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2017.3.20.월요일은-밤보다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춘분(春分)절기입니다.

작성자진이사랑|작성시간17.03.19|조회수51 목록 댓글 0



음악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춘분' 정보

춘분
날짜
2017년 3월 20일(월)
소개
밤보다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절기
시기
24절기 중 4번째 절기 (경칩청명사이)
유래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는 이날 조정에서 빙실… 더보기
풍속
사한제(司寒祭) | 속담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더보기
관련정보
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춘분은 24절기 중, 4번째 절기로

태양이 남에서 북으로가면서 적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춘분점'을 말해요.

사실 춘분에는 밤낮의 길이가 같지만, 태양이 진 후에도 빛이 남아있어

낮이 조금 더 길게 느껴지기 시작하는 날인데요.^_^

춥지도 덥지도 않아서 1년 중 가장 농사일을 하기에 좋은날이죠!

 

춘분 관련 속담들!


 

 

여러분~ 춘분에 관한 속담들이 많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사실 춘분 때에는 추위와 더위의 차이가 거의 없고 바람이 많이 부는데요.

봄이 왔지만, 봄같지 않은 날씨 탓에 이와 관련한 속담들이 많이 있답니다!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꽃샘에 설늙은이 얼어죽는다'와 같은 속담도 있고요~

풍신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해서

춘분의 추위는 매섭고 차다는 뜻에서


"꽃샘추위","꽃샘바람"이라는 말이 생겼다고 하네요! ^0^

우리가 잘 아는 꽃샘추위가 춘분때문에 생긴 말이라고 하니 정말 신기하죠?

 

춘분에 먹는 음식들은?

 

 

동지날에는 팥죽을 먹는 것처럼 춘분날에도 특별히 먹는 음식이 있어요!

춘분에는 당귀나 숙지황을 끓인 물을 먹어야 하고,

이제 막 파릇하게 올라는 쑥으로 떡을 해먹거나

 국을 끓여먹는 것도 좋다고 하네요! ^^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인간이 월력(月曆)을 만든 가장 큰 이유는 계절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해서랍니다.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었는데
농사를 짓기위해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시를 알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음력의 24절기도 이런 바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24절기는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에 각각 여섯개 씩 자리잡고 있으며,
각각의 절기는 앞뒤 절기와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1년을 이룹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春分點,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도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와 황도가 0도일 때 춘분,
15도 일 때 청명, ...., 300도 일 때 대한으로 정한 것입니다.
(24 x 15 = 360)



 

 


음악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