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대전본부 산악회 2011년.11월13일(일) 네째산행 (계족산).

작성자풍요군자/이경배|작성시간11.11.04|조회수22 목록 댓글 0

2011년.11월13일(일) 네째산행 (계족산)

 

산행일시/ 모이는 장소 : 2011.11.13 (일) 9시30분 대덕구 노인종합복지관앞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 517-14

                                  ***복지관 윗쪽에 넓은 주차장이 있습니다^^

 

산행코스: 노인종합복지관-저수지-용화사-쉼터-봉황정(팔각정)-우회-저수지

              노인종합복지관-신탄진가는 대로변-우회 약100미터 지점

              주원명가& 화평면옥3층 (약 1시간30분~2시간)

              산행을 더 하실 분은 계족산성까지 다녀오시되 12시까지는 꼭, 식당으로

              오셔야 식사가 제공됩니다.

 

               

준 비 물 식수, 곡차(불량음료), 과일 등 간식거리

                  갖고 계신분들 (박사모 쪼끼,잠바, 스카프)

산행경비 : 10,000

신청방법 :*답글 신청 또는 전화* 산악회 회장  : 풍요군자     010-3407-0032

                                                  * 산악회부회장:희망질주/노정운010-4068-8588      

                                          * 행사 위원장: 창조/이 언 호     010-6891-8230

 

*** 뒤풀이는 주원명가&화평면옥(628-2266)에서  갈비탕으로 할 예정입니다.

     갈비탕이 싫으신 분은  "굴버섯 영양밥"이 있습니다^^

 

     @#$ 부 본부장겸, 산악회 회장 풍요군자/이경배 올림.

 

 

***산행안내도 클릭^^

http://map.naver.com/?dlevel=9&lat=36.3806861&lng=127.4418457&menu=location&mapMode=0&enc=b64

 

계족산

테마백과사전 > 한국의산 > 계족산

계족산

대전광역시 대덕구와 동구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429m로, 대전광역시 동쪽에 있으며, 산줄기가 닭발처럼 퍼져 나갔다 하여 계족산이라 부른다. 서쪽에는 성재산(390m)이 나란히 서 있다. 사방 원형의 산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병산, 우산봉, 갑하산으로 산줄기가 이어진다.
정상에 팔각정인 봉황정과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능선을 따라 3km 거리의 계족산성이 축조되어 있는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로 유명하며, 시에서 성곽을 복원하였다. 계족산성 외에 고분군, 절터, 가마터 등이 있고, 조선시대의 사찰인 비래암이 남아 있다.
대전 8경의 하나로 꼽히며 1995년 6월에 개장한 장동삼림욕장 등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가뭄이 심할 때 이 산이 울면 비가 온다고 해서 비수리 또는 백달산이라고도 한다.
산행은 대전동부경찰서에서 출발하여 밀양박씨 묘를 지나 봉황정에 이르는 길과 읍내동 현대아파트에서 계족산성을 지나 정상에 이르는 길이 있다. 첫째 코스는 4.8㎞로, 2시간 40분 정도 소요되고, 둘째 코스는 7.6㎞로, 4시간 정도 소요된다. 또 회덕정수장 버스정류장에서 죽림정사를 지나 정상에 오르는 길이 있고 4.8㎞로, 2시간 40분 정도 걸린다.

 

요약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의 용화사에 있는 후백제 양식의 석불.
지정종목 시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대전유형문화재 제26호
지정일 1997년 01월 09일
소장 용화사
소재지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 5-1
시대 백제
종류/분류 석불
크기 총 높이 250㎝, 불상 높이 149㎝
계족산성(대전지방기념물 77)
본문

높이는 429m로, 대전광역시 동쪽에 있으며, 산줄기가 닭발처럼 퍼져 나갔다 하여 계족산이라 부른다. 서쪽에는 성재산(390m)이 나란히 서 있다. 사방 원형의 산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병산, 우산봉, 갑하산으로 산줄기가 이어진다.

정상에 팔각정인 봉황정과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능선을 따라 3km 거리의 계족산성이 축조되어 있는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로 유명하며, 시에서 성곽을 복원하였다. 계족산성 외에 고분군, 절터, 가마터 등이 있고, 조선시대의 사찰인 비래암이 남아 있다.

대전 8경의 하나로 꼽히며 1995년 6월에 개장한 장동삼림욕장 등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가뭄이 심할 때 이 산이 울면 비가 온다고 해서 비수리 또는 백달산이라고도 한다.

산행은 대전동부경찰서에서 출발하여 밀양박씨 묘를 지나 봉황정에 이르는 길과 읍내동 현대아파트에서 계족산성을 지나 정상에 이르는 길이 있다. 첫째 코스는 4.8㎞로, 2시간 40분 정도 소요되고, 둘째 코스는 7.6㎞로, 4시간 정도 소요된다. 또 회덕정수장 버스정류장에서 죽림정사를 지나 정상에 오르는 길이 있고 4.8㎞로, 2시간 40분 정도 걸린다.

