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7080 역사의 증인

전통 제사 시연도(참고 하세요.)

작성자도덕산|작성시간18.09.22|조회수133 목록 댓글 2

제사 시연 진설도

교위신위


                       시접           메           잔        갱               초(양초)

                   조기    소적 (채소 등)     육적      어적(문어)    떡    소적(두부)

                                       육탕       소탕      어탕

                   약과      숙채(도라지, 미나리, 고사지)  간장     생채         수박

                   율(밤)  시(곶감)            포(오징어)  참외  이(배)(대추)


 

                                                                             축판    향로    향합

                                         서집사                                                       퇴주그릇                   동집사

                                                                                                                                                      집례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축

                                         알   자                        찬   인   

 

 

 

                                                                   

1열 : 메(밥) 잔, 시접(수저), 갱(국) 촛대 (시접은 가운데 공간이 좁아 넓은 곳에 진설)

 

2열 : 조기, 소적 (채소전, 채소적), 육적(소고기 닭고기) 어적(문어), 떡, 소적(두부)

3열 : 탕(어탕, 소탕, 육탕)

4열 : 약과, 숙채,(도라지, 미나리, 고사리), 간장, 생채, 수박

※ 실제 3열과 4열은 하나의 열로 통합하였다고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 4열의 약과, 수박은 5열의 진설공간이 모자라 4열에 진설한 것입니다.(사진참조)

5열 : 밤, 곶감, 사과, 오징어, 참외, 배, 대추

준비 : 자리, 병풍, 교의, 제상, 작은 반(신주독 올리는 곳. 준비 못하였음), 향안, 향로, 향합, 축판, 술 주전자, 제수 옮길 반, 퇴주그릇

 

1. 陳設

① 5열의 밤, 곶감, 사과, 오징어, 참외, 배, 대추

※ 통상적으로 5열(남쪽 끝)에 진설[조율이시(목과, 초과, 만과, 조과)]하는 집이 많음

② 4열에 약과, 숙채,(도라지, 미나리, 고사리), 간장, 생채, 수박

※ 숙채는 옆채(잎나물), 근채(뿌리나물) 숙채의 색은 흰색, 푸른색, 검은색 순서를 지키는 가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③ 1열의 서쪽에 시저, 2열의 서쪽에 조기

④ 향안(香案)에 향로, 향합, 성냥, 잔반, 향안 아래에 퇴주그릇, 주전자, 모사기 없음

 

2. 笏記 (홀기) 제레 순서

◉ 參祀者 敍立(참사자 서립)

○ 참사자는 자기자리에 서 주시기 바랍니다.

◉ 諸執事 詣盥洗位 (제집사 예 관세위) ◉ 盥洗 (관세)

○ 제집사(동, 서집사 2명)는 관세자리로 가 주십시오. ○손을 씻어주시오. (복위 포함)

 

▣ 出主 (출주) ⇒ 사당에 계시는 신주 모시기

獻官升 阼階(헌관승 조계)

초헌관은 계단을 오르시오

焚香(분향)

○ 향을 피우시오.

◉ 出主告辭(출주고사)

○ 축은 출주축을 하여주시오(교과서 P14. 참조)

◉ 再拜(재배) ◉ 鞠躬 拜▪興▪拜▪興▪平身(국궁 배▪흥▪배▪흥, 평신)

○ 초헌관은 두 번 절을 하여 주시오. ○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 獻官 奉 位版(헌관 봉 위판) ◉ 出就廳事(출취청사)

○ 초헌관은 위패를 받드시오. ○사당을 나가 제청으로 가시오.

                                                                                                 진설한 사진


▣ 行 參神禮 (행 참신례)

獻官以下 皆敍立(헌관이하 개서립)

헌관이하 모두 서 주시기 바랍니다.

◉ 開櫝 (개독)

○ 신주 독을 여시오.(서 집사가 개독함. 만약 신주를 모시는 상 있어 사당에서 제청으로 모시고 와서 상위에 두었다면 초헌관이 교위에 모시고 개독할 수 있을 것임)

◉ 皆 再拜 ◉ 鞠躬 拜▪興▪拜▪興▪平身

○ 모두 두 번 절하시오. ○국궁 배▪흥▪배▪흥, 평신

 

▣ 行 降神禮 (행 강신례)

謁者 引 初獻官 詣 盥洗位(알자 인 초헌관 예 관세위)

알자는 초헌관을 관세로 모시기 바랍니다.

◉ 盥洗(관세) ◉ 引詣 香案前(인예 향안전) ◉ 跪(궤)

○ 손을 씻어주시오. ○향안 앞에 인도하시오.(알자는 복위) ○초헌관은 꿇어앉으시오.

◉ 三上香(삼상향) ◉少退跪(소퇴 궤)

○ 향을 세 번 피우시오. ○약간 뒤로 물러나 꿇어앉으시오.

◉ 執事者 斟酒于盞(집사자 침주우잔) ◉ 授獻官(수헌관)

○ 집사자는 잔에 술을 따르시오. ○초헌관에게 주시오.

(잔반이 향안에 있었기에 진행이 부드럽지 못하였음. 잔반이 제상위에 진설되어 있었으면 서집사가 잔반을 내어 초헌관에게 드리고 동집사가 술을 따르고 잔을 받들고 모사에 세 번 지우고 서집사에게 주면 신위 전에 올려 두면 됨. 아니면 홀기를 수정하여야 할 것 같음)

◉ 獻官奉盞 灌于茅上 (헌관봉잔 관우모상)

○ 헌관은 잔을 받들고 모사기에 술을 세 번 지우시오.

◉ 俛 ▪伏▪興(부,복,흥) ◉ 少退 再拜(소퇴재배) ◉ 鞠躬 拜▪興▪拜▪興▪平身

○ 숙이고 엎드리고 일어서시오. ○약간 뒤로 물러나 두 번 절하시오. ○국궁 배▪흥▪배▪흥, 평신

◉ 引降復位 (인강 복위)

○ 원래 자리로 돌아가시오.

◉ 進饌(진찬)

○ 진찬을 하겠습니다.

 

▣ 進饌(진찬)

① 1열에 메, 갱

② 2열에 소적 (채소전, 채소적), 육적(소고기 닭고기) 어적(문어), 떡, 소적(두부)

③ 3열에 탕 (어탕, 소탕, 육탕)

※ 메만 합반하였으며, 탕은 먼저 개반을 하여 두었음

※ 주인, 주부가 같이 지낸다면 고기, 어물, 국은 주인이 국수, 떡, 주부, 메는 주부가 진찬하는데, 이때 집사가 반에 제수를 담아 들고 따라 다녀야 함.

※ 미리 다 진설을 하여 두고 제사를 모시는 가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 行 初獻禮 (행 초헌례)

謁者 引 初獻官 詣 香案前 跪(알자 인 초헌관 예 향안 전 궤)

알자는 초헌관을 향안 앞으로 모시고 초헌관은 꿇어앉으시오.

執事者 斟酒于盞 (집사자 짐주우잔) ○授獻官(수헌관)

○ 집사자는 잔에 술을 따르시오. ○초헌관에게 주시오.

◉ 獻官奉盞授執事者(헌관봉잔 수집사자) ◉執事者奠于 神位前(집사자 전우 신위 전)

○ 헌관은 잔을 받들고 집사자(통상 서집사)에게 주시오. ○집사자는 신위 앞에 올리시오

◉ 啓飯盖(개반개)

○ 메 뚜껑을 열어시오. (서집사 대행)

祝跪于獻官之左(축 궤우헌관 지좌) ◉讀祝(독축)

○ 축은 헌관의 왼쪽에 꿇어앉으시오. ○축을 읽으시오.

◉ 獻官 俛 ▪伏▪興(헌관 부, 복, 흥) ◉少退 再拜(소퇴 재배)

○ 헌관은 숙이고 엎드리고 일어서시오. ○약간 뒤로 물러나 절을 두 번 하시오.

鞠躬 拜▪興▪拜▪興▪平身(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引降復位(인강 복위)

○ 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원래 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亞獻禮(행 아헌례)

贊人 引 獻官 詣 盥洗位(찬인 인 헌관 예 관세위)

찬인은 아헌관을 관세자리로 인도하시오.

※ 아헌관이 주부로 참여한 것은 아님. 그래서 재배만 하였음.

◉ 盥洗(관세) ◉ 引詣 香案前 跪 (인예 향안전 궤)

○ 손을 씻으시오. ○ 향안 앞으로 모시고 가시오. 헌관은 끓으앉으시오.

◉ 執事者 斟酒于盞(집사자 짐주우잔) ◉ 授獻官(수헌관)

○ 집사자는 잔에 술을 따르시오. ○ 헌관에게 드리시오.

◉ 獻官奉盞 授執事者(헌관봉잔 수집사자) ○執事者奠于 神位前(집사자 전위신위전)

○ 아헌관은 잔을 받들고 집사자에게 드리시오. ○ 집사자는 신위 앞에 올리시오.

俛 ▪伏▪興(부, 복, 흥) ◉ 少退 再拜 (쇠퇴 재배)

○ 헌관은 숙이고 엎드리고 일어서시오. 약간 뒤로 물러나 두 번 절을 하시오.

◉ 鞠躬 拜▪興▪拜▪興▪平身(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 引降復位(인강 복위)

○ 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終獻禮(행 종헌례)

贊人 引獻官 詣盥洗位(찬인 인헌관 예관세위)

찬인은 헌관을 관세자리로 인도하시오

◉ 盥洗(관세) ◉引詣 香案前 跪(인예 향안전 궤)

○ 손을 씻어주시오. ○ 향안 앞에 인도하시오. 헌관은 끓어앉으시오.

◉ 執事者 斟酒于盞(집사자 짐주우잔) ○授獻官(수헌관)

○ 집사자는 잔에 술을 따르시오. ○헌관에게 드리시오.

獻官奉盞 三祭于 茅上(헌관봉잔 삼제우 모상) ○授執事者(수집사자)

○ 헌관은 잔을 받들고 모사에 세 번 술을 지우시오. ○집사자에게 드리시오.

◉ 執事者奠于 神位前(집사자전우 신위전) ◉ 俛▪伏▪興(부, 복, 흥) ◉少退 再拜(소퇴재배)

○ 집사자는 신위앞에 올리시오. ○ 숙이고 엎드리고 일어서시오. ○약간물러나 두 번절하시오.

鞠躬 拜▪興▪拜▪興▪平身(국궁 배, 흥, 배, 흥) ◉ 引降復位(인강 복위)

○ 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 원래 자리로 돌아가시오

 

▣ 行 侑食禮(행 유식례)

謁者 引 初獻官 詣 香案前 跪(알자 인 초헌관 예 향안전 궤)

알자는 초헌관을 향안 앞으로 안내하시오.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 執事者 就斟盞中酒 授獻官(집사자 취짐잔중주 수헌관)

○ 집사자는 메뚜껑을 헌관에 드리고 술을 따르시오.

◉ 獻官奉盞(헌관봉잔) ◉授執事者(수집사자)

○ 헌관은 잔을 받드시오. 집사자에게 드리시오.

◉ 執事者 添酌(집사자 첨작) ◉扱匙(揷匙. 삽시) ◉正筯(정저)

○ 집사자는 신위 앞에 잔에 세 번 첨작을 하시오. ○ 숟가락의 손잡이가 오른쪽으로 가도록 하여 메에 꽃으시오. ○젓가락을 가지런히 하시오.

◉ 俛▪伏▪興(부, 복, 흥) ◉ 少退 再拜 (소퇴 재배)

○ 숙이고 엎드리고 일어서시오. ○약간 뒤로 물러나서 두 번 절을 하시오.

◉ 鞠躬 拜▪興▪拜▪興▪平身(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 引降復位(인강 복위)

○ 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원래 자리로 돌아가시오.

◉ 闔門(합문) ◉ 俯伏 少頃(부복 소경)

○ 축은 문을 닫으시오. ○엎드리시오.

◉ 祝三噫歆(축 삼희흠) ◉啓門(개문)

○ 축은 삼희흠을 하시오. ○ 문을 여시오.

◉ 進茶(진다) ◉ 鞠躬 少頃(국궁 소경) ◉ 平身(평신)

○ 집사자는 갱을 내리고 물을 올리시고, 메를 3번 물에 마시오. ○ 국궁하시오. ○평신

◉ 執事者 下匙 闔飯盖(집사자 하시저 합반개)

○ 집사자는 수저를 내리시고, 메 뚜껑을 덮어시오.

◉ 祝 就獻官之左(축 취헌관지좌) ◉告利成 (고이성)

○ 축은 헌관의 왼쪽에 가시오. ○이성을 고하시오.

 

▣ 辭神 (사신)

◉ 獻官以下皆再拜(헌관이하개재배) ◉ 鞠躬 拜▪興▪拜▪興▪平身(국궁 배,흥,배,흥,평신)

○ 헌관이하 모두 두 번 절을 하시오. ○ 국궁, 배, 흥, 배, 흥, 평신

◉ 闔櫝(합독) ◉ 祝 焚祝(축 분축)

○ 신주 독을 닫으시오. ○ 축관은 축을 태우시오.

◉ 初獻官奉 位版 還安于廟(초헌관 봉 위판 환안묘우)

○ 초헌관은 위패를 받들고 사당으로 모시시오.

◉ 在位者 以次出(재위자 이차출) ◉ 禮畢 (예필)

○ 모든 사람이 차례로 나가시오. ○ 예필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남은우 | 작성시간 18.10.05 모셔 감니다
    감사 합니다~굽신
  • 답댓글 작성자도덕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8.10.05 고맙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