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x-ray,ct, mri 진단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작성자조영훈|작성시간15.07.08|조회수1,491 목록 댓글 0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1. 관찰할 수 있는 방사선학적 발견은 무엇인가?

 2. 이 질환의 몇가지 관절외 징후를 열거하라.

 3. 이러한 환자의 척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몇가지 합병증을 열거하라.

 4. 누가 이러한 질환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가?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1. 관찰할 수 있는 방사선학적 발견은 무엇인가?

 ☞ 인대증식체(대나무 척추), 극간인대골화, 천장관절 강직증


 2. 이 질환의 몇가지 관절외 징후를 열거하라.

 ☞ 홍채염,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간질성 폐질환


 3. 이러한 환자의 척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몇가지 합병증을 열거하라.

 ☞ 가성관절증, 골절, 환추축 불안정성, 척추디스크염, 척수 압박, 척추관 협착증


 4. 누가 이러한 질환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가?

 ☞ HLA-B27 양성을 가진 15~35세 사이의 남성



해설




 이 케이스는 'Aunt Minnie'이다. 강직성 척추염의 틀림없는 특징은 단순 방사선 영상과 시상면 CT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강직성 척추염은 가장 흔한 혈청검사 음성형의 척추관절병증(seronegative spondyloarthropathy)이고 남성에서 압도적으로 많다. 질환의 발병은 15~35세 사이에서 발생하고 90% 이상이 HLA-B27 양성이다. 임상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은 요통과 강직이 존재한다.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현저한 흉추후만과 제한된 요추전만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정상 척추와 강직성 척추염의 척추 형태

(이미지 출처 : http://attra.registry.cz/index-en.php?pg=diagnoses--ankylosing-spondylitis)


 천장관절은 전형적으로 첫번째로 연관되는 부위이며 천장관절염이 이 질환의 특징에 해당한다. 관절의 장골 부위에서 초기 주위 관절의 골다공증과 표층 피질의 미란이 관절강이 넓어짐의 결과가 나타나는 좀더 극적인 미란성 변화 뒤에 나타난다. 상아질화(Eburnation)는 경화증의 치밀한 병소 제한적인 띠로써 발전한다. 증식성의 변화가 더 현저해짐에 따라 불규칙한 골성 가교가 결국 전체 관절 강직증을 초래한다. 이러한 모든 발견은 인대와 관절의 윤활 부분 둘다에서 발생한다.


 '대나무 척추(Bamboo spine)'라는 용어는 인대증식체(섬유륜의 골화)의 과도한 증식의 존재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트롤리-트랙(Trolley-track) 징후는 전방 방사선 영상에서 보이며, 극상인대와 극간인대와 골단관절낭의 골화와 일치하는 세 수직 방향의 치밀한 선을 의미한다. 트롤리-트랙(Trolley-track) 징후는 극상인대와 극간인대의 골화를 나타내는 전방 방사선 영상에서 단일 방사선 라인으로 나타나는 단검 징후(dagger sign)에 비해 앞설 수 있다.



△ Trolly Track Sign

(이미지 출처 : http://learningradiology.com/radsigns/radsignspages/T-radsigns.htm)


 

△ Dagger Sign

(이미지 출처 : http://www.gentili.net/signs/34.htm)



Reference


 Van der Linden S, van der Heijde D: Ankylosing spondylitis: Clinical features. Rheum Dis Clin North Am 24:663–676, 1998.



Cross-Reference


 Musculoskeletal Imaging: THE REQUISITES, 3rd ed, pp 318–321.



Musculoskeletal Imaging (Paperback / 2nd Ed.)

작가
Yu, Joseph S., Caw (COR)
출판
ElsevierScienceHealthSciencediv
발매
2008.02.22

리뷰보기


※ 참고 문헌 : Yu, Joseph S. 《Musculoskeletal Imaging》 Elsevier Science. 2008. 37~38쪽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