속에는 이 우주를 낳아준 삼신三神의 신성이 그대로 살아 움직이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하늘도 땅도 인간도 똑같이 바로 조물주 하느님의 덕성과 신성과 광명과 무궁한 지혜를 다가지고 있다. 이게 인간이다. 인간에 대한 가장 위대한 선언, 이걸 제대로 알아야 된다는 말이다.

 

 

 

 

 

하늘에는 삼신(三神)이 있고, 땅에는 삼한(三韓)이 있으며, 인간 몸속에는 삼진( 三眞)이 있다. 

 

삼진三眞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하는가? 

 

삼신( 三神) 이 우리 몸에 들어와 생긴 3가지 참된 것‘이 곧 성명정(性命精) 삼진( 三眞) 이다. 조화신, 교화신, 치화신이라는 삼신이 들어와 성(性)-명(命)-정(精) 삼진( 三眞)이 된다.

 

 

 

만물에게 생명을 부여하는 造化神은 내 생명의 근원, 내 마음의 뿌리 자리, 성( 性)이 되어 자리를 잡는다. 만물을 양육하는 敎化神은 나의 명命 , 순수한 우리말로 목숨이 된다.

 

목숨을 영어로 옮길 때, 수명(lifespan)으로 흔히 이야기하지만, 여기서의 명命은 수명, 생명, 그리고 천명( 天命) 사상까지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

 

만물의 생명 질서를 바로잡는 치화신治化神은 내 몸의 정(精)이 된다. 내 몸속에서 삼신의 마음(性)과 생명(命)이 발동되는 것은 실제로는 내 몸의 정( 精)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속의 참 마음(性)을 닦고 내 속의 참 생명(命)을 키우는 것은 일상생활 속에서 정精을 잘 확보하는 것에 달렸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조화신이 내 몸에 들어와 성性이 되고, 교화신이 들어와 명命이 되고, 치화신이 들어와 정精이 된다. 이는 내 몸 속에 삼신 하나님의 생명이 그대로 다 들어 있다는 것이다. 내 몸속에 우주의 생명이 그대로 다 들어 있다. 이것이 삼신문화가 인간의 위대함에 대해 전해주는 깨달음의 한소식이다.

 

性,命,精 삼진三眞은 인간이 진리를 깨달음에 있어서 어떻게 그 길을 추구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말해준다. 그래서 진리를 성취한 인간이 되고자 할 때, 삼진三眞은 우리에게 삼관三關으로 작용한다.

 

 

 

 

 

 

 

 

 

 

 

 

 

 

 

 

 

 

 

 

 

 

관關이란 무엇인가?

 

여행에서 뜻하는 목적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렇듯 성명정性命精을 지키는 것이 내 안에 내주한 삼신의 생명과 신성을 온전히 지켜 진리를 성취한 인간이 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문이다.

 

선가와 불가의 수행자들이 이 삼관三關을 굳게 지키지 못하여 한순간 정신에 빈틈이 생기면, 바로 그 순간 천지에 가득 찬 마魔가 범하여 그간 쌓은 수행의 공력을 허물어 버린다. 수도승들이 깎아지른 절벽 위 바위에 가부좌를 틀고 앉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性,命,精 삼진 三眞은 육체,몸을 뒤집어쓰면서 심기신 心氣身의 삼망 三妄으로 운용된다. 인간의 마음心 과 기氣와 몸身은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3가지 허망한 것이라 불린다. 하지만 삼망三妄은 다름 아닌 삼진性,命,精이 인간의 하루 생활을 통해서 발현된 것이기 때문에 부정적이고 나쁜 것이 아니다.

 

 

心氣身 삼망三妄은 학문을 닦고, 가정을 이루고, 출세를 하는 등의 모든 인간 삶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실적 요소다. 실체가 없이 순간순간 변하는 것이라 해서 삼망 三妄을 망령된 것, 거짓된 것으로만 보아서는 안된다.

 

 

창생들의 하루하루 고달픈 생활 속의 기쁨과 슬픔, 밝음과 어둠, 어리석음과 지혜로움 등이 다 뭉쳐져서 인류 역사를 만들어 내는 것 아닌가. 이 삼망三妄을 달리 삼방三房, 3가지 방房이라 부른다. 

 

방房이란 사람이 들어가 편히 쉬는 평화의 보금자리 이듯이, 평화와 안정, 행복과 조화로운 삶은 심기신心氣身을 잘 다스리는 데에 달려있다.

 

요컨대 造,敎,治 삼신이 우리 몸에서 그대로 화한 것이 곧 성명정 性,命,精 삼진이며, 그 삼진이 우리 몸에서 작동이 될 때 심기신 心氣身 삼망三妄이 된다. 즉 삼진과 삼망은 체용體用관계에 있다. 그래서 인간의 본성(性)이 작동을 한 것이 마음(心)이고, 인간의 목숨(命)이라는 것은 기(氣)로 발현되고, 정精은 몸(身)으로 발현되는 것이다.