용화사 입구 /

 

 

 

본문

1997년 1월 9일 대전광역시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대덕구와 동구에 걸쳐 있는 계족산 용화사 경내에 봉안되어 있다. 후백제 양식의 불상으로 추정되며, 9세기 말의 양식을 계승한 10세기 초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봉안할 때, 대좌를 콘크리트로 묻어 놓아 전체 높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지만 250㎝로 추정된다. 광배는 207㎝나 되는 배 모양의 주형거신광배()로서 불상의 전신을 감싸고 있으며, 머리 부분에 다시 당초문()을 장식한 둥근 광배를 표현하였다. 불상의 발목 부분도 묻혀 있는데, 드러난 높이만 149㎝인 것으로 미루어 보통 사람의 키만한 등신대()라고 할 수 있다. 어깨 부분은 떨어져 나간 것을 다시 붙였다.

불상 머리의 육계(髻)는 뾰족한 편이고, 얼굴은 타원형에 눈·코·입이 작은 편이며, 다소 경직된 듯 보이지만 온화한 표정을 짓고 있다. 불의()는 양 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 양식으로서 가슴에서 유(U)자 형태의 두꺼운 주름선을 표현하였다.

인상()은 전체적으로 왼손은 내리고 오른손은 들어올린 아미타인()을 취하고 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어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있으며, 왼손은 배 앞에 대고 있는 모습인데 여원인()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여원인은 왼손을 내려서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 인상의 하나로 중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들어 준다는 의미이다.

이 불상은 하나의 돌에 거대한 광배와 상대적으로 작은 부처의 입상을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여 독특한 구조미를 보여 준다. 불상의 입체감이 적고 세부적인 선, 옷 주름선 등이 다소 딱딱해 보이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얼굴과 신체, 불의와 인상 등 모든 특징이 정돈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만복사지 석불입상·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청주 용화사 석불상군 등 후백제와 고려시대 초기에 해당하는 석불들과 연관이 있으며, 10세기 초 불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출처] 용화사 석불입상 [龍華寺石佛立像 ]

 

 

계족산성(대전지방기념물 77)
본문

높이는 429m로, 대전광역시 동쪽에 있으며, 산줄기가 닭발처럼 퍼져 나갔다 하여 계족산이라 부른다. 서쪽에는 성재산(390m)이 나란히 서 있다. 사방 원형의 산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병산, 우산봉, 갑하산으로 산줄기가 이어진다.

정상에 팔각정인 봉황정과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능선을 따라 3km 거리의 계족산성이 축조되어 있는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로 유명하며, 시에서 성곽을 복원하였다. 계족산성 외에 고분군, 절터, 가마터 등이 있고, 조선시대의 사찰인 비래암이 남아 있다.

대전 8경의 하나로 꼽히며 1995년 6월에 개장한 장동삼림욕장 등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가뭄이 심할 때 이 산이 울면 비가 온다고 해서 비수리 또는 백달산이라고도 한다.

산행은 대전동부경찰서에서 출발하여 밀양박씨 묘를 지나 봉황정에 이르는 길과 읍내동 현대아파트에서 계족산성을 지나 정상에 이르는 길이 있다. 첫째 코스는 4.8㎞로, 2시간 40분 정도 소요되고, 둘째 코스는 7.6㎞로, 4시간 정도 소요된다. 또 회덕정수장 버스정류장에서 죽림정사를 지나 정상에 오르는 길이 있고 4.8㎞로, 2시간 40분 정도 걸린다.

 

 

 

 

 

읍내동가는버스..

 
- - ; ㅎㅎ 703번이랑 704-1번 타시고서 ,
읍내동현대아파트 에서 내리시면 됩니다 .

두 노선 , 둔산지역에서 좀 길이 다르지만 ,
나머지 구간에서는 다 똑같거든요 ㅋㅋ
704번 : 대정동화물터미널 - > 진잠 - > 관저동 - > 가수원동 - >
정림동 - > 복수동 - > 도마동 - > 가장동 - > 갈마동 - > 갈마지하차도
- > 녹원아파트 - > 탄방동공작아파트 - > 충남고등학교 - > 세이브존 - >
가람아파트 - > 오정동 - > 중리동 - > 읍내동 - > 연축동 - > 신탄진

704-1번 : 대정동화물터미널 - > 진잠 - > 관저동 - > 가수원동 - >
정림동 - > 복수동 - > 도마동 - > 가장동 - > 갈마동 - > 갈마지하차도
위 - > 은하수아파트 - > 갤러리아타임월드 - > 이마트 - > 둔산경찰서
- > 샘머리공원 - > 대전정부제3청사남문 - > 샘머리아파트 - >
수정타운아파트 - > 가람아파트 - > 오정동 - > 중리동 - > 읍내동 - >
연축동 - > 신탄진

704번이 조금 더 빠를겁니다 ; 704-1번은 둔산동을 아예 뚫거든요 ,
704번은 삼천동만 지나서 갑니다 ㅎㅎ ,

두 노선 버스값은 1300원이구요 , 읍내동까지 50분 ~ 60분 예상하시면
됩니다 ㅋㅋ 배차간격은 10분 그럼 수고하세요 , 미해결 질문사절 ㅡㅡ

 

 

 

 

[대전맛집]읍내동"화평면옥/주원명가 "

2011/07/21 21:16

복사 http://kingdiva5.blog.me/133252119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