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펌)우주선의 공간이동 원리

작성자대한나라|작성시간18.02.18|조회수86 목록 댓글 0

   우주선의 공간이동 원리| 지구 과학

 흐르는 물처럼1 | 조회 1000 |추천 3 | 2011.10.21. 11:48 http://cafe.daum.net/revelation1/Dn0Q/2239 


 < 차원의 개념 >

 


지난번 우주인과 대화를 통해, 우주선은 행성 간 이동 시와 행성 내 이동 시 다른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행성 간 이동 시는 차원을 바꾸어 이동함으로써, 빛보다 훨씬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해서, 우주선의 작동원리에 대해 계속해서 우주인과 대화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수백억 광년 떨어진 우주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빛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날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차원을 바꾸면 가능하다고 했는데, 이것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는지요?

이를 알기 위해서는 차원의 개념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우주에서 차원이란 진화의 척도를 나타내며, 생명체는 진화의 수준에 따라 해당하는 차원에서 살아가게 됩니다.
차원과 차원 간에는 커다란 에너지 장벽이 가로놓여 있어서 높은 차원의 생명체는 낮은 차원을 방문할 수 있지만, 낮은 차원의 생명체는 에너지 장벽을 넘어갈 수 없어 높은 차원으로의 이동이 곤란합니다.

예를 들면, 개미가 바닥의 한 지점에서 천장의 어느 지점에 가기 위해서는 바닥을 기어서 벽에 도달한 후, 벽을 타고 올라가서 천장에 도달한 후, 천장을 따라 목표 지점까지 가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 경우 벽이 멀리 떨어져 있다면 개미는 벽까지 도달하기 위해 한참을 바닥을 기어가야 하므로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만일 가다가 벽이 중간에 끊겼다면, 목표지점은 눈앞에 있지만 도달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기어 다니는 개미가 지닌 한계입니다.

만일 개미에게 날개가 있다면, 개미는 목표지점까지 빠르게 바로 날아갈 수 있습니다. 기어 다니는 개미가 2차원 능력이라면 날아다니는 개미는 3차원 능력을 보유했다고 할 수 있지요. 차원의 차이가 곧 능력의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습니다.



2차원 개미와 3차원 개미



우주는 10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차원에 거주하는 생명체는 차원이 낮은 생명체와 비교하여 더 높은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주는 수백억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날아간 거리)의 크기로 매우 광대하므로 3차원 지구인에게는 멀리 떨어진 우주별로의 이동은 어렵습니다. 가령 우주에서는 바로 이웃이랄 수 있는 1광년 떨어진 별 역시, 현재 지구인은 아무리 빠른 로켓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이동 시간이 1만 년 이상 걸리게 되므로, 100년도 안 되는 수명을 지닌 지구인들은 평생을 가도 도달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나 4차원 이상의 생명체는 3차원에서 문제가 되는 이러한 공간의 한계를 쉽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우주 공간에 퍼져있는 우주 터널과 같은 지름길을 이용하여 행성 간 이동을 순간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에너지 빔을 이용하여 물질 질량의 극성을 순간적으로 반대로 변경하여 반질량화 함으로써 빛보다 빠르게 사속으로 공간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지구인들의 과학으로 설명하면, 우주터널은 ‘웜홀(worm hole)’*에 해당하는데, 이를 통하면 우주 행성 간의 이동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웜홀의 입구는 블랙홀(Black hole)이고, 출구는 화이트홀(white hole)이며, 지구인들이 상상하고 있는 것과 동일합니다.

지구인들에게 유명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에 따르면, 물질은 빛의 속도로 접근하면 질량이 무한대로 늘어나서 추진 에너지를 아무리 늘려도 빛의 속도에 도달할 수가 없지요. 한편 상대성 이론은 물체의 질량의 극성을 반대(허수질량)로 한다면, 빛보다 빠른 속도를 가지고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또한 동시에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지구인들은 양의 질량을 가진 물질 이외에 허수질량을 가진 물질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 웜홀: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 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너무 커서 심지어 빛조차도 빠져나갈 수 없는 천체를 가리키며, 화이트홀(White Hole)은 물질이 그 내부로는 절대 들어갈 수 없는 내뿜기만 하는 천체를 가리킨다.
< 질량과 반질량 >

 

- 허수질량이라고 하면 이해가 어렵군요.

질량과 반대성질을 가진 의미로 반질량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3차원 지구인이 스스로 우주를 여행하기 위해서는 4차원 우주 터널을 찾아내거나 아니면, 반질량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을 찾아내야만 하겠네요. 현재 지구 과학에서는 반질량은 이론적으로만 가능한 상태로서 과학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질량과 관련해서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현재 지구인은 물질이 어떻게 해서 질량을 나타내는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질량에 비례해서 중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 이 둘은 서로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중력이 질량보다 먼저 선행한다고 할 수 있어 지구인들이 알고 있는 것과 반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력이란 우주의 형태 즉 공간의 굴곡 형태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며, 질량은 3차원 지구에서 소립자(원자 포함)의 구조에 기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지구 과학은 질량을 가진 물체 사이에, 거리에 반비례하여 만유인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뉴턴의 만유인력 법칙), 사실은 공간이 먼저 중력의 굴곡 형태를 만들고, 여기에 굴곡에 맞는 질량을 가진 물체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중력과 질량 간 원인과 결과 관계가 지구 과학과는 반대라고 해야 보다 정확한 표현입니다.


우주 중력이 만든 공간의 형태를 알게 되면, 이를 활용하여 우주 공간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지름길을 찾을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이 우주터널을 이용한 우주여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량은 원자를 이루고 있는 소립자의 구조에 기인한 것입니다. 현재 구조는 3차원 공간에서 3개의 팔을 벌리고 있는 구조로서 물질이 보유한 질량과 관성의 원인이 됩니다. 만일 물질에 고에너지 빔을 쬐어서 3개의 팔을 특정 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하여 구조를 변경하면, 질량과 성질이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반대로 원래의 질량으로 돌아오게 하려면, 고에너지 빔을 반대로 가함으로써 원래의 구조로 돌아오게 할 수 있습니다.


비유를 하자면, 커튼의 블라인드 날개를 접으면 빛을 차단하지만, 날개를 평행으로 펴면 빛을 통과시키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3차원으로 팔을 벌린 물질 구조는 블라인드의 날개를 접은 형태로서 블라인드 날개가 빛을 차단하는 것과 같이 우주에너지를 막는 형태입니다. 이로 인해 우주 공간에서 우주기운(중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저항의 정도가 질량입니다.

반대로, 3개의 팔을 특정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정렬하면, 블라인드 날개를 폈을 때 빛을 잘 통과시키는 것과 같이 우주기운을 잘 통과할 수 있어서 저항을 받지 않게 되는데, 이것이 반질량 상태인 것입니다.






블라인드를 예로 한, 질량과 반질량의 상태



이와 같이 3차원의 물질과 구조를 달리하면서 반질량을 지닌 물질을 준에테르체라고 부르며, 이 상태에서 빛보다 빠르게 공간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준에테르체란 육체가 기본 골격 및 장기 구조는 현재 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광자에너지를 받아 육체를 이루고 있는 원소의 구조가 잠시 반질량 구조로 바뀐 상태를 의미합니다.


참고로 원자 차원에서 완전히 반질량화된 구조로 변화된 육체를 반(半)에테르체라고 합니다. 반에테르체 육체는 현재 육체가 가진 한계를 벗어나 모든 기능이 훨씬 진화된 육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육체는 관성의 영향을 받아 광속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지만, 반에테르체로 바뀌면 반질량화되어 관성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광속 이상으로 우주 공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반에테르체가 영구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라면, 준에테르체는 일시적이고 부분적인 변화 상태라고 하겠습니다.

 

                      희망메신저그룹 www.hopecast.org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