 

 

심기신心氣身이 사물과 접해서 좀 더 감각의 차원에서 용사(用事)하는 것이 감식촉 感息觸의 삼도三途이다. 감感은 느끼는 것, 식息은 호흡하는 것, 촉觸은 촉감을 말한다. 인간의 마음心은 감정感으로써 표현되고, 기는 호흡息을 통해서 작동되고, 몸身은 촉감 觸을 통해서 느낀다.

 

이 삼도三途는 신神의 조화 세계에 들어 갈수 있는 3가지 문호(門戶), 즉 삼문三門이 된다. 대부분의 창생들은 감식촉感息觸에 끌려 타고난 기질대로 살다가 인생을 마친다.

 

그에 반해 삼신(三神)의 도를 아는 철인들은 감정感을 다스리는 지감止感, 호흡息을 고르게 하는 조식調息, 촉감觸을 금하는 금촉禁觸으로써 삼도三途를 잘 다스려, 궁극에는 자기 안에 내재된 삼신 三神을 발현시켜삼신의 조화 세계에 들어간다. 그래서 지감止感 , 조식調息, 금촉禁觸은 수행의 3대 요체이다.

 

신라 시대 불교의 대중화에 힘썼던 원효대사나 화엄종을 확립한 의상대사도 이를 수행의 대의로 삼았다고 한다. 그들은 바로 삼신문화의 수행 원리로 도를 닦았던 것이다. 성명정 性命精 삼진 三眞 , 심기신心氣身 삼망三妄, 감식촉感息觸 삼도三途 이 모두의 상호관계를 이해할 때, 환단고기가 밝히는 인성론(人性論)을 종합적으로 깨쳤다 할 것이다.

 

 

 

 

 

 

 

 

삼신사상은 조물주 신의 정체에 대한 선언으로 끝나지 않고 동서문화의 본질적 차이를 보여준다. 삼신사상에 의해 동양과 서양의 신관, 우주관, 인간관이 확연히 구별된다. 유목문화에서 태동한 기독교 중심의 서양의 시각에서 볼 때, 신은 창조자로 하늘과 땅과 인간 위에 군림하는 초월신이다.

 

반면에 농경문화의 동양 사회는 천지인 삼재를 삼신의 자기현현自己顯現(self-manifestation), 즉 삼신이 현실계에 자기를 드러낸 것이라 본다. 따라서 천지인은 피조물이 아니다. 하늘도 신이요, 땅도 신이요, 인간도 신으로서, 천지인은 모두 살아 있는 삼신이다.

 

때문에 하늘 땅 인간 속에 삼신의 생명과 신성과 지혜와 광명이 그대로 다 들어 있다. 이러한 천지인의 관계를 수리(數理)로 표현한 것이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이다. 하늘도 땅도 인간도 모두 하나의 근원자리에서 나왔음을 한 일一 자로 표현하였다. 즉 천지인은 삼위일체적 존재이다.

 

하늘은 신神이고 땅은 귀鬼다. 지금은 서양사상이나 과학 등의 영향을 받아 ‘귀신’ 하면 아주 저급한 신명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천지가 신神이다. 천지가 귀신이란 말이다. 인간은 천지 부모의 가장 위대한 작품, 우주의 명품이다. 옛 사람들은 하늘을 ‘천일(天一)’, 땅을 ‘지일(地一)’ 인간을 인일(人一)이라 하지 않고 태일(太一)이라고 정의했다.

 

 

 

 

 

 

 

 

마음은 동하기 전의 본래의 근원 모습인 본성과, 구체적으로 사물에 동화되어 작용할 때의 감정(情, emotion) 둘 다를 포괄하는 것이다. 그래서 유가에서는 “심통성정心統性情”, 즉 “마음은 성性과 정情을 통섭한다.”고 말한다.

 

수행을 통해 우리 몸의 천지 기운이 밝아지면, 사람을 바르게 보고, 사물의 내면과 본성을 보기 시작한다. 수행을 하면 모든 생명의 본성인 신성(divinity)을 들여다볼 수 있는 눈이 열린다.

 

본성이란 마음이 주변의 사물에 동화되기 전 단계, 근원 마음이다. 그것을 성性, 본성이라고 한다. 본성이란 ‘본래 성품’이다. 그런데 모든 생명의 본래 성품은 같은 경계다. 이것이 무슨 말인가?

 

하늘이나, 땅이나, 사람이나, 짐승들이나, 돌멩이나, 흙덩어리나, 흐르는 물이나, 타오르는 불이나, 저 태양과 달, 은하계 별들이나, 그 본성은 모두 똑같다는 말이다. 본성은 열려있는 우주생명 의식이다. 대우주와 완전히 하나가 돼 있는 환한 광명, 그러면서도 아주 시원하고 의식이 평온해지는 대광명의 경계다. 천지만물과 하나가 된 일심 경계, 그런 절대 평등의 경계, 절대 순수 의식에 돌아가 머물러야 한다. 그 경계를 불가에서는 불성佛性이라고 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