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x-ray,ct, mri 진단

전방 견관절 탈구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Labrocapsular)) MRI

작성자조영훈|작성시간15.08.07|조회수2,796 목록 댓글 0

전방 견관절 탈구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Labrocapsular)) MRI



 아래 사진은 같은 손상 메커니즘을 가진 네 명의 다른 환자의 축상 MRI 사진이다. 각각의 영상에서 발견되는 것과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전방 견관절 탈구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Labrocapsular))




 1. 반카르트 병변(Bankart lesion). 전방 골막의 동시적 파열과 함께 하부 관절와상완인대의 전지(anterior limb)에 의한 전하부와순의 견열을 의미한다.



△ 반카르트 병변 (Bankart lesion)

(http://www.radiologyassistant.nl/en/p4963d77684ef7/shoulder-mr-bankart-lesions.html)




 2. 페데스 병변(Perthes lesion). 와순이 파열되었으나 벗겨졌으나 온전한 골막에 붙은 형태로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한다.




 3. 관절와순 관절 파열 병변(Glenolabral articular disruption(GLAD) lesion). 전하부와순과 밑에 있는 연골의 파편이 한 덩어리로 벗겨졌음을 의미한다.


 


 4. 알프사 병변(Anterior labral periosteal sleeve avulsion (ALPSA) lesion). 와순 내측 전이를 동반한 페데스 병변(Perthes lesion)이 연장된 것을 의미한다.



△ Axial images of Bankart lesions and variants

(http://www.radiologyassistant.nl/en/p4963d77684ef7/shoulder-mr-bankart-lesions.html)


해설


 약 95%의 관절와상완 관절의 탈구가 전방탈구이다. 힐-사치 병변(Hill-Sachs lesion)과 같은 골성 손상과 골성 반카르트 병변(osseous Bankart lesion) 및 대결절 골절은 중요한 발견에 해당한다. 하지만 연부조직의 평가는 추가적인 MRI 영상으로 와순, 전방 캡슐, 견갑하근건과 상완이두근 장두건의 완전한 상태 등을 충분히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반카르트 병변은 전방 골막의 동시적 파열과 함께 하부 관절와상완인대의 전지(anterior limb)에 의한 전하부와순의 견열을 말한다. 이러한 손상의 많은 형태들이 있다. MRA는 특히 이러한 다양한 반카르트 변이(Bankart variants)의 윤곽을 그려내는데 유용하다. 문헌상으로 보고된 어려운 약어(alphabet soup)로 된 병변은 페데스 병변(Perthes lesion), 글래드 병변(GLAD lesion), 알프사 병변(ALPSA lesion) GOCD 병변(Glenoid OsteoChondral Defect lesion), HAGL 병변(Humeral Avulsion of the 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 lesion), BAGL(HAGL lesion with a bony avulsion lesion), GLOM 병변(GlenoLabral Ovoid Mass lesion)이 있다.



△ 힐-사치 병변 (이미지 출처 : http://www.shoulderdoc.co.uk/article.asp?article=1470)


 전방 캡술의 부착부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많은 병변들에서 벗겨져 있다. 부착부가 전방 와순 기저부의 근위부에서 1cm 넘어설 때, 이는 병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3 유형(type 3) 전방 캡슐 삽입으로 언급된다. 1 유형 전방 캡슐은 와순 또는 그 기저부에 삽입된다. 2 유형 전방 캡슐은 1 유형과 3 유형 삽입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의 의미한다.



△ Capsular insertion : Types

(http://www.slideshare.net/nguyenbinh5621149/phan-o-ton-thuong-co-xuong-khop-cac-chi)



△ A type 1 capsule arising from the labrum.


△ A type 2 capsule arising from the scapular neck 1 cm medial from the labral base.

 
△ type 3 capsule arising from the scapular neck more than 1 cm medial from the labral base.

(이미지 출처 : http://jortho.org/2009/6/3/e5/index.htm)


Reference


 Shankman S, Bencardino J, Beltran J: Glenohumeral instability: Eval‎uation using MR arthrography of the shoulder. Skeletal Radiol 28:365–382, 1999.



Cross-Reference


 Musculoskeletal Imaging: THE REQUISITES, 3rd ed, pp 98–105.



Musculoskeletal Imaging (Paperback / 2nd Ed.)

작가
Yu, Joseph S., Caw (COR)
출판
ElsevierScienceHealthSciencediv
발매
2008.02.22

리뷰보기


※ 참고 문헌 : Yu, Joseph S. 《Musculoskeletal Imaging》 Elsevier Science. 2008. 273~274쪽